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63.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태도시계획의 핵심토대로서 UBM(Urban Biotope Mapping)과 BIS(Biotope Information System)는 총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2단계의 연구로서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지로 한 도시비오톱 유형분류방법을 규명해 보고 우리 나라 적용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유형분류결과 biotope group complex는 총 12개, biotope group은 총 67개, detail biotope은 총 1,120개로 나타났다. 면적점유율 및 분포현황의 분석결과 습지초원 및 반건초지 초원비오톱(전체 면적 0.8%)이 희귀비오톱으로 분류되었으며, 분구원지역비오톱(전체 면적의 2.8%)의 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도시발전형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상이성보완이 필요하고, 더불어 기타 도시생태관련자료에서 지형(적)도(1 : 5,000) 및 적외선 칼라항공사진(1 : 5,000)은 최소한의 자료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600원
        66.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cosystem and promote a sustainable use of the natural environment, by classifying the types of damaged land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and form, cause, and impact of damage. Moreover, the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by each typ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assessment of damaged lands, the changed areas were identified utilizing land cover maps. Video analysis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88 sites were obtained. Second, the types of damage were classified into ecological infrastructure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sub-factors of the cause of damage were classified into 12 factors. Third, each evaluation system for the types of damage was composed of four steps, considering each type of damage and the level of evaluators being higher than paraprofessionals. To supplement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utilize the database of damaged lands other tha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onduct an on-site survey for verification in the future.
        6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공간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를 체계적으 로 설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지만 디지털 게임 공간을 설계하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게임 속 공간들을 유형별로 분류 및 정의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 게임 공간을 분류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해당 기준들은 각각 ‘서술형태, 협업 정도, 상호교 환 정도, 공간 동작 차원, 공간 형태’ 이다. 이후 본 연구는 확보된 기준들을 바탕으로 20년간 가장 주 목받은 게임들 분류하여 그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대표 공간 유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해당 분류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 공간 설계 및 구현 인원들에게 디지털 게임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함에 건축 및 조경의 영역에서 활용되 고 있는 각종 설계 방법론의 차등적 적용이 가능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6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자연재해 관련 연구는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나 폭풍이나 폭풍우에 의한 재해의 발생 빈도도 높다. 폭풍과 태풍에 의해 발생하는 강풍에 의한 피해는 현재까지 거의 연구가 수행되지 않고 있지만, 최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강풍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강풍을 분류하고 그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강풍 사례’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 AWS와 ASOS의 시간평균풍속을 기준으로 14m/s(기상청 강풍주의보 기준)이상인 풍속이 10개소 이상이 나타난 경우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강풍사례’의 24시간 전 일기도를 이용한 종관 분석을 실시하여 기압 배치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였다. 강풍발생에 영향을 준 기압 유형에 따라 중국 화북, 화중, 화남지역에서 발생한 경우를 유형 CN, CC, CS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동해안에 저기압이 발생한 유형은 KE, 태풍은 유형 TY,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인해 강풍이 발생한 유형은 H로 정의하였다. 연간 강풍 발생 횟수는 2004년, 2005년, 2006년이 각 10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최근 10년간의 강풍 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발생 횟수의 증가·감소 경향을 판단할 수 없었다. 2001년과 2007년을 제외한 모든 해에는 유형 H가 발생하였고(총 22회) 강풍 사례 중 유형 H와 KE에 의한 것이 전체 사례의 53%로 나타났다. 유형 CN은 2004~2006년에만 총 4회 발생했다. 강풍 발생 유형의 빈도수는 H, KE, CC, TY, CS, CN으로 나타났다(유형 CC와 TY는 동일한 빈도수).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인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종관 분석을 통해 강풍사례를 분류하였지만, 이를 보다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면 일반인(비전문가)도 강풍유형 분류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더 많은 강풍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강풍 분류를 보다 객관적으로 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할 필요성을 가진다.
        69.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비위생 매립지는 대부분이 소규모이며 접근이 어려운 산간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이 나대지나 소규모 농지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토의 면적이 좁은 국내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비위생 매립지를 단순한 나대지나 농지로 방치하기보다는 적극적인 활용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위생 매립부지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경북지역 비위생 매립지의 매립지 현황을 파악하고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매립지별 특성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원 및 생태복원 등 자연환경 조성방안, 체육시설과 주민복지 시설 등 레저시설 도입방안, 태양광 발전 및 환경기초시설 등의 환경/에너지 시설 방안으로 매립지 유형별 부지 활용 범주를 제안하였다.
        7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시 사업특성과 지역성이 고려되지 않으므로 인한 획일적인 내용과 현장여건이 미반영된 저감방안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광주․전남권에서 진행된 25개 환경영향평가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인자, 저감방안 등에 대해 사업분류별로 분석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은 대상지 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의 특성에 따라 영향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인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상지 및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형태와 지형경사를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토지이용형태에 대해서는 도시지역, 산지지역, 수변지역, 전원지역으로 세분하였으며 지형경사는 평탄지, 경사지, 혼합지(평탄+경사지)로 세분하였다. 저감방안에 대해서는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내용을 제안함으로 인해 기존의 사업별 분류에서 나타나는 단점인 대상지역과 주변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대해서 유형분류 방법과 각 유형별 저감방안에 대하여 평가지표 개선에 대해서 제안하였으나 기존 유사연구가 빈약하고 연구대상 및 기간이 전남․광주권역, 5년으로 한정되어 있어 앞으로 다양하고 많은 사업을 대상으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평가지표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7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39 rural villages in Korea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fter producing a land-use map of rural villages, this study quantified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ites as 18 landscape indexes using Fragstats. By applying the landscape index as a variable, selecting 4 factor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it classified them into 3 groups. Rural villages of Korea have their unique types of land-use due to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geography, climate and ecology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can be analysed and classified using the landscape index, the quantified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7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break from the urban ecology-oriented biotope research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rural landscape as a reserve area for systemizing the types of rural bioto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ems for classification of 16 rural biotope areas are designed and total 9 itmes in slope from spatial structural point of view and 7 items in minute-variety from functional point of view. Also, as the result of on-site research on case areas based on classified items, there are 46 types of rural biotope such as coniferous forest, hedgerow and so on. For example, it is proven that uncultivated stripe showed the most frequent emergence.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average linkage method between clusters, 12 clusters are classified as a clusters and 13 biotope types are re-corrected and complemented through brainstorming process and then total 12 clusters are selected as final rural biotope type groups. As a rural biotope type cluster and character analysis according to types based on on-site research and documentary survey, for example, it is analyzed that the ratio of transmissible covering ratio is 100%, the ratio of green coverage is 90% in 'woodland in cultivated area biotope type cluster'.
        74.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in society organization of rural villages in our country are caused by aging society and lessening of economic activity population aggravates the economy of rural villages. With this, it joins in with the aging of village community center, the representative center space of the rural village and therefore, it is a point of view where the change is necessary in the size and the side of function. The research which it sees is made on-the-spot inspection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compensate in behalf of 25 administrative village community centers led in the object by grasping present status and drew up the layout sketches and plane surface degrees of the village community centers. By referring to the photographs and the topographical maps taken in the spot, it was able to divide the village community centers into side of arrangement, side of plane surface and side of form and managed to seize the characters, problems and improvable directions of each of them. The research result could be used as a guidable provision and be applied in the fundamental research in developing model of village community centers during space planning in the future.
        75.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intended to elicit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to classify rural landscape type,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meeting the definition through delphi expert survey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80 days by 20 experts. The delphi expert survey asked experts as follows: 1) to fill out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and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evaluation indicators; 2) to provide their own feasibility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swer; and 3) to re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definition, types, and indica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e appropriat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like the comprehensive complex of physical (objective) and nonphysical (subjective) factors characterizing natural and/or artificial scenary of rural village itself Al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units classified. The developed indicators included areal ratio,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the building coverage ratio for physical landscape field, and skyline, landscape adjectives, color landscape, semantic scale.
        7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entrance is even disappeared nowadays when the component type is changed, because it loses the actual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main entrance is changed variously depended on the materials for house and method of construction. Eleven points in the Chungyang-Gun where the environment of rural villages is well maintained was choosed researched to make data. These data of visual component elements were analysed by using the SPSS 12.0 Windows.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s of main entrance in the rural villages. From the above research, we could conclude below results. Research result, The whole quality of the farming village gate with fine feeling and constant temperature characteristic order appeared with the fact that preference quality is highest, in afterwords was analyzed. Also the research which sees led and the result which appears from the landscape quality analysis which the residential gates are general and type by landscape quality analysis the result which appear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vercomes the limit which the residential gates are general and type by landscape quality analysis the result which appear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vercomes the limit which the abstractive landscape image has. Like this research result judges currently the research which is meaning which provides a planning standards and the guideline which the governmental department and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enterprising public opinion rural village residential enterprise which is propelling from oneself are detailed. Specially about landscape quality of the residential gate that presents a type classification and preference quality from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research is insufficient the hereafter rural village improvement enterprise specially, sees with the fact that will be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is meaning to residential section the succeeding researches actively, there being could be advanced, wishes.
        77.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it is demanded to study about landscape. Landscape is an environment factor for improving life, a social resource for establishing image and identity of the area and also a tourist resource for earning profit. With this importance, landscape planning is being performed by local governments. However, classification for a rule about landscape planning is not prepared yet. For this purpos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is definitely required.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presenting method of classification Natural and Rural Landscape. We used Arcview 3.2 to draw watershed of the site, and calculated the percent of landform. We also took a picture which explain the landscape and made a survey of classifying the landscape. Due to this study, we were able to frame an algorithm of the landscape classification. This will contribute to classify the landscape type. This study needs more specific researches because it was supposed to target the entire Gyeonggi-Do however it only covered several regions. Through this results, it would be expected to develop the map of landscape character.
        7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밀 품종의 조숙화와 온난한 겨울로 인하여 봄에 나타나는 저온장해가 최근에 자주 발생하는데 생육재생기 이후 발생하는 저온장해의 양상, 발생시기 및 증상을 구명하고자 자연조건과 저온항온기 그리고 포장의 비닐 피복을 이용한 저온처리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저온장해중 줄기 고사는 -2.4∼-10.2℃ , 퇴화, 백수, 탈색등은 -2.4∼-8.6℃ ,불임은 -1.3∼-7.6℃ 의 저온에서 6-39시간 지속될 때 발생하였는데 특히 자연포장에서 많이 나타나는 저온장해는 불임과 퇴화로, 이의 유발온도는 -2.5∼-3.0℃ 였다. 2. 보리, 밀 모두 수잉기에 불임이 많이 발생하였고 출수기, 영화분화기, 화기발육기 순으로 발생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백수는 출수 전후 10일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발생정도는 출수후 10일>출수기>수잉기 순이었다. 3. 유수퇴화는 출수기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잉기, 화기발육기에도 많이 발생하였다. 부분희화도 수잉기에 많이 발생하였다. 포장에서는 영화분화기의 개체들에서도 많이 발생하였다. 4. 망 탈색은 주로 밀에서 발생하였는데 수잉기에 일부 발생하긴 했으나 출수기의 식물체에서 대부분이 발생하여 출수기에 주로 나타나는 장해라 할 수 있었다. 식물체 고사는 전 생육기에 걸쳐 발생하였고 가장 심한 피해는 출수기>수잉 >영화분화기>화기 발육기 순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온장해 발생지표로 유수장, 제1절간장, 지엽-이삭간 거리가 유용하였다. 유수장이 밀에서는 망 탈색시 9.0-9.8cm, 이삭 탈색시 7.5cm, 백수발생시 5.7-9.4cm, 이삭 퇴화시 0.2-9.2cm, 줄기고사시 0.3-3.8cm로 나타났고 보리에서는 백수발생시 평균 3.4-7.0cm, 부분퇴화가 4.2-5.2cm, 퇴화가 0.4-5.4cm, 줄기 고사가 0.4-0.6cm로 차이를 보였다. 제1절간장은 보리, 밀 각각 0.3-8.4cm, 0.2-24.2cm로 신장정도에서 저온에 따른 변이를 보였고, 지엽-이삭간 거리도 보리 -2.5∼-7.4cm, 밀 -0.6-11.5cm로 신장정도에 차이가 컸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