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6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밀레니얼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함에 따라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를 겨냥한 뉴트로 스타일이 하나의 트렌드로 부각되면서 최근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레트로 스타일인 뉴트로가 유행하고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관점에서 유형화하고 연구 관점을 제안한다. 둘째, 알렉산드로 미켈레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영입된 구찌 브랜드 컬렉션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특성 관점에서 구찌 컬렉션의 특성을 도출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사례고찰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관점에서 구찌 컬렉션에 나타난 뉴트로 스타일은 유희성, 다양성, 환상성의 특성으로 나타 났다. 구찌 컬렉션에 나타난 유희적인 요소는 낙서적인 그라피티 패턴과 만화 캐릭터 이미지의 차용과 서로 다른 스타일의 옷을 레이어드하는 착장방식으로 어울리지 않는 옷들의 조합을 통해 촌스러움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다양성은 민족적인 에스닉과 특정 시대를 연상하게 하는 요소로 표현되었다. 또한 힙합 스타일과 남녀의 성별의 구분이 없는 앤드로 지너스 룩을 통해 다양성 추구를 표현하였다. 낭만과 환상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성향은 환상적인 이미지를 차용하여 옷에 그대로 프린팅하거나 이질적인 소재의 결합 또는 엉뚱한 사람 머리의 인형, 우산, 부채 등의 오브제를 통해 연출되었다. 이처럼 뉴트로는 과거의 레트로에 현대적인 재해석을 통해 보다 젊은 세대의 감성에 부합하는 하나의 패션 트렌드로 나타났으며, 향후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뉴트로 스타일에 대한 개념 정립과 스타일 분석이 후속 연구를 통해 진행되길 제안한다.
        62.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속성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인스타그램 이용자와의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세대유형별에 따른 인플루언서의 속성(신뢰성, 매력성)과 관계유지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모바일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세부적인 연구로써 정보 제공자와 정보수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서의 속성 중 신뢰성과 매력성에 대하여 소비문화에 중요한 Z세대(generation Z)와 Y세대(millenials)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조사방법은 패션·뷰티 분야의 인플루언서(男/女) 4명의 인스타그램 계정 및 게시물을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설명과 함께 예시물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계유지에 대한 영향력은 인플루언서의 신뢰성보다 매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인플루언서 속성과 관계유지 사이에 Z/Y세대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매력성에는 차이가 나타났고 신뢰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영향관계 값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면 Z세대는 신뢰성보다 매력성에 더 높은 영향관계를 나타내며 Y세대는 신뢰성에서 더 높은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플루언서와 소비자들과의 관계에서는 진정성을 바탕으로한 신뢰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기본 속성으로써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인플루언서들의 장점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면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지속적인 관계유지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6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품디자인의 완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요인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감성디자인 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Next Generation)들의 추세는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구매 충동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차세대 노트북을 선정하였다.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과정에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아이디어 도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정들을 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논문의 연구내용은 노트북 특성에 따른 감성디자인 개념을 이해하고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에 의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한다. 이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안에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은 필수적인 감성디자인 트랜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 요소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실무적인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을 위하여 감성디자인 트랜드의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본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한 감성디자인 트랜드를 적용한 실질적인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과정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차세대 노트북디자인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신제품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64.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급속히 변해가는 고령화 시대에 늘어나는 뉴 실버세대들에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있어 그에 맞는 청각 신호 제작 방안에 대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뉴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제작시 청력상태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복약 알림앱을 제작하여, 알림음을 제작함에 있어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알림음 제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운드디자인 제작시 실버세대의 청력상태를 고려하여 필요 청각신호 구성요소를 문헌 조사를 통해 소리 크기, 음색, 음고 등의 필요항목을 설정하였고, 이에 맞는 사운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사운드는 스팩트로그램 및 FFT(Fast Furier Transform) 분석을 통해 선정된 항목들에 부합한지 분석하였다. 실버세대들을 위해서는 청력상태 등 별도로 제작 및 고려되어져야 하는 측면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적인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비해 소리에 대한 청각 인터페이스 속성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운를 통해 실버세대를 위한 모바일 청각 인터페이스 제작 예의 하나로 제안하며, 실질적으로 필요한 청각 요소들을 제안하여 실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향 후 실버세대를 위한 청각인터페이스 및 사운드 디자인시 보다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6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전자가 자율주행자동차로부터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구성요소의 추출에 그 목적이 있 다. 또한 추출된 디자인 구성요소의 지각이 밀레니엄 세대와 뉴 실버 세대 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신뢰 감을 2차 구성개념으로 정의하여 심성모형과 전문가/전문지식, 공통목적, 교육, 의인화, 피드백, 인과관계 정보, 그리고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8개의 1차 구성개념을 추출하였다. 이해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데이터(N=548)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심성모형과 전문지식, 공통목적, 의인화, 피드백, 인과관계/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6개의 1차 구성개념은 2차 구성개념인 신뢰감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뉴 실버세대에게는 의인화와 인과관계/에러정보가 밀레니엄 세대와 비교하여 신뢰감 형성에 보다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는 반면에, 밀레니엄 세대에게는 심성모형과 전문지식, 공통목적, 그리고 피드백이 신뢰감 형성에 보다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0년대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 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 발 또한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확정되어가는 시점에서 등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관련 산업분야별 신시장 창출과 미래 신성장 동력엔진의 먹거리, 차세대 일자리 창출 의 필요성으로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의 의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D 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 개발의 방향성 탐색의 단초 및 그 흐름을 제시하는데 그 배경과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을 행한다. 둘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미래의 주사용자 즉, 차세대 집단의 의식조사 분석을 통한 태도연구를 실시하 여 미래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장에 대한 선도적 개발 방향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 용한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차세대 의식조사 연구는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통계로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 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인 크론바흐 기법 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셋째, 설문대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차세대 주 사용자인 수도권 20대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 형태로 조사되었으며 설문항목은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 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 문항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 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또 주사용자인 차세대 집단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비구매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격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기능 등 특히, 가격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67.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해양 사고 및 그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선박의 안전 항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해양 사고에 대한 규제를 강화 하고, 최신의 IT 기술들을 적용한 다양한 항해 장비들을 개발하여 항해사의 안전운항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너무 복잡하고 많은 정보를 무 분별하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항해사의 의사결정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어 정보를 표시하고 서비스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항해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 였으며, 이를 통해 항해사가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차세대 항해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 한, 구현된 요소 기능들은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및 실선 시험을 통해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과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6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2000s, wearable devices had been produced for the purpose of medical service and entertainment. With the growth of mobile devices that improved interaction with human beings, wearable devices that cost high although showing their potential have been developed and made for special industries such as military and logistics control, and thus have faced a great deal of difficulty with market creation. In 2015, wearable devices have tended to expand into general markets, including health care, sports, and ga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empirical survey on the next-generation users' awareness of wearable devices that emerged at the time when smart devices have changed their direction from something to carry to something to wear, and thereby to perform empirical preliminary research on the leading development direction and system establishment of the futuristic wearable device market. The study scope and method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o analyze and outlook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and expected effects of wearable devices, previous studies are investigated and theoretical study is conducted. Secondly,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future main users of wearable devices, or the next-generation user group, is conducted to look into their attitudes. Thirdly,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n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study, and attitude research are used as the empirical material necessary for the leading development direction and system establishment of the futuristic wearable device market. The stud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who are the next-generation main users of wearable devices. They had person-to-person in-depth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brand, interest,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the extent of interest desire, the extent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and complementary factor for purchase.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and conclusions: Regarding the questions about interest in wearable devices, the extent of interest desire, the extent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and complementary factor for purchase, the positive repl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less of sex, and there was high reliability of each question.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was not independent and thus it was proved that they had correlation. Typical global brands were found to be Apple Watch, Samsung Gear, and Google Glass in order. The most important non-purchase factors that the next generation group as main users had were price, function, and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6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스마트폰은 다양한 정보기기들 사이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며 현대인들의 일상의 한 부분을 차지 하게 되었다. 그 중 앱 아이콘은 단순한 인지적 차원의 디자인이 아니라 사용자의 시각적, 정서적 인식에 영향을 주어 효과적인 소통을 도와주는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대부분의 앱 아이콘은 젊은 세대의 욕구를 반영하여 심미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디자인되어있기 때문에 뉴실버세대는 이를 사용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과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렇듯 뉴실버세대를 고려하지 않은 앱 아이콘은 이들의 사용의 사를 억제하고 접근성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아이콘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논문을 통해 분석한 뉴실버세대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 였고 이를 바탕으로 앱 아이콘 디자인 구성요소를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후 선호도를 도출하였다. 결론 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뉴실버세대까지 고려한 앱 아이콘을 디자인한다면 그 사용성은 더욱 향상 될 것이다.
        70.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다. 고령화 사회의 특징은 길어진 기대수명으로 인한 노년기의 연장 현상이다. 이런 고령화사회에서 뉴 실버세대들이 웹 환경에서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정보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접근성 및 사용 편의성 뿐 아니라 그들의 감성적 특성까지 고려된 디지털콘텐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뉴 실버세대의 특성을 신체적, 인지적 요소와 감성적 가치요소들로 나누어 파악한 후 뉴 실버세대의 감성, 가치관과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뉴 실버세대의 감성을 반영한 디지털콘텐츠 제작 시에 고려해야 할 필수요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뉴 실버세대를 위한 디지털콘텐츠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색상, 이미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정보 및 기능적인 측면, 인간의 인지 및 감성 구조를 포괄하는 사회 문화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7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뭄저항성벼의 복수세대에 대한 후대안정성을 서던 블롯과 PCR로 분석한 결과, 가뭄저항성벼의 CaMsrB2-8 T4 ~ T6 세대에서는 도입된 모든 유전자들이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있으며, T-DNA 구성요소 이외의 backbone DNA는 가뭄저항성벼에 삽입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목적 유전자인 CaMsrB2와 제초제 저항성 선발 마커인 bar가 가뭄저항성벼의 CaMsrB2-8 T4 ~ T6 세대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됨을 검증하였다. 제초제 저항성 선발 마커로 도입된 PAT 단백질의 발현 분석 결과에서도 CaMsrB2-8 T4 ~ T6의 3세대에서 생육시기별, 부위별로 안정적으로 발현됨을 입증하였다. 도입유전자의 삽입 위치를 확인한 결과, 가뭄저항성벼 CaMsrB2-8의 도입유전자가 벼 1번 염색체 내에서 intergenic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기법을 통해 복수세대에서 가뭄저항성벼의 도입 유전자들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목적 단백질들이 안정적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80.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improvement of germination rate by breaking seed dormancy in barley, In spring and fall planting, Post-harvest treatment of seeds such as air-dried (24 hours) or soaked in the 100 ppm gibberellin for 10 to 30 minutes imp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