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64.
        199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6.
        199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7.
        197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mbidium의 mild mosaic 병주로부터 각종 초본식물에 즙액접종되는 소구형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바이러스를 즙액접종하였을 때 C. amaranticlor, C. quinoa, Cymbidium spp., Dianthus caryophyllus는 전신감염, C.ficifolium, Gomphrean globosa는 국부감염되었다. 2. 본 바이러스는 Myzus persicae로 전반되지 않고, 영양번식기관에 의하여 전반되었다. 3. 조즙액중의 불활성화한계는 내열성이 (10분)이고 내희석성이 , 내보존성이 60일 이였다. 4. 본 바이러스는 C. amaranticolor병엽을 동결후, chlorform으로 청등하여 분획원심분리와 sucrose density gradient 원심분리법으로 순화하였다. 5. 순화시료의 자외선흡수곡선은 최고 261nm, 최저 243nm이고 260/280=1.72, 최고/최저=1.26의 핵단백에 의한 흡수곡선을 나타냈다. 침강계수는 의 수치가 얻어졌다. 6. 本 바이러스의 항혈청은 침강반응혼합법에 의해 2,025배의 역가를 나타냈고, 한천내확산법에 의한 시험에서 CarMV와 혈청학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本 바이러스의 형태는 직경 약 28nm의 소구형(다면체) 입자이고, empty particles도 소수 관찰되었다. 5. 본 바이러스에 감염된 C. amaranticolor, C. ficifolium, Cymbidium spp.의 병엽초박절편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든 바, 각종 세포의 세포질, 액포 및 도관내에 소구형 입자가 산재 또는 집괴의 소재양식으로 확인되었다. 9.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본 바이러스를 Cymbidium mild mosaic virus로 명명한다.
        4,000원
        6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향기와 무늬를 갖추어 난 애호가들의 기호도를 높혀 경쟁 력을 갖춘 품종을 육성하고자 SC-017와 대엽혜란을 교배하 여 2013년 상품성이 높은 한국 춘란 ‘줄리(Julie)’를 개발하였다. 줄리(Julie)는 잎 전체에 황색 복륜무늬가 나타나는 것이 큰 특징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선명해진다. 위구경 종단면의 모양은 난형이고 횡단면의 모양은 원형이다. 꽃의 크기는 폭 이 4 cm, 길이가 2.7 cm 정도이다. 잎의 길이는 35 ~ 40 cm 로 모본인 SC-017와 대엽혜란보다 작다. 꽃은 재배시 50% 차광을 해주다가 개화 시기인 5월에는 차광을 높여주는 것이 좋다. 고온시에는 도장의 우려가 있으 며 여름철 곰팡이 병해 방지를 위해 철저한 물관리와 통풍 관 리가 필요하다.
        7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진은 향기와 무늬를 갖추어 기호도를 높여 수입되 는 동양란과 경쟁력을 갖춘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중국 춘 란 ‘대부귀’와 한국춘란 SC-005를 교배하여 2012년 신품종 ‘아리울’을 육성하였다. ‘아리울’은 황색 복륜무늬와 향기가 있는 한국 춘란 신품종으로 잎의 폭이 넓고 광택이 있으며, 잎 끝에 약간의 비틀림 이 있다. 잎의 길이는 20 cm ~ 25 cm, 폭은 1.2 cm로 모본과 비슷하였다. 꽃은 옥색이며 크기는 폭이 3 cm, 길이가 2.5 cm이었다.
        7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에 밝고 강건하며 다화성인 분홍색의 중형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에 밝은 분홍색 중형종 C. Lucky Rainbow ‘Randezvous’ 와 중형종 진분홍색계 Lucky Rainbow ‘Lapin Hot’ 품종을 교배하여 분홍색계 Cymbidium ‘Sky Pink’ 신품종을 개발하였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종자기내파종, 온실양성, 선발 그리고 특성검정으로 균일성, 안정성, 화색, 화수, 엽형 등이 우수하여 2008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심의회를 거쳐 ‘Sky Pink’로 명명하였다. ‘Sky Pink’ 품종은 분홍색계(RHS, RP63C)이며, 1개 꽃대에 11.4개의 소화가 착생하며 화폭이 약 6.3 cm이다. 꽃모양은 꽃받침과 꽃잎이 안쪽으로 약간 오므라드는 둥근 모양이고 꽃대는 반직립성이며 식물체 크기는 중형이다. 꽃은 보통재배시1월 초순경부터 개화하는 중생종이며 잎형태는 꼬임이 적은 반직립성이고 꽃대의 길이는 53.0 cm이었다. ‘Sky Pink’ 품종의 개화 수명은 분화의 경우 약 60일정도이며(18~23℃) 절화할 경우, 18일로 양호하여 분화나 절화품종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였다.
        7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Mystery Island ‘Silk Road’를 자가수분하여 얻은 선발계통(Silk Road-4)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3, 6. 9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 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1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와 2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12.5%로 가장 높았으 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27로 나타났고 3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4.5%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 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그중 30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25%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13로 나타났고 5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13.8% 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
        7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Show Girl ‘Silky’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 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1, 2, 3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 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2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46.7%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34.21로 나타났고 5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 현빈도가 44.4%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4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시간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인 50mg L⁻¹ 농도를 제외하고 oryzalin 처리와 마찬가지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 정도의 종류도 oryzalin 처리와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그중 50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63.6%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46.67로 나타났고 10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 빈도가 63%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5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 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
        7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hybrid, Cymbidium(C.) ‘Beauty smile’ was developed as new hybri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in 2013. This hybrid came from the progenies crossed between C. ‘2113’(Accession No.) and C. Lucky Rainbow ‘Randevous’ in 2000. Finally, eighty seven seedlings were obtained after planting and acclimatization in green house. In 2007, one line was selected by their performance such as flower color, leaf shape, flower stalk, and vigorous growth and named ‘Wongyuo F1-43. The line code 000550-78 had uniformity and excellent characteristics. The selected line after second characteristics test was named as ‘Beauty smile’. This hybrid had bright pink colored petal and lip (RP63D)and large sized flower(diameter 8.3cm). A ‘Beauty smile’ had about 13.3 flowers per flower stalk and medium sized flower and plant. General impression of petals and sepals showed some incurved shape. The attitude of peduncle was half-erect. Bloom was started from middle of November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
        7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hybrid, Cymbidium(C.) ‘Sunny Bell’ was developed as new hybri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in 2013. This hybrid came from the progenies crossed between C. karan and ebruenum in 2000. Finally, one hundred-one seedlings were obtained after planting and acclimatization in green house. In 2007, one line was selected by their performance such as flower color, leaf shape, flower stalk, and vigorous growth and named ‘Wongyuo F1-47. The line code 000390-46 had uniformity and excellent characteristics. The selected line after second characteristics test was named as ‘Sunny Bell’. This hybrid had light purple colored petal and lip (RP59B)and large sized flower(diameter 7.9cm). A ‘Sunny Bell’ had about 7.8 flowers per flower stalk and small sized flower and plant. General impression of petals and sepals showed some incurved shape. The attitude of peduncle was erect. Bloom was started from February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
        7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기호성이 높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녹색계 중소형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1995년에 녹색 화색에 빨간 점무늬가 있는 조생종 중소형종‘A-one’과 중소형종 녹색계 ‘Oji’ 품종을 교배하여 2008년에녹색계 ‘그린허니’(Cymbidium ‘Green Honey’) 신품종을 개발하였다.1995년부터 2007년까지 종자기내파종, 온실양성, 선발 그리고 특성검정으로 균일성, 안정성, 화색, 화수, 엽형 등이 우수하여 2008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심의회를 거쳐 ‘GreenHoney’로 명명하였다. ‘Green Honey’ 품종은 밝은 연한 녹색계(RHS, G142A)이며, 1개 꽃대에 11.2개의 소화가 착생하며 화폭이 약 6.8 cm로 크지 않다. 꽃모양은 평피기와 안아피기의 중간형으로 윗 꽃받침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모양이고,꽃대는 반직립성이며 식물체 크기는 중소형이다.꽃은 보통재배시 11월 중순경부터 개화하는 조생종이며 잎형태는 꼬임이 적은 직립성이고 꽃대의 길이는 51.5 cm로 짧은편이며 내수용 재배에 적합하다.
        7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내배양한 양란 심비디움 원괴체에 전자빔(2 MeV/n, 0.5 mA)을 10 Gy~300 Gy로 조사하여 생장 변화와 유전적 변이의 다양성을 검토하였다. 전자빔을 조사 후 배양 10주째에 선량의 증가에 따라 원괴체로부터 신초유도가 감소하였고, 200 Gy 이상의 선량을 조사한 처리구에서는 신초분화가 크게 억제되었다. 원괴체 18개체를 ISSR 분석한 결과 대조구는 12.5% 다형성을 나타내었고, 전자빔 조사구에서는 42.2%의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RAPD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서 13%의 다형성을 나타내었고, 전자빔 조사구에서는 43.8%의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RAPD 및 ISSR 분석 모두에서 전자빔 조사시 대조구보다 3.5배 정도 다형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유사도 지수(GSM)는 전자빔 처리가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나 전자빔 처리에 의하여 개체들 간의 유전적 다양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군집분석 결과 RAPD와 ISSR 분석 모두 대조구와 전자빔 처리구가 분리되어 그룹을 이루었다. 이와 같이 전자빔 조사로 기내 배양 양란 심비디움의 유전적 다형성이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7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nsgenic cymbidium plants containing drought and salt stresses tolerance genes were produced by using a highly efficient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The gene (AtSZF2) is salt and drought stresses tolerant gene and transferred into cymbidium plants. These transgenic cymbidium plants are investigated for gene introduction by PCR and analyzed by salt and drought stresses to check its gene expression.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of AtSZF2, leaves of transgenic cymbidium plants were soaked in salt solution (200 mM NaCl). Also, transgenic cymbidium plants were kept under no watering for 6 weeks to check the expression of drought stress tolerance. As a result, wild type plants showed more damage than transgenic plants under salt treatment. Further, transgenic cymbidium plants retained green color and healthy status, while wild type plants showed no tolerance after 6 weeks of no-watering treatment.
        8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8년에 진한 자주색의 수출용 중 대형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5년에 진자주색계 중형종 C. Miake'Pieta'와 중형종 진분홍색계 'Allstar Mariane' 품종을 교배하여 진자주색계 '퍼플스타'Cymbidium 'Purple Star' 신품종을 개발하였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종자기내파종, 온실양성, 선발 그리고 특성검정으로 균일성, 안정성, 화색, 화수, 엽형 등이 우수하여 2008년 12월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