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6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의 작업수행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인 놀이 및 여가 활동 참여도를 얻기 위해 CAPE를 도입 적용한 후 일부 지역 아동과 청소년의 학교 외 활동(놀이 및 여가 활동)의 참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CAPE를 한글판으로 번역 검증한 후, 검증된 CAPE를 일부지역의 학교를 다니고 있는 8-17세의 초∙중∙고등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을 이용하여 시행한 후 놀이 및 여가 활동 참여의 다양성, 강도, 환경적 요인 및 흥미, 성별 및 연령 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연구대상자들은 55개의 활동 중 평균 24.83개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하고 있는 활동은 친구들과 놀기, 컴퓨터 비디오 게임, 전화통화하기, 집에서 TV및 영화보기, 음악 감상하기 순 이었다. 활동참여의 강도는 4.22점으로 나왔으며 레크레이션 활동과 사회적 활동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의 활동강도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 할수록 활동의 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였다. 활동의 흥미는 평균 3.27점으로 레크레이션 활동과 사회적 활동에서는 여학생의 활동 흥미가, 그 외의 형식적 활동, 신체적 활동을 포함한 모든 항목에서 남학생의 활동 흥미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활동을 누구와 함께 하는가 하는 항목에서 혼자 활동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친구와 함께, 가족과 함께 순이었으며, 활동에 참여 하는 장소는 집, 지역사회 내, 학교 순이었다. 연령이 증가 함에 따라 가족과 함께 활동하는 빈도가 감소하였으며, 친구와 함께 활동의 빈도는 증가 하였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집에서의 활동 참여의 빈도가 감소하는 대신, 이웃집, 학교와 지역사회 외에서의 활동의 참여 빈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한글판 CAPE가 다양한 측면에서의 놀이 및 여가참여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다양한 장애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의 놀이 및 여가활동을 알아보고 참여하 는 것과 참여하게 하는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임상적으로 치료개입과 평가에 활용하는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4,800원
        6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think Alvar Aalto's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e aesthetic concept of play. This attempt is valid because he had asserted the importance of play in his design. But more fundamentally, his critical view of the instrumentalised rationalism implied the idea that a human being is “Man the Player” as well as “Man the Thinker”, of which theory was elaborated in Johan Huizinga's Homo Ludens (1938). Premised on i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volution of the play idea in aesthetics and located Aalto's concept within the map. Summing up, his play was an intuitively grasped desire opposed to a rational requirement, which leads to a dialectical synthesis. This schema is similar to that of Schiller, in which Spiel reconciles the reason and the sense. However, Aalto's play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the "astonishingly rational" and "a jest", each of which roughly corresponds to the Spieltrieb (play impulse) and the sinnliche Trieb (sensuous impulse) in Schiller's thinking. On the other hand, Aalto's architecture illustrates play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overflow of surplus energy. This play is the very concept that can bridge the gap in the form-function formula of modern architecture. Aalto's play idea seemed to basically originate from his personality but its value must be confirmed by the Finnish litterateur Yrjö Hirn as Aalto mentioned in his statements (1953 & 1972). It appears that Aalto's play concept was materialised in architecture through his typical design language, such as the undulating wall, the aperspective space, the imitation of nature and the collage of heterogenous elements. However, we should be careful not to reductively analyse the application of play in practise. As Huizinga's comprehensive theory suggests, the play element exists in any cultural areas including any architectur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Alvar Aalto the Homo Ludens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critical rationalism in modern architecture by imbuing dry modernism with "the life enhancing charm" of "the art of play".
        5,100원
        63.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 학령기 아동의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선정을 위하여 2007년 10월 19일부터 20일까지 경남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 지역별로 2개교를 선택하였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중 204명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자 료 분석은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아동의 놀이 선택 빈도는 컴퓨터하기가 139명(13.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TV보기가 117명 (11.4%)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이 가지는 놀이 가치는 정서적 가치(20.0 ± 3.53), 사회적 가치(17.2 ± 4.08), 신체적 가치(15.3 ± 3.81), 인지적 가치(13.7 ± 4.77)순으로 나타났다. 놀이 선택은 대상자의 성별과 주거형태, 놀이를 하 는 장소, 아동이 다니고 있는 학원의 수, 놀이를 함께하는 인원수, 놀이를 함께하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의 상관관계에서는 축구하기와 아동의 신체적 가치, 그림그리기와 인지적 가치, 만화책 보기와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 사이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아동이 가지는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이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기인하여 실시하였 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놀이 가치와 놀이의 상관관계에서 축구하기와 아동의 신체적 가치, 그림그리기와 인지 적 가치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만화책보기 놀이는 정서적 가치, 인지적 가치사이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놀이 가치와 놀이 선택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아동의 작업을 선택할 때 의미 있으리라 생각된다.
        4,600원
        64.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formed the unique culture through the exchanges with the neighboring civilization with the exclusion, the acceptance in pursuit of change. However, we've experienced some of distortion. Accordingly, a lot of tradition has lost and foreign culture t
        4,300원
        6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컨텐츠 제품으로 등장한 온라인 게임 중 물리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전혀 다른 형태의 세계로 발전해간 두 개의 제품, 리니지와 에버퀘스트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게임 인식과 소비 행위에 따라 게임의 성격이 어떻게 다르게 규정되고, 그리고 소비자의 행동 특성이 특정 제품의 성격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탐색하였다. 첫째로 각각의 게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게임의 매력과 만족을 주는 주된 활동, 친구관계, 캐릭터의 선택과 육성의 측면에서 비교해 본 결과, 리니지 게이머들은 리니지 세계를 현실과 유사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에버퀘스트 게이머들은 에버퀘스트 세계를 게임 자치로서의 기능에 초점을 둔 환타지 세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게임 인식에 따른 게임 소비 행동을 게임 속 공동체 활동과 연애와 같은 사적인 관계의 측면에서 비교해본 결과, 구체적인 게임 소비 행동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게임과 같은 사이버 공간의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 또는 컨텐츠 제품들의 경우, 소비자가 지닌 경험이나 가치에 따라 제품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런 인식의 차이는 각각의 소비자들이 동일한 제품도 다르게 소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디지털 이미지 또는 컨텐츠 제품들의 가치와 의미는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4,600원
        68.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Play may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children’s occup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play history of 5∼7 years old using Takata’s Play History. Method: The number of subjects were 63 kindergarten children whose ages were 5∼7 yeras ol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in from June 27 to July 3, 2002. The stud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was based on Takata’s Play History. The previous play was analysed from the 4 different categories of play characteristics. The χꊔ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play of each age group. Results: The playing characteristics (toy, playing form, playing time., etc)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groups. Overall, Different play trends have been found among different age group by applying Takata’s Play History. Conclusion: The play trend of child can be forecasted by appling Takata’s Play History to the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screening play ability for normal child and abnormal child. Therefore Takata’s Play History will help occupational therapists to evaluate children’s play ability.
        4,600원
        73.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둑태우기가 벼해충 및 천적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향 1987년 2월 20일 수원시 서둔동에 위치한 시험포장의 논둑에서 불태운 곳과 태우지 않은곳에서의 해충 및 천적밀도를 조사한 결과 불태운 직후에는 논뚝이다 그 주변에 해충(주로 애멸구약충)도 천적(주로 거미류)도 하나도 없었다. 불태운 후 약 60일이 지난뒤에는 식생과 동물상이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하여 불태우지 않은 곳에 비하여 불태운 곳의 초생이 왕성하여졌고 75일이 지난뒤 (5월 상순)에는 해충과 천적의 밀도가 높아졌다. 해충이나 천적밀도를 회복시킨 개체들은 모두 가까운 주변으로부터 확산 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만일 불태운 면적이 훨씬 더 넓었을 경우에는 곤충류의 밀도회복에 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며 날개가 없는 거미류는 날개가 있는 해충류보다 밀도회복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황산적거미는 에서 섭식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일반 해충류(특히 애멸구)보다 발육임계온도가 낮으므로 이른봄의 영야요구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울러 불태운곳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일반 해충류보다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쥐불놀이(음력 정월 대보름)를 하는 날짜가 해에 따라 대부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논둑에서 월동하는 절족동물중 해충류보다 천적류(거미류)의 발육임계온도가 낮기 때문에 쥐불놀이에 의한 천적류의 사망율이 해충류보다 높을 거승로 추정되므로 추후 대규모 시험이 필요할 것이나 현재의 입장에서 볼때 쥐불놀이가 논둑이나 제방에서 월동하는 해충류의 방제에 공헌할 것이라는 논리를 학문적으로 정당화 시키기에는 근거가 미약한 것으로 생각된다.부의 flux를 나타냈다.껍질에서만 검출되었다. 이 값은 A, B자리 모두 에 해당된다.라 수집하는 것이 최선의 망 운영방법이다. 자동관측시스템(AWS) 설치 시 기존의 무인감시카메라와 무선중계탑을 최대한 활용하되 무인감시카메라 설치위치와 무선중계탑의 설치위치 가 산불위험지역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산불 등 각종 산림재난 방지와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동기상관측시스템(AWS)의 설치 위치는 산불발생확률모형에서 산정된 위험지역 내에 설치하는 것이 산불발생 위험지역을 판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기상청과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기상관측 장비들은 대부분 도시를 중심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어 산림 또는 산악에 설치된 기상관측 장비의 수는 적은 편이다. 따라서 산림과 산악에 기상관측 장비의 보강은 필수적이다. 관측망 구성은 기상청의 관측 표준(안)을 준수하며, 설치 지점의 특성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장비구매 설치 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차후 장비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소지가 있어 가능한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되 동일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 따라서 위의 망구축이 이루어져 현재 기상청이 설치 운영하고 있는 측정 장비에 의해 취득한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표출하면 더욱 상세한 자료의 획득과 활용이 기대되어 진다. 또한, 금번 논문에서는 산불위험지역의 격자점(15km)내에 최소한 1대의 AWS 설치방안을 제시하였지만, 금후에는 15km내에서도
        4,000원
        74.
        197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봄철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기주선택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태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애멸구 약충은 둑새풀이나 벼에 비하여 보리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고 둑새풀과 벼사이에는 별 차이없이 식이선호성이 낮았다. 끝동매미충 약충은 벼 보다는 독새풀에 대한 식이선호성이 현저히 높었다. 2. 보리, 둑새풀 및 벼에 대한 애멸구의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간에 차이가 없었고 끝동매미충은 벼에 비하여 보리와 둑새풀에 대한 산란선호성이 현저히 낮았다. 3. 애멸구는 보리에서 약충의 발육이 빠르고 우화율이 높았으나 둑새풀에서는 발육이 늦고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끝동매미충은 보리에서는 약충기 사충율이 로서 한마디리로 우화하지 못하였으며 둑새풀은 벼에 비하여 우화율이 크게 낮았다. 4. 보리에서 사육한 애멸구 성충의 평균수명과 평균산란수는 각각 32일 182개인데 비하여 둑새풀에서 사육한 것은 성충의 수명이 9일이었고 산란수는 불과 13개이었다. 둑새풀에서 사육한 끝동매층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5일, 평균산란수는 24일기이었다. 5. 벼 진흥의 유묘에서 얻어진 애멸구, 끝동매미충 성충을 보리와 둑새풀에 옮겼을 때 애멸구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27일, 둑새풀에서 9일이었으며 끝동매미층의 평균수명은 보리에서 8일, 둑새풀에서 12일이었다. 6. 월동 애멸구, 끝동매미충의 증식 가능 여부면에서 볼 때 애멸구는 보리를 좋은 기주식물로서 선택하나 독새풀은 그렇지 않으며 보리는 끝동매미충의 기주식물로서 그 가치가 낮아 세대의 증식이 크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11.6%으로 세대간차가 심하였으며 보리에서 5월 17일 접종구의 평균성충수가 였음을 생각할 때 기주의 생리적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이상으로 보아 애멸구의 선천적 증식능에는 세대간차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기주의 생리적 조건은 기상적 조건이나 천적과 아울러 밀도변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애멸구의 강한 이동성도 이와 같은 점과 유관한 것으로 추측된다.구방제효과가 월등히 좋았고 Omethoate보다는 Carbofuran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2. Carbofuran 1회 액상근부처리는 Carbofuran 2회 수면시용과 대등한 수도해충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3. A포장에서 보다 B포장에서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그것은 B포장에서의 약제처리시기가 이화명충 방제적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 같다. 4. Carbofuran 1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육기간에 걸친 수도해충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이었다. 따라서 양자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기간 중 필자의 주장을 뒷받침 해 주는 중요한 새로운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다. 즉 1946년에 흰둥멸구의 대발생으로 충남, 전남지방에 피해가 심했으며 그중 피해액이 밝혀진 곳은 라주군에서 16만석, 서산군에서 19만석이었다. (당시 농사시험장 곤충담당관 이봉우씨 담, 현재선 교수 전) 1910년 이후의 우리나라에서의 벼멸구 생기록을 보면 항상 흰등멸구와 함께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의 예찰등성적을 보아도 함께 나타나 있고, 해에 따라 1975년도와 같이 벼멸구가 대발생하는 수도 있
        4,000원
        75.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놀이 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할 때 필요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4단계의 연구절차가 수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영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관련된 국내ㆍ외 문헌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11명), 대학교수(4명), 유치원 교사(13명)을 인터뷰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학과의 특성화 방향을 반영하여 핵심역량을 개선하고 수정하였다. 이후 3단계에서 B시, U시, G도의 영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필요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누락된 답변이 없는 124 부의 요구도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분석하였고, 각 분석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10개의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과의 인재상과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핵심역량으로 교직윤리, 의사소통, 영유아이해 및 지도, 영유아교수학습, 교육평가의 이해 및 활용, 영유아교육 기관 운영, 창의적 문제해결력, 예술적 감수성의 8개 핵심역량을 확정하고 전문가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8개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76.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와 바깥놀이 시간에 대한 유아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 관찰영상 전사본, 현장약기(field notes)가 수집되었고 수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은 탐색과 놀이 결합, 탐색과 실험, 도전의 범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탐색과정에서 자신이 발견한 점을 친구들에게 선언하고 다른 방법의 탐색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탐색활동은 놀이와 결합되었고 두가지 놀잇감을 결합하여 새로운 놀이가 즉흥적으로 창안되었다. 널빤지 탐색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길을 만들어 가면서 탐색, 실험,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난 놀이변형과 개방성의 양상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 융통적 규칙과 놀이방법의 범주로 나타났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은 유아의 놀이 변형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놀이 참여자들의 공동의 가상적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고,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규칙을 수용함으로 놀이규칙과 방법에서 융통성의 모습을 보였다.
        77.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실개천에서 놀이체험을 통하여 경험하는 놀이 의미를 심층적으로 알아 가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Max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을 적용하여 아동들의 생활세계를 4개의 실존체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 신체성은, 오감으로 만나는 새로운 세계로의 체험, 두 번째,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의 시간성은, 생물들의 신비로움에 몰입되어 시간의 흐름을 모름, 세 번째,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의 관계성은, 아동-아동 간에는 자연물을 형상화한 놀이 감으로 게임을 재현하는 관계, 아동-성인·노인 간에는 옛이야기를 전해 듣는 재미에 빠져드는 체험,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의 공간성은, 기후의 변화로 실개천 놀이터의 의미를 달리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실개천을 보호하고 복원하여 교육현장으로 제공하는 성인, 노인, 부모, 또한 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교사들에게 아동들의 실개천에서의 놀이체험을 통하여, 자연이 주는 새로운 교육체험에 대한 의식의 전환과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78.
        2017.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3명, 만 4세 3명의 다문화가정 유아였다.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을 1주일에 2회씩, 16주 동안 총 32회 실시하였고, 매주 생활주제에 맞춰 국악곡을 선정한 후 1차시는 국악 익히기, 2차시는 국악 부르기와 말놀이 활동을 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음운인식능력과 어휘력 증진 측면에서 국악을 통한 말놀이 활동의 가치를 발견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7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rns about potential risks and hazards in children’s playgrounds are increasing and the restrictions for environmental harmful substances in playgrounds have been reinforced in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analyzed in 142 samples including 105 of sand flooring and 37 playing equipment such as swing, slide, sporting equipment, bench and fence in 18 children’s playgrounds. Heavy metals in sand flooring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by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ason, rainfall, post-rainy day, and artificial factors as road, type, and material of nearby play equipmen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Pb, Hg, Cu, and Z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nd flooring near the play equipment than at places away from the playing equipment (p < 0.05).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lay equip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nd flooring with regard to the concentration of Pb (r = 0.42, p < 0.01) and Cu (r = 0.39, p < 0.01).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and floor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eason, post-rainy day, the distance from a roadway, type of equipment, and the material. The play equipment’s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d to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sand flooring’s surface in playgrounds.
        8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들에게 재미와 감동과 추억을 모두 쌓을 수 있도록 자연놀이와 통합한 원예활동을 제공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 상호작용 과 대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 시키고자 자연놀이 원예복지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 으로 만 5세 유아 총 38명으로, 대조군 19명은 누리과정에 맞는 유아교육기관 생활 외에는 다른 활동 프로그램은 실시하지 않았으며, 실험 군 19명은 Bandura(1977)의 친사회성 관찰학습을 모델로 자연놀이 원예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4월 7일부터 6 월 30일까지 주1회, 회기 당 9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제작은 유아교육기관 원장 1명과 보육교사 1명, 유아놀이 및 유아 숲 지도사 1명, 원예치료 박사 1명, 원예치료사 1명 등에게 자문을 받아 내용타당성 검사 후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자연놀이 원예복 지 활동내용은 손도장 찍기와 땅 고르기, 친구 찾기와 파종하기, 두껍이 집짓기와 모종 이식하기, 꽃 장식과 꽃모종 심기, 소꿉놀이와 식물 관찰, 돌탑 쌓기와 지지대 세우기, 꽃구경 놀이로 플라워 랜드 축제견학, 물총놀이와 웃거름 주기, 보물찾기와 순지르기, 푸드아트와 햄버 거 만들기, 바람놀이와 작물수확하기, 그리고 마지막 회기에는 꽃목걸이를 만들어 자신의 목에 걸고 꼬마 정원사 수료증을 수여하였다. 평 가도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 또래 상호작용 평정척도, 대인 문제해결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독립 t-검증으로 그룹의 동질성을 비교하였고, 그룹 내의 사전 사후 변화 비교는 대응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두 그룹간의 효과성을 비교하기 위해 ANCOVA로 분 석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행동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핸드폰을 이용하여 목소리를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소리는 Cool Edit Pro2.1을 사용하 여 음의 파형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인 도와주기, 나눠주기, 협력하기, 공감하기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또래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에서도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과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 에서 매우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대인 문제해결 능력의 하위영역에서 정서 반응과 문제해결 전략에서도 실험군은 매우 유의한 향상 을 보였다. 그리고 자연놀이 과정 중 유아의 웃음소리를 도로 교통음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아의 웃음소리에는 도로 교통음과 달리 부드럽 고 힘이 있었으며, 강한 에너지가 집중되거나 밀집되는 부분이 없이 주파수가 고르게 분포되어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고 긍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놀이 원예복지 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 상호작용과 대인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 과적인 통합적 원예활동이었다고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