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

        4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엽채류 육묘시 CO2시용이 정식 후 CO2의 장기 시용으로 인한 청경채, 시금치 및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육묘시 CO2시용은 청경채, 시금치 및 상추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및 엽면적에서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생체중의 경우 처리구에서 각각 50%, 60% 및 30%내외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뿌리 건물중은 시금치 및 상추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무처리구에 대한 지상부 생체중의 상대증가율은 청경채, 시금치 및 상추에서 공히 CO2시용 10일 전후에서 가장 높았다. 정식후 CO2시용 효과를 육묘시 CO2를 시용한 처리구와 시용하지 않은 대조구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엽면적은 청경채, 시금치 및 상추에서 모두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0%내외의 증가를 보였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구에서 3작물 모두 10~20%범위의 증가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육묘기의 30-60%의 증가효과에 비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잎의 광합성속도는 정식 후 대조구에서 완만하게 감소하는데 비해 CO2를 장기 시용한 처리구에서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45.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요 약용작물중(藥用作物中)의 하나로 울릉도와 영양 등 경북 북부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일천궁의 종근생산(種根生産)을 목적으로 경정배양(莖頂培養) 유묘(幼苗)에 있어서 단기간내의 기내발근(器內發根) 배지구명과 포장정식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근경생육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정배양(莖頂培養)을 통해 생산된 유묘의 효과적인 발근배지(發根培地)는 IBA 1.0 mg/L와 BA 0.05 mg/L를 혼용처리한 것이 배양 30일 후 81%가 발근하여 가장 좋았으며 근수(根數)가 9개 이상인 배양묘를 기외이식하고 75% 차광하에 두었을때 생존율이 67%로 높았다. 포장 정식시기를 4월(月) 20일(日), 5월(月) 5일(日), 6월(月) 10일(日), 7월(月) 5일(日)로 하여 정식하였을 때 5월(月) 5일(日) 정식한 유묘(幼苗)가 생존율(生存率) 72%, 초장 33cm, 줄기수 47개로 지상부 생육이 가장 좋았고, 지하부의 근경생육은 5윌 5일 정수록 근경형성율(根莖形成率)은 높은 편이었으나 근경수(根莖數)와 무게는 다소 적었다.
        4,000원
        4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니 토마토 ‘미니 캐롤’ 품종의 플러그 육묘시 주야간 온도조합 처리에 의한 유묘의 절간신장 및 정식후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묘의 초장신장에는 주간온도가 야간온도보다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같은 일평균기온에서 +DIF가 -DIF보다 절간신장에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전개속도는 일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묘의 충실도(건물중/초장) 지수는 일평균기온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다. 제 1화방의 착생절위는 일평균기온이 16℃에서는 정상적으로 화아분화 되었으나 일평균기온이 증가하면서 제 1화방 착생절위도 증가하여 28℃에서는 16℃에 비해 약 4마디가 지연되었다. 정식후 절간신장은 육묘시 절간장과는 상관없이 각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마디수는 정식전의 마디수의 차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육묘시 -DIF 조건에서 초장이 억제된 묘라 할지라도 정식후 정상적인 생장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제 1화방의 착생절위는 일평균기온(16℃)이 낮을수록 저절위(제9절)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47.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부터 24℃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4,200원
        48.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과 주용해충 발생치해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조사해충은 모두 시비수준보다 이앙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 벼물기굴파리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 혹명나방은 이앙시기가빠를수록 발생량도 많았고, 피해도 컸다. 그리고 끝동매미충과 이화명나방을 제외한 해충들은 이앙시기가 늦으면서 질소질비료가 많으며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50.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재래종중(在來種中) 내용성분(內容成分) 면(面)에서 바람직한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초(香草)를 대상(對象)으로 이식시기(移植時期)가 향끽미(香喫味) 물질(物質)에 미친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全)알카로이드 함량(含量)은 7월(月) 5일(日) 이식구(移植區)가 4.16%로 가장 높고 5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는 1.37%로 가장 낮았으며, 니코틴 함량(含量)은 전(全)알카로이드 함량(含量)과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당(全糖) 함량(含量)은 4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가 12%로 가장 높았고 이것보다 이식(移植)이 빠르거나 늦을 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석유(石油)에텔추출물(抽出物)은 4월(月) 5일(日) 이식구(移植區)가 5.77%로 가장 높았고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늦을 수록 감소(減少)하였다. 전당(全糖) 석유(石油)에텔추출물(抽出物) 전질소(全窒素)는 4월(月) 20일(日) 이식구(移植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빠를 수록 지방산(脂肪酸), malic산(酸)과 citric산(酸)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다. 이식시기(移植時期)가 빠를 수록 2.3-methylbutanoic산(酸), 3-methylpentanoic산(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다.
        4,000원
        51.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상자육묘(箱子育苗)에서 살균제(殺菌齊)와 생장조절제처리(生長調節劑處理)가 묘생육(苗生育) 및 생리장해(生理障害)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삼강(三綱)벼와 낙동(洛東)벼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살균제처리(殺菌齊處理)에서 삼강(三綱)벼는 Metalaxyl과 SF8002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는 SF8002와 Metalaxyl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과 3엽(葉) 및 4엽(葉)이 뚜렷한 신장교과(伸長效果)를 보였다. 건물중(乾物重)은 Metalaxyl구(區)가 가장 무거웠고 엽수(葉數)와 묘충실도(苗充實度)는 Dachigaren청리구(廳理區)가 양호(良好)하였으며, 살균제처리구(殺菌齊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삼강(三綱)벼에서는 BA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GA,처리구(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ABA(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작았고, ABA와 CCC처리구(處理區)가 신근발근력(新根發根力)이 왕성(旺盛)했다.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에서 살균제(殺菌齊)+GA, 구(區)와 Metalaxyl+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길었으며, Isoprothiolane+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초장(草長)이 가장 짧았다.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건물중(乾物重)과 묘충실도(苗充實度)가 양호(良好)하여 묘소질(苗素質)이 좋았으며, 살균제(殺菌齊)+생장조절제처리구(生長調節劑處理區)가 무처리(無處理)보다 입고병발생(立枯病發生)이 적었다. 또한 삼강(三綱)벼에서는 Metalaxyl+IAA 처리구(處理區)가 낙동(洛東)벼에서는 Dachigaren+IAA 처리구(處理區)가 지상부재생력(地上部再生力)이 양호(良好)했다.
        4,200원
        52.
        198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계이앙용(機械移秧用) 상자육묘(箱子育苗)에 있어서 비료(肥料)의 종류(種類) 및 시비법(施肥法)이 토양(土壤)의 pH변화(變化)와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낙동(洛東)벼와 삼강(三綱)벼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草長)과 건물중(乾物重)에 있어서 유안(硫安)을 시용(施用)한 것이 요소(尿素)를 시용(施用)한 것보다 양호(良好)하였으며 발근력(發根力) 또한 시비법(施肥法)에 관계(關係)없이 유안(硫安)을 시용(施用)한 구(區)가 요소(尿素)를 시용(施用)한 구(區)보다 양호(良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장해(生理障害)는 요소전량기비구(尿素全量基肥區)가 요소분시구(尿素分施區)보다 심하였고 유안시용구(硫安施用區)에서는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묘생육기간중(苗生育期間中) 상토(床土)의 pH변화(變化)는 질소질(質素質) 비료(肥料)는 유안(硫安)이 요소(尿素)보다 낮았고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는 과인산석회(過燐酸石灰)가 용성인비(熔成燐肥)보다 낮았다.
        4,000원
        53.
        197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이삭 선충에 대한 피해 증상 발현 후의 약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thoprop를 포함하는 4개의 약제를 피해 증상이 나타난 직후에 처리하였으며 약제 처리의 적기를 찾기 위하여 carbofuran을 처리 시기 및 횟수를 달리하여 처하였다. 가. 약종별 효과에 있어서는 ethoprop와 carbofuran이 대단히 좋았으며 diazinon과 fenthion도 무처리에 비하여는 효과적이었으나 전자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했다. 나. 약제처리 시기 및 횟수 시험에서는 3회 처리구가, 그리고 일찍 처리할수록 피해 경율과 수량에 좋은 효과를 보였는데 여러 면으로 보아서 선충에 의한 피해가 벼에 나타난 직후에 처리하는 것이 본 선충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4,000원
        54.
        197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근부흡수선택성 또는 안전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약제들에 대하여 MO 모내기 후 처리를 대조로 SiCL 토양조건에서 시용약량, 혼화심도,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모내기 전 토양혼화처리 (Ronstar, Saturn, TOK, Saturn-S)와 모내기 전 토양표면처리(Machete, PCP, MON-0385)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효과 1차 조사결과(모내기 27일후 조사) 처리구 모두 의 우수한 제초효과를 나타냈다. 2차 조사시(모내기 73일후)까지 이상의 제초효과를 유지한 plot는 Ronstar 전 처리구 및 Saturn-S 3-4kg prod./10a 구였다. 다소 제초효과가 저조한 구는 MON-0385 175g ai/10a구와 TOK 280g ai/10a 혼화구였다. 2. 초기약해 및 생육관계 PCP 1,000g ai/10a의 모내기 전 토양표면처리구가 눈에 뛸 정도로 약해를 내었으나 처리 50여일 후 까지는 회복이 되었다. Saturn-S 4kg prod./10a구에서 초기 국부적으로 미해가 있었으나 곧 회복이 되었고 그 이외의 처리구에 있어서는 거의 약해를 인정할 수 없었다. 3.수량 방임구가 수량감소를 나타낸 이외에는 관행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낸 Plot는 없었다. 특히 관행구보다 증수된 plot는 Machete 210g ai/10a 1DBT 및 2DBT, Ronstar 60g ai/10a 2.5cm 혼화구 및 12cm 혼화구, Saturn-S 3kg prod./10a 혼화구 그리고 MON-0385 175g ai/10a 1DBT구 등이었다.
        4,000원
        55.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이삭선충의 효율적이고 능율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의 종류 및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종자에 대한 약제처리 : 선충피해 종자를 Malathion EC 등 6종의 약제 500, 1,000 배액에 각각 12, 24, 36시간 침종한 후 선충을 Baermmann씨법으로 분리, 조사한 결과 Malathion EC, Sumithion EC, Lebaycid EC, 등의 약제에 12-24시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실용성이 있었다. 2. 못자리시기의 입제처리 : 의 밧드에 피해종자를 파종하고 모내기 15일전에 PSP-204 G등 6종의 약제를 의 비율로 시용하여 폿트에서 재배하여 효과를 조사한 결과 PSP-204 G, Diazinon G, Nemagon G, Terracurr-P G 등의 약제가 이삭선충의 방제효과가 높았다. 3. 모내기전의 침근처리 : 밧드에서 육묘한 피해묘를 모내기직전에 뽑아서 Sumithion EC 등 6종의 약제 1,000배액에 침근처리한 후 폿트에서 재배하여 효과를 조사한 견과, Sumithion EC, Lebaycid EC Nemagon EC 등의 약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3,000원
        5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for develop standard cultivation techniques of wild-simulated ginseng. Bonghwa experimental field were confirm to be suitable location environment for cultivation of wild-simulated ginse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germination rate of wild-simulated ginseng was significantly highest when seed size was over 6.5 ㎜ in the spot seeding cultivation. In the case of transplanting,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diameter of root was over 10 ㎜, planting distance was 7 ㎝, and the thickness of soil covering was less then 2 ㎝. The result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by cultivation type, growth of stem in spot seeding cultivation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seed size over 6 ㎜, seeding number was 3 grains, and the seeding distance was less then 5 ㎝. Strip seeding cultivation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em and root growth when seeding distance was 30 ㎝ grains and quantity of seeding was less then 23 g. In the case of transplanting cultivation, it’s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em growth when diameter of root was over then 10 ㎜ and direction of rhizome was top and bott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hat to clearly establish the techniques of cultivation of managements and it’s will be suggest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activation of wild-simulated ginseng.
        57.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Ginseng produced by hydroponics can be cultivated without using agricultural chemicals; thus, i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s, medicines, and cosmetic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to obtain the highest levels of ginsenoside and ginseng, as this was not previously unknown. Methods and Results: One-year-old organic ginseng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nd cultivated using hydroponics for 150 days in a venlo-type greenhouse, using ginseng nursery bed soil and a nutrient solution (NO3 −-N; 6.165, P; 3.525, K; 5.625, Ca; 4.365, Mg; 5.085, S; 5.31 mEq/ℓ). Ginsenoside content and fresh and dry weights were higher at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than at 30, 60, 90, and 150 days.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11.86 times higher in the leaf and stem than in the root at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Ginsenosides F1, F2, F3, and F5 were detected in ginseng leaves and stems. These chemical compound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altering skin properties, including whitening, anti-inflammation, and anti-aging. Conclusions: Optimal harvesting time for ginseng cultivated using hydroponics was 120 days after transplanting when the biomass and ginsenoside content were highest.
        5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3-year period from 2013 to 2015 in the mid-northern inland, Cheolweon, Korea, to investigate changes in flowering date,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and yield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an early-maturing rice variety, ‘Joun’. Thirty-day-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t four different dates at 15-day interval from May 5 to June 19. Flowering dates were July 16, July 21, July 31, and August 14 when transplanting was performed on May 5, May 20, June 4, and June 19, respectively. Late transplanting resulted in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before flowering but late-transplanted rice required fewer days and lower cumulative temperature to reach flowering from transplanting. As transplanting was delaye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after flowering decreased, whereas daily sunshine hours for the same period increased, with a temperature of 24.8°C and sunshine for 5.8 hours being recorded at the transplanting on May 5, and with a temperature of 21.0°C and sunshine for 7.7 hours at the transplanting on June 19. With late transplanting, panicles per square meter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spikelets per panicle showed an increasing tre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ximum head rice yield was attained from the transplanting on May 18, for which the flowering date was July 21, and daily mean temperature for 40 days from that flowering date was 24.6°C. A decrease in head rice yield by 5% and 10% of the maximum was observed for rice transplanted on June 6 and June 15, which resulted in flowering dates of August 2 and August 11, respectively, and the daily mean temperatures for 40 days from flowering were 23.2 and 21.7°C, respectively. Therefore, in mid-northern inland, it is recommended to transplant ‘Joun’ on May 18 to induce flowering on July 21, when grain filling is subjected to a daily mean temperature of 24.6°C during active filling stage.
        5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4 and 2015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planting density on panicle produc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anicle production with yield traits in the mid-maturing quality rice cultivar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Number of tillers per square meter increased by reducing planting distance and increasing seedling number per hill.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until maturity and were reflected in the final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although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decreased as rice growth progressed. However, increase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following dense planting did not improve head rice yiel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was not correlated with other yield components or head rice yield. Head rice yield was not correlated with head rice percentage but was close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lled rice yield. Milled rice yield did not increase with grain filling percentage but increased with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increased with both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panicle number per square meter, although the former had a greater influence. Therefore, we conclude that head rice yield of the ‘Haiami’ cultivar grown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is not improved with an increased panicle number following high planting density but it could be improved with high milled rice yield by increasing spikelet number per unit area.
        6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high-quality colored rice producti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s a critical factor.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 is temperature, which includes the accumulated and average temperature during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ages. Generally,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th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by shifting the transplanting da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high-quality red-colored rice production. Four red-colored rice varieties (Jeokjinju, Jeokjinjuchal, Hongjinju, and Gunganghongmi) were used as test materials. The transplanting dates were May 20 and June 5, 20, and 30 in 2015~2016. The most variable factor controlled by the transplanting date was the grain filling rate. The varieties transplanted on June 30 showed low yields owing to the decrease in the grain filling rate. In contrast, the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delay in the transplanting date. Collectively, these two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was June 20. The average temperature for 30 days after the heading date (30DAH) highly affected the polyphenol content. A lower temperature during the 30DAH induced higher polyphenol contents but also caused low yield. The optimum 30DAH temperature for obtaining a higher yield and polyphenol content was 22~23°C. Using the average 30DAH and accumulated temperatures,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was calculated as June 18 to 24 in Miryang region.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of Kyeungsangnamdo region was approximately mid-June to early July, and that of Kyeungsangbukdo region was approximately early to mid-Jun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