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6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 설치한 유아등에 채집되는 멸구류를 비전문가들도 쉽게 동정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서 운영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검색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정확성 검정을 위해 곤충 동정 경험이 없는 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흰등멸구의 동정 정확성은 56%에서 83%로 증가하였고, 애멸구의 동정 정확성은 47%에서 80%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벼 멸구의 동정 효율을 높이는데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4.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산강 수계의 습지생태계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4개 지역을 선정하여 황소개구리 205개체를 채집하여 이들의 외부기형 출현율 및 양상을 조사하고 그들의 체내 조직에 축적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황소개구리의 기형 출현율은 6.8%로 다른 척추동물에서의 자연발생률 3%보다 높았으며, 기형은 모두 앞 또는 뒷발갉에서 나타났다. 유형별로 보면 결손(Ectrodactyly)이 64.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확장(Dilation)이 28.6%, 절단(Truncation) 7.1%의 순이었다. 정상과 기형 개체간에 중금속의 농도를 조직별로 비교해 본 결과 기형개체의 신장에서 Mn은 4배, Zn 은 1.5배, Cu은 7배, Pb는 8배, Cd는 7배 정도 높았다. 또한 기형 개체에서는 이들 원소의 조직분포 패턴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황소개구리는 습지생태계의 모니터링 시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6.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산 푸른자나방아과와 물결자냐방亞과의 표본들을 조사한 결과 1신종 Maxates sungbokahni sp. nov. 를 기재하고, 10미기록종 Comibaena diluta (Warren), Comibaena tanerei Graeser, Comibaena subdelicata Inoue, Hemistola nemoriata (Staudinger), Hemistola cinctigutta Prout, A Anticollix sparsata (Treitschkel, Euphyia discomelaina (Wehrli), Perizoma haasi (Hedemann), Perizoma contritum (Prout), Perizoma hydratum (Treitschke)을 발표한다. 그리고 분포가 혼동되고 있던 Thalera lacerataria Graeser의 국내분포를 재확인하고, Trichoperyx inouei Hashimoto와 Epilobophora obscuraria (Leech), Xanthorhoe fluctuata malleola Inoue의 채집기록을 추가하였다.
        4,000원
        6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제도 남동 해안지역의 한려해상국립공원 보호구역에서 해상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거제도 일운면 예구리, 남부면 다대리 및 남부면 저구리 해얀지역에서 1999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어류는 총 16목 47목 69속 85 종 2, 78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45종이 출현한 농어목(Perciformes), 10종씩 출현한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및 횟대목(Scorpaseniformes)의대부분 저서생활을 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가장 만하은 개체가수가 채집된 어류를 줄비늘치(Coelorhyncus multispinulosus) 458개체(16.4%)로 확인되었고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384개채(13.8%), 노랑촉수(Upeneus bensasi) 285개체(10.2%) 등의 순 이었다. 조사시간 6월에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어류가 채집되었다.
        4,000원
        6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북도 영양군의 반변천에서 채집된 끄리의 형태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는 끄리가 낙동강수계의 반변천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예이다.
        3,000원
        6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창원시의 농경지에 산란된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i)의 알주머니 126개를 채집하여 그 길이의 변이를 조사하고 그 속의 5330개 수정란을 대상으로 수적변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중 어떤 시약의 처리 없이 자연적으로 일어난 이상발생의 패턴과 조직학적 이상을 연구하였다. 알주머니의 길이 변이 폭은 11~29 cm이었으며 평균 길이는 19 cm, 상대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20 cm 길이였다. 배의 수는 주머니 당 19~98개의 변이 폭을 나타냈으며 39~43개 사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84개의 알주머니에서 323의 배가 발생이상을 보였으며 23종류의 발생이상패턴이 정리되었다. 그 중 외형상 심각한 이 상을 보이는 개체들의 조직절편을 관찰한 결과 눈의 색소형성부진, 뇌신경세포의 붕괴, 갑상선종, 인두형성부진, 심장위치불명, 미분화간엽조직의 미발달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상은 환경의 질 저하에 따른 수중 유해물질에의 노출에 의해 양서류가 악영향을 받아 최근 급격히 그 수가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4,000원
        71.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체장 4~15cm)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전갱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a), 단각류(Amphipods), 공쟁이류(Mysidacea)등의 갑각류였다. 특히 요각류가 위 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 외에 십각류(Decapoda), 난바다공쟁이류(eEuphausiacea), 모악류(Chaetognatha), 갯지렁이류(Polycheata), 어란 및 자어 등이 위내용물 중 소량 발견되었다. 요각류 중에서는 Paracalanus parvus, Acartia clausi 그리고 Calanus sinicus 가 많이 섭이되었는데, 특히 C. sinicus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전갱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작은 전갱이들은 그들의 먹이를 요각류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위내용물 중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그 대신 비교적 큰 먹이생물인 단각류 및 곤쟁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4,000원
        77.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 6개 지역의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를 채집하여, 15종의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공시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약제감수성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제의 종류별 감수성은 지역에 따라 다향하게 나타났는데, 지역 계통별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비가 20이상인 약제들을 성충과 알로 나누어 정리하며, 성충의 경우, 수원 계통은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청주 계통은 dicofol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cyhexatin,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의 경우는 수원 계통은 bifenthrin, clofentezine, hexythiazox, tetradifon에 대하여, 군위, 청주, 광주 계통들은 bifenthrin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amitraz, bifenthrin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amitraz, bifenthrin, clofentezine, dicofol, tetradifon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bamectin, chlorfenson, fenpyroximate에 대한 약제감수성은 채집 지역에 관계없이 실내 감수성 계통과 차이가 없었다.
        4,000원
        7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벼의 줄기, 잎과 벼포기에서 채집한 날개응애류를 분류한 결과로 12종이 동정되었다. 그 등애들은 가시배흠응애, 넓은지게응애, 털나비응애 등의 기지종 3종과 밭소매응애(Protoribates agricola), 머리띠팔자기게응애(Scheloribates decarinatus), 벼팔자지게응애(Schelorlbates oryzae). 이리잔날개응애(Sacculozetes filosus), 참사다리응애(Punctoribates manzanoensis), 덧판지게응애(Paralamellobates ceylanica) 등 6종의 한국미기록종 및 Pelonbates sp., Scheloribates sp, Gaiumma sp. 등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