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4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변화한 한국 사회의 여러 지형 가운데 특산품의 사회적 생산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방자치제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인물, 역사적 사건, 민속, 경관, 특산품 등을 지역 상징화하며 홀로서기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간의 이해관계가 발생할 때에는 지역과 친연성을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들을 생산했다.이 글에서 관심을 갖는 ‘원조대게’ 논쟁의 경우 영덕과 울진에서 지역의 특산품인 대게를 상징화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다. ‘원조대게’ 논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두 지역에서 펼친 전략은 크게 ‘역사만들기’, ‘마을만들기’, ‘축제만들기’로 요약된다. 먼저 역사만들기 과정에서는 문헌, 민속, 구술, 생활사 등을 발굴하거나 재해석하며 대게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드러내려 했다. 다음으로 마을만들기 과정에서는 역사만들기를 통해 생산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대게의 고향’을 만들면서 신화적 공간을 구축했다. 이어서 축제만들기의 과정에서는 각종 담론들을 담아내고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는 장으로 활용했다. 이처럼 두 지역에서 대게를 품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펼친 행보를 통해 특산품이 사회적 생산과 의미화 과정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8,100원
        4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화가 문화를 반영하고 재현하는 기능을 지닌 훌륭한 문화 텍스트라는 점 은 다양한 논의를 통해 이미 확인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이 한 문화를 지닌 두 개 이상의 지역에서 생산된 영화 텍스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화를 통해 문화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했다. 문화의 차이를 비교하는 준거로는 ‘고 맥락’과 ‘저 맥락’으로 유형화 되는 에드워 드 홀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맥락 의존도 차이에 주목하였으며, 비교 대상이 되는 텍스트로는 한국에서 2000년에 제작된 영화 <시월애>(감독 이현승)와 이 영화를 원작으로 하여 미국에서 2006년에 리메이크 된 영화 <레이크 하우스>(감 독 알레한드로 아그레스티)를 선택하였다. 영화의 리메이크란 기존에 있던 영화를 시대적, 문화적 배경에 맞추어 재생산 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특히 외국에서 리메 이크 되는 경우, 원작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영화가 만들어지는 지역이나 국가의 문화적 특성에 맞추기 위해 통합체적 구조는 그대로 유지한 채 계열체적 구조만을 변형시키는 경우가 많아, 원작과 리메이크 영화의 짝패는 그들이 반영하고 있는 문화 요소의 체계적인 비교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비교의 틀이 되 는 통합체와 계열체 분석에는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도입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의 통합체 분석에서는 두 텍스트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 지만, 계열체 분석에서는 상대적으로 고 맥락 문화를 가진 한국 영화에서 맥락도 가 높고, 저 맥락 문화를 가진 미국 영화에서 맥락도가 낮은 요소들이 다양하게 발견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6,900원
        46.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1909∼2007) 선생의 첫 번째 창작무용극《처용랑》의 사료를 분석함으로써 복원 및 재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처용랑》에 관련된 사료분석을 시도했으며, 분석대상은 국립예술자료원, 국립국악원, 한국춤문화자료원 등에 분류되어 소장되어 있는 문헌자료, 프로그램, 무보 및 대본, 포스터 및 전단, 신문 및 잡지기사, 영상 및 음악, 의상 및 소품, 사진, 서신 등이며, 구술사료는 국립예술자료원의 채록관과 국악음 반박물관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는 김천흥 선생의 구술자료와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학연화대 무> 보유자인 이흥구 선생의 구술자료를 활용했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처용랑》은 극적인 줄거리, 춤, 음악, 창사 등 가·무·희 일체의 총체성을 담은 무용극 의 조건을 갖추었다. 춤은 한국의 전통 설화, 궁중정재, 민속무용 등 전통에 근거해 새롭게 창작 되었으며, 음악은 춤의 종류와 무대구성 그리고 춤의 전개에 맞게 창작되었다. 또한 처용의 애타 는 마음을 담은 창사를 읊는 부분이 삽입되었다. 둘째, 무용극의 줄거리는 등장인물의 배역에 따 라 적절하게 표현되었으며, 각 배역은 처용설화의 내용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헌강왕은 망해사를 지어 불공을 드리며 동해 바다에 사는 용왕의 화를 달래고 나라의 태평성대를 표현했다. 용과 용 자들은 기뻐 춤을 추고, 신라에 남은 처용은 역신과 아내의 간통을 용서하며 대인임을 표현했다. 셋째, 배역에 따른 여러 종류의 춤과 무대의 구성을 새롭게 창작했다. 궁중정재 <무애무> 재현을 비롯해 <용의 춤>, <용자의 춤>, <역신의 춤>, <처용처의 춤>, <처용의 춤>을 창작했으며, 불교작 법의 전통적 요소를 무용극에 도입했다. 넷째, 음악은 새롭게 창작되었으며, 30여명의 아악사들이 실제 무용극 공연에서 삼현육각의 대합주로 연주했다. 다섯째, 무대장치와 조명은 사실적으로 꾸 며 무용극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여섯째, 의상과 소품은 신라시대의 의복을 근거로 새 롭게 제작했으며, 전통적인 소도구를 사용해 배역의 특징과 무대장면을 효과적으로 연출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김천흥 선생 타계 후 그의 첫 번째 창작무용극《처용랑》의 복원 및 재 현을 위한 사료분석으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김천흥 선생이 가진 조선의 예악사상과 가·무·희 일체의 총체성을 보여준 것으로서, 그의 춤 경험과 신무용의 붐에서 비롯된 창작현상 및 전통춤 의 대중화를 위한 창작 정신을 보여준 데에 의미가 있다. 이는 전통에 근거 한 창작세계의 면모 와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미래 한국춤 창작의 한 틀을 만들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
        6,400원
        4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wo original forms of slacks for thesis to extract outward appearance of design original form applying design measures of the above through divers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n original form F, the original form of slacks sloper suitable to elderly women 65~69 years old was W/4+3.5+0.5cm in the front/back circumference of waist, H/4cm in the front/back circumference of hip, (H/4+1+3.8)/2cm in the position of centerline, 19cm in actual measurement value of hip length, 25cm in actual measurement value of crotch depth, (knee crotch circumference~bottom line)/2+10cm and 90 (side waist dot~ lateral malleolus length)cm in actual measurement. front dart position was 1/3 and 2/3 of front waist centerline and back dart position was 1/3 and 2/3 of back waist circumference. It was suggested that front dart quantity (length) was 3.5(11)cm, back dart quantity 3.4 (10.2)cm, side waist up quantity 0.7cm, back down quantity 1.5cm, front crotch width (H/4+1)/4-1cm, back crotch width (H/4+1)/4+4, front knee width 21.8cm, back knee width 24.4cm, front pant leg 20.8cm, and back pant leg 23.4cm.
        4,900원
        4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iushu(六书)” is a general term for the whole knowledge of an course about Chinese character in elementary education,which contains the source of pattern,reasons and rules of structure,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haracters in a Chinese character cluster,and rules of using these characters to record Chinese language,etc. Based on all those knowledge,the teaching system of Chinese character but not a single style system has been found. In the past long time,the have been misunderstanding that “Liushu”(六书) represented six ways of character-maken,or six styles of character structure. The misunderstanding did not conform to initial fact of “Liushu”(六书). In academic history of science of Chinese character,the study of “Liushu”(六书) came into being. But the study cannot be equated with “Liushu”(六书) itself. Because of misunderstanding,the study goes out of the scope of teaching. As a matter of fact,the selected points of knowledge and terms about “Liushu”(六书) a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education requirement,its main value is in teaching,but not theorizing. If we want to correct mistakes in modern reading education,a possible solution may be to pick up “Liushu”(六书).
        4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 영화산업과 게임산업은 각각 OSMU를 통한 콘텐츠 개발이 활발하다. 하지만 현 시장에 나오는 콘텐츠들 중 모든 콘텐츠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소비자들에게 동감을 자아내거나 부가적인 요인 등 여러 부분에 있어만족을 할 때 시장에서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산업과 게임 산업 각각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두 산업 간의 성공요인의 유사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의 콘텐츠와는 다르게 차후에 개발되는 OSMU 콘텐츠에 있어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4,000원
        5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foodservice brand language localization affects consumer attitudes in terms of similar brand image recognition with an original brand. Many global foodservice companies have tried to modify their own brand identity according to local situations in order to attract more consumers. According to this study's results, consumers who similarly recognized both the original brand image and localization brand image tended to have greater purchase intention than those who did not recognize them similarly. In addition, when the original brand identity was changed to the local language, consumers more similarly conceived the original brand image and localization. And for local store marketing, foodservice companies should have a thorough marketing research plan since there can be difference results according to brand name recognition gaps 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iginal brand image similarity recognition by consumers affected their attitudes. In other words, the group that similarly recognized both the original brand company image and the localization brand company image tended to have greater purchase intention. Because brand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 attitudes with respect to recognizing a brand and distinguishing another brand, this study suggests that franchise foodservice companies have a local store marketing plan.
        4,000원
        51.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riginal environment of the solar system can be inferred by studying the oxygen isotope ratios in the Sun as well as in primitive meteorites and comets. The oxygen isotopic fractionation measured in primitive meteorites is mass-independent,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isotopic-selective photodissociation of CO. The isotopic-selective photodissociation model in a collapsing cloud by Lee et al. (2007) imply the birth of the Sun in a stellar cluster with an enhanced radiation field,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nferred presence of 60Fe.
        4,000원
        5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Yanggu original white kaolin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s, nutrients utilizability and meat composition of broiler. A total of 260 broiler chicks was alloted to 5 treatments with 4 replications and 13 chicks per replication. In addition to control group that fed diet without any kaolin supplementation, the treatments are designat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as follows; white kaolin 400 mesh 1%(T1), white kaolin 10,000 mesh 1%(T2), white kaolin 400 mesh 0.8% + probiotics 0.2%(T3) and kaolin rizen(T4). The specific volume of 10,000 mesh white kaolin was higher than that of 400 mesh white kaolin (p<0.05) with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wo different size white kaolins. Pellet durability of kaolins supplemented diet was improved, regardless of fat addition, compared to that of no kaolin supplemented diet. Both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broilers in all the kaolin supplemented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d 0~21 period (p<0.05) but with no differences during d 22~40, On the other hand, kaolin supplementation into the control diet did not affect F/G of young broiler during d 1~21. Overall F/G of broiler was decreased by kaolin supplementation.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n ether extract, crude ash, total CHO and dry matter utilizabilities among all treatments, both crude protein and energy utilizabilities were improved by kaolin supplementation. Crude protein content of both broiler thigh and breast was the lowest in the kaolin and probiotics combined supplemented group(T3).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physico-chemically treated white kaolin does affect growth performances, nutrients utilizability and meat composition of broilers. Therefore, the kaolin can be considered as a beneficial feed additive to improve broiler productivity.
        4,000원
        5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 예산지구 활석광상지역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유구편마암을 관입하고 쥬라기 흑운모화강암과 백악기의 산성 및 염기성 암맥의 관입을 받은 시대미상의 초염기성암체가 있다. 이 초염기성암체는 주로 사문암이고, 소량의 각섬암과 주로 사문암으로부터 형성된 활석광체를 포함한다. 이 사문암들은 사문석 반정과 layering의 발달정도에 따라 S1 ∼ S5의 5개 암석단위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의 구성광물 및 화학조성들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사문암의 기원암은 동일마그마 기원의 감람암(dunite와 pyroxene peridotite)으로 해석된다. 사문암의 기원암인 감람암은 유구편마암이 받은 각섬암상의 광역변성작용시에 사문석화작용을 받아 사문암으로 되었고, 이 사문암으로부터의 주 활석화작용은 파쇄대를 따라 상승한 열수에 의한 열수변질작용으로 해석된다.
        4,000원
        5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ive a perspective on the music theory of Ancient Greece & Rome through the study of original texts. Nine major theorists' treatises are discussed under the separate title, repectively. And also 7 minor theorists' treatises or theories are mentioned also in the course of discussion in relation to the major one. The rise of Western music theory can be traced back to the time of Pytagoras. His mathematical calculation of intervals set up the long tradition of treating music as mathematical scholarship. And the other branch of music theory was established soon also. That was an empirical one initiated by Aristoxenus who was a pupil of Aristotle. And then these two branches interacted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music theory. That is, although most of the ancient theorists belonged to the Pytagorian school, those representatives such as Euclid·Ptolemy·A. Quintilian accommodated some of Aristoxenus' theory. Theorists represented the Aristoxenian school were Cleonides(cf. footnote 3) and Cassiodorus(cf. footnote 23). The topics dealt with in ancient treatises were intervals, scales, modes, scale systems, rhythm, tuning, notation, ethos of music, and Pytagorian concept of music of spheres. Intervals were discussed in depth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uning (Ptolemy), tetrachord which was the basis of scales (Aristoxenus, A. Quintilian), and modes (Ptolemy, Gaudentius). The scale systems of the Greater Perfect system and the Lesser Perfect system became the norm throughout the ancient times. Of the rhythm, feets mentioned first by Aristoxenus were clearly explained and expanded by St. Augustine. Information on Greek notation relies on Alypius. Ethos of music and the idea of music of spheres were presented in length especially by Ptolemy and Boethius.
        6,300원
        5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Masan city after Koryo Dynasty, making a reconstructive map of Original Masan using the first registration maps made in 1912 and analyz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Original Masan area. The origin of Masan city went back to Koryo dynasty. Around 1040 Koryo government placed an official shipping facility in Masan to transport the taxed grain to the capital city. After that Masan became an important port covering the southern part of KyungSang-Do. And the urbanization of the Original Masan began to bud after a shipping facility was again established by the Chosun Dynasty in 1760 and strengthened in the 19th century after the social standing system was broken and many peasants moved to cities as daily workers. In 1899 Masan was forced to be opened to foreign powers and they placed an international settlement distanced from the area(Original Masan). After this many Japanese advanced to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and further to the area. The advancement of Japanese brought a critical change in the urban structure of the area. Land was owned by Japanese and many modern sysytems were introduced such as modern buildings, new roads, railroad and modern factories. According to the reconstructive map of the area, 80.5% of land lots are less than $200m^2$ 수식 이미지 showing the size of each land lot is comparatively small. And Japanese occupied 31.5% of the land in the area. Their land was located on the stratigic points near the port and the center of commerce. The ratio of the road area to the whole land was around 14%, not so low for urban areas in that time. The reconstructive map reveals the exact coastline of the year 1912 erased now due to filling the sea and extending the land, Present Masan city has been developed having the Original Masan as its nucleus. The area has been always the center of urban activities for Masan city. Making an exact reconstructive map for the area and analyz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area in 1912 is a very important work to understand Masan city wholy.
        5,500원
        59.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rchitectural purpose of the buildings in NakSunJae area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clarified fact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 with the buildings for the Crown Prince in the ChangDok Palace By constructing buildings in the NakSunJae area, the spatial conception of the Royal Palace was changed, that is, buildings for the Crown Prince in the ChangDok Palace disappeared and they became to belong to the ChangGyeong Palace. Moreover, by constructing the NakSunJae and its attached buildings, the area for the Crown Prince shifted to use as a private area for the king. 2. The date and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e NakSunJae area is consisted of three compounds of building: NakSunJae, SukBokHun and SooKangJae. The NakSunJae was constructed for the king HunChong's private occupancy in 1847 and the SukBokHun for a residence of a royal concubine Kim, in 1847. The SooKangJae was originally built in 1785 in the SooKang Palace where the ex-king took up as his residence after abdicate the throne. Later on, it was repaired as the residence of the Queen SoonWon, king HunChong's grandmother, in commemoration for the 60th anniversary of her birth in 1848. 3.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NakSunJae area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irst, as the NakSunJae area is surrounded by quite high hills in northeast and by low hills in southwest, it is naturally distinguished from its surroundings and gives a cosy feeling. Second, the NakSunJae area shows very untrammeled style of arrangement in general, because it was constructed as a private occupancy for the king. other buildings are arranged in the latticing orderly, nonetheless, they are free by themselves from a strict form and make themselves an area full of variety. Third, the buildings in the NakSunJae area have a characteristic of naivety of common people's houses, because they were not an official but private place for the king, his concubine and his grandmother. Forth, the ornaments in the NakSunJae area are variously, elegantly and harmoniously patterned with the meaning of good luck. Fifth, back garden in the NakSunJae area was made by taking advantage of sloping hills. The back garden is beautifully configurated by arranging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of pavilions, tiered flower beds, chimneys, decorated walls, small doors between walls, stoneworks and trees.
        6,700원
        60.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20년 재개관한 일본 영토주권전시관이 1905년 이후 독도에 대한 일본의 국제법상 합 법적 지배와 한국의 불법점거를 강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일본제국주 의 침략노선의 근간인 일제식민주의에 입각한 일본의 지속적인 독도주권 침탈의 역사가 여전 히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일본의 독도침탈 시도가 1905년을 중심으로 재개되 고 있다는 반증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일본 정부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장기전략 왜곡프레임이 총체적인 국제법적 권원 강화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는 점에서 그러한 독도영유권 주장의 정책적 토대를 구축해온 일본 국제법 학계의 권원 연구를 분석한 결과, 독도영유권에 대한 권원 연구가 미나가와 다케시(皆 川洸)의 역사적 권원론을 시작으로, 우에다 도시오(植田捷雄)의 본원적 권원론, 다이쥬도 가 나에(太壽堂鼎)의 대체적 권원론, 세리타 겐타로(芹田健太郎)의 공유적 권원론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확인하였다. 그러한 권원 계보의 정점이자 귀결점에 위치하는 히로세 요시오(広瀬善男)의 국제법사관 을 전제로 한 ‘독도영유론’ 이후 주류 연구자로 등장하는 쓰카모토 다카시(塚本孝), 나카노 데 쓰야(中野徹也) 등의 국제법학자들은 모두 무주지 선점론을 주장하는 본원적 권원(original title)의 계보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영토주권전시관의 주장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기 를 요구하고 있다. 먼저 쓰카모토 다카시는 일본이 17세기 역사적 권원을 가진 영토에 대해 선점 등 실효적 점 유에 기초한 영역취득 절차를 거쳐 불확실한 원초적 권원을 근대국제법상의 권원으로 보강하 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필자가 선행연구에서 ‘대체적 권원론’의 검토했던 다이쥬도 가나 에(太壽堂鼎)의 주장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주목하게 된다. 그러나 다이쥬도 가나에가 주장하 는 것처럼 국제법상 역사적 권원을 가지는 고유영토를 영유하기 위하여 그것을 근대 국제법상 의 다른 권원으로 대체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으며, 실제 일본이 역사적 권원에 기초하여 영유하 는 다수의 도서를 선점과 같은 다른 권원으로 대체한 일도 없다는 점에서 국제법 법리상 타당성 이 없는 것이다. 그러한 전제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논거를 제시하고 있는 쓰카모토 다카시의 주장은 동일한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1905년 당시 일본 정 부가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군사상 필요에서 영토 편입한 것으로 기술한 나카이 요자 부로의 문서는 부정하면서도, 어업행위에 대해서는 국가권능의 행사로 추인하여 선점요건을 구비하였다는 주장은 역사적 사실 뿐만 아니라 국제법 법리에 대한 왜곡에 다름아닌 것이다. 그러한 전제에서 태정관지령,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독도 편입과 관련한 그의 역사의식 을 검토하면, 한국의 독도 명칭 관련 문제를 독도 무주지론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일본 역시 태정관지령에서도 울릉도를 ‘죽도’로 호칭하고 있는 문제를 개방 에 따른 서양지도의 유입으로 인한 혼란으로 희석화하는 등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한편 나카노 데쓰야는 쓰카모토 다카시와는 달리 역사적 권원과는 일정 부분 절연을 전제 로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의 국제법 관계를 전제로 한 무주지 선점론을 제기하고 있으나, 1904년 한일의정서 이래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이 갖는 불법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별개의 개념으로 외면하고 있다. 그러한 그의 주장은 선점 요건으로서의 통고 문제에서 극명하게 표 출되어 1885년 베를린회의 일반의정서, 1888년 만국국제법학회의 통고 의무는 인정하면서 도, 영역권원 취득의 절대적 요건으로 한다는 국제법 원칙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해석 하며 시마네현의 고시로 선점의 완료를 주장하나, 국제법이 지자체의 고시와 동일하다는 법 규범 인식 자체가 타당성을 담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쓰카모토 다카시는 다이쥬도 가나에의 ‘대체적 권원론’에 내재된 법리적 문제점의 답습과 일본의 독도 명칭 혼선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나카노 데쓰야는 역사적 권원과의 절연의 법리로 주권평등의 원칙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 국제법체제을 주장하면서도 독도주권 침탈을 비롯한 통고문제 등에서 일제식민주의를 합법화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아울러 히로세 요시오와 동일하게 무주지 선점론 주장자들이 실효적 점유의 법리로 제시하는, 클리퍼튼섬 사건, 동부그린랜드 사건, 망키에-에크레오 사건 모두 무인도, 원격지, 실 효적 지배와 관련된 사례로 자의적인 해석과 원용을 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정책적 토대를 구축해온 일본 국제법 권원 관련 계보의 주장들은 카이로 선언에서 천명한 폭력과 탐욕의 본질로서 일제식민주의와 일치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권원 계보의 귀결점인 히로세 요시오의 국제법사관이 이후 무주 지 선점론자들이 제기하는 식민지배합법론을 전제로 이와 분리를 시도한 독도영유권 주장은 국제법적 권원의 법리적 왜곡이자 한국의 독도주권에 대한 국제법을 앞세운 중대한 법리적 침해라는 점에서 21세기 평화공동체를 향한 일본의 국제법적 책무를 촉구하고자 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