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62.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종축개량협회(韓國種畜改良協會)에서 1985년-1989년 사이에 일반(一般) 낙농농가(酪農農家)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유능력검정자료(産乳能力檢定資料) 4,008두(頭)의 기록(記錄)을 이용(利用)하여 유우(乳牛)의 주요경제형질중(主要經濟形質中), 유량(乳量)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중(環境要因中) 년도(年度), 분만연령(分娩年齡), 농가(農家), 착유(搾乳) 기간효과(期間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능력(一般能力)에 있어서 각(各) 형질(形質)의 평균치(平均値) 및 표준편차(標準偏差)는 실유량(實乳量)이 , 분만연령(分娩年齡) 개월(個月), 초산월령(初産月齡) 개월(個月) 그리고 착유기간(搾乳期間) 일(日)이였다. 12. 최소자승법(最小自乘法)에 의해 추정(推定)된 전체(全體) 분산(分散)에 대한 각(各) 요인별(要因別) 분산성분(分散成分)의 비(比)는 년도(年度)가 1.91%, 분만연령(分娩年齡)이 4.86%, 농가(農家)가 8.89%, 착유기간(搾乳期間)이 54.94% 그리고 오차(誤差)의 분산비(分散比)가 29.39%로 나타나 착유기간(搾乳期間)의 효과(效果)가 가장 큰 것으로 나다났다. 3. 유량(乳量)에 대한 전체의 최소자승효과(最小自乘效果) 추정치(推定値)는 6,229.31kg이였고, 년도별효과(年度別效果)에 있어서 최소자승(最小自乘) 평균치(平均値)는 1985년-1987년이 6,000.76kg, 1988년 6,028.11kg, 1989년 6,659.07kg이었다. 4. 분만연령별효과(分娩年齡別效果)에 있어서 24개월령이하(個月齡以下)는 5,456.01kg, 61-66개월령(個月齡)은 최고치인 6,565.48kg으로 분만년령간(分娩年齡間) 고도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분만연령별(分娩年齡別) 효과(效果)에 있어 24개월령이하(個月齡以下)에서부터 61-66개월령(個月齡)까지 점차 증가(增加)하다가 67-72개월령(個月齡)에 저조한 성적을 보이며 이상치를 나타냈고, 그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농가별효과(農家別效果)에 있어서는 최소자승(最小自乘) 평균치(平均値)에 있어 가장 낮은 농가(農家)에서는 4,958.50kg에서 가장 높은 농가(農家)는 7,479.07kg으로 비교적 변이(變異)가 심하였고, 이는 고도(高度)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6. 착유기간별효과(搾乳期間別效果)에 있어서 착유기간(搾乳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최소자승평균치(最小自乘平均値)가 증가(增加)하는 면을 보였으며 착유기간(搾乳期間)에 따른 실유량평균간(實乳量平均間)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500원
        65.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ectronic commerce is becoming a significant hub for sourcing products/services which helps organizations to connect with potential customers and gain competitive advantages, though little empirical work focuses on small businesses operating in developing countries to date. Increasingly, companies are looking to utilize social media to connect with stakeholders and pursue several benefi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TOE) factors that influenc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ocial media (SM) ado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used a closed-end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rom randomlyselected respondents (owners, executives, and managers) from SMEs in Pakistan. SMART PLS version 3.2.8 was used for path analysis of 316 responses an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direct influence of TOE factors (relative advantage, interactivity, visibility, top manage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pressure) on SMEs’ SM adoption, and in turn SM adoption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MEs performance. Moreov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study showed that 77.7% of the variation in SM adoption occurs because of TOE factors and 29.8% variation in SMEs occurred because of SM adoption. This paper ha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scholars interested in exploring the SM adoption and usage by SMEs.
        66.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compositions of environmental substrates on hydroponic tomato cultivation. Three different substrates were used in coir chip:dust (v/v=50:50; CP1), coir chip:dust (v/v=80:20; CP2), and rock wool cube with CP2 (CPR). The amount of irrigation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as 190 mL/(plant·time) in all substrates. The pH and EC were 5.8-6.2 and 2.6-2.9 dS/m, respectively. The drainage rate in CP1 was 31%, in CP2 was 36%, and in CPR was 29%. The growth of tomato plants in terms of height was higher in CP1 and CPR. The leaf area was greater in CP2. The fresh and dry weights were greater in CP2 and CPR treatments. The net photosynthesis in CP2 (19.31 μmol CO2/m2s) and root activity in CP2 were higher among all three treatments.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fru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yield per plant in CP2 and CPR treatments was 17% greater than the yield per plant in CP1. Therefore, the most suitable substrate for hydroponic tomato cultivation is the substrate mixed with coir chip:dust (v:v=80:20; CP2), i.e., CPR.
        67.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Liquid Manure Circulation System (LMCS)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swine farms. Bacterial counts at different circulation phases of the LMCS were measured. Air in the swine facility and the liquid manure in each step of LMCS were sampled and gaseous composition detected in swine farms both with and without LMCS to compa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either cas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otal bacteria count at any circulation phase in the LMCS. Escherichia coli were detected at a very low abundance only at the outlet of the slurry pit (1.5×102CFU/㎖). Salmonella were not detected at any phase. The LMCS clearly affected the odor strength of the swine farm and improved the air quality in the swine facility. On-site odor strength - inside, at the exhaust, and at the border of the swine facility - were clearly lowered in farms applying LMCS. Furthermore, the levels of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were improved in swine facilities applying LMCS.
        68.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의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4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의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의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된다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69.
        2017.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36 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이며, 실험처치는 매주 1회씩 회당 2-3일에 걸쳐 11주간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는 3개 공영방송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중 연구자가 유아의 일상생활과 유아환경교육의 영역이 반영된 다큐멘터리 11편과 연계하여 구성한 환경교육활동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의 일반적인 환경교육활동을 적용하였다. 유아의 환경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부경, 지옥정, 김경철, 정아림(2016)이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환경보전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최명하(2012)가 수정·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을 증진시키는 의미 있는 접근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7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influence mother'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have on the adolescent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adolescent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Also by examining the variable relation, the study scopes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experience. For the analysis,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gathered from onlin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mong a total of 521 survey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were proven to be ess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Second, mother'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were proven to be ess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Third,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improve adolescent'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by having practice mother'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7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value, perceived risk,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this, we separate consumer with two groups that one is the experienced, the other is the not-experienced. Four factors is respectively adopted in perceived value and risk wi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phasizing the value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important to the not-experienced. And to decease the risk is more effective to the experienced for activating market.
        7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rban forest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irty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weekly urban forest program, and thirty students to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ity along with lower academic stress. The results suggest that, as urban forest program enhances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students, their academic stress was reduced, and the program ma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7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초등학 생의 환경의식과 행동과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 하고 전후 설문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8회차로 회당 120분으로 전반 60분은 이론수업, 후반 60분은 환경실습수업 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 시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환경태도, 환경행동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프로그 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수준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경 지식부문에서는 석탄사용연료 사용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가 발 생한다는 지식에 대한 이해가 여타 부문에 비하여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조작적 이해부문에서는 자연보호활동에 대한 참여 인식 및 재활용 사용 중요성 인식에 대한 이해가 다른 이해부문에 비하여 보다 높아지는 유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환경가치 및 신념부문에 서는 화학약품의 사용 저감, 과학기술의 발전 가치, 자연보호를 위 한 편의 포기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향상 폭이 높았으며, 정서영역부 문에서는 회사가 동물로 제품테스트하는 것에 화난다는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환경자극경험 부문 중 학교에서의 경험에 대한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활동진술영역 부문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은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환경교육은 단순한 지식습득이나 이해의 교육이 아니라 태도와 가치관 교육이며, 습관의 형성에 의한 교육이기에 어린시기 에 이루어질수록 그 효과가 크다. 이에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은 환 경, 생태계 등에 대한 일반적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라는 점에서 매 우 중요하며, 본 연구의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결과는 초등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각 환경교육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환경 인식, 태도, 행동부문별 세밀한 분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경우, 각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부문의 긍정적 효과를 도출하는 데에 보다 유 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보다 효과적인 초등학생 대상의 환경교 육 프로그램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75.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소재한 2곳의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친화적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00, p< .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 보전 지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31, p< .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환경 보전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환경교육은 가정과 연계가 되었을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7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원활동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 스트레스의 경우 정원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은 평균 79.6점에서 사후 평균 73.5점으로 6.1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t=-3,516 p=0.007)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의 경우 실험군은 사전 평균 30.7점에서 사후 평균 32.9점으로 2.2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161, p=0.012)가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 실험군은 사전 평균 63.6점에서 사후평균 69.1점으로 5.5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685, p=0.005)가 있었으며,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 실험군은 사전 평균 18.7점에서 사후 평균 23.8점으로 5.1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4.915, p=0.001)를 보였다. 따라서 여중생의 정원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증가시키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77.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계 광물로 제조된 그라우트의 사용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문제인 pH의 증가와 중금속오염을 MC계와 킬레이트고분자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라우트 재료로 보통포틀랜드시멘트와 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하였고 급결재로 칼슘알루미네이트계 급결성재료의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중금속과 pH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증점제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 킬레이트고분자를 사용할 경우에 그라우트에 의한 pH의 증가가 최소화되었으며 중금속(Cr6+)은 용출되지 않았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pH의 증가와 중금속 용출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또한, 재령에 따른 중금속 발생량은 용출시험 1일에서 전 용출량의 약 97% 이상이 용출되었고 이후는 추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pH의 증가와 Cr6+과 같은 중금속의 용출을 제어하기 위해서 BSC와 킬레이트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아주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78.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둥근마 액체배양에서 소괴경의 생산을 위하여 배양온도와 일장의 전환과 배양 배지의 교체 효과를 조사하였다. 둥근마 액체배양에서 식물체의 증식을 위한 일장시간은 6주의 배양기간 동안 25℃에서 16시간보다는 24시간이 효과적이었다. 기내소괴경의 생산을 위하여 배양기간을 12주로 연장하여 배양하였으며, 배지교체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배양 중기인 배양 후 6주째에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더니, 배지를 교체하지 않은 것보다 소괴경의 형성수가 평균 5개씩 더 많았고, 소괴경무게도 70% 이상 증가하였다. 배양환경의 전환이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2주의 배양기간 중에 식물체 생장이 활발한 초기 6주간은 25℃에서 24시간의 일장환경에서 배양하고, 이후 6주간의 배양온도와 일장시간을 전환하였다. 배양온도는 25℃가 15℃보다 효과적이었고, 25℃에서 일장시간은 24시간이 암처리 또는 8시간 일장처리보다 효과가 있었다. 12주간의 배양기간중에 배지 교체의 적절한 시기는 배양 후 2, 4, 6, 8, 10주째 또는 배지 무교체 처리구중에서, 생체중, 마디수, 소괴경수에서는 2주 또는 6주째에 교체하는 것이 좋았고, 소괴경중은 8주째 교체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소괴경의 수와 무게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초기 배양 후 6주째에 배지 교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12주간의 배양기간 중 배양 후 6주째에 교체할 배지의 성분은 sucrose 30, 60 g·L-1 또는 sucrose 60 g + BA 0.1 mg·L-1 함유 배지 중에서 sucrose 60 g·L-1이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였을 때, 소괴경의 총무게가 가장 무거워 소괴경의 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둥근마의 액체배양시 25±1℃, 24시간 광조건으로, 마디접종 후 6주째에 sucrose 60 g·L-1를 함유한 배지로 교체하여 6주간 추가 배양하는 방법이 기내 식물체와 소괴경의 생장과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79.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sult analysis on the free inquiry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ree inquiry activities effect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this study 150, six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Busan city were selected. The inquir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each of the following free inquiry methods: the PBL inquiry, the Project inquiry, the IIM inquiry, the small group inquiry and the science notebooks inquir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in which they incorporated the respective methods into their practice. Tes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environmental class which applies a free inquiry method(PBL inquiry, Project inquiry, IIM inquiry, small group inquiry and science notebooks) was effective in science process skills improvement. Second, The environmental class which applies a free inquiry method((PBL inquiry, Project inquiry, IIM inquiry, small group inquiry and science notebooks) was effective i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improvement.
        80.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선발된 고 oleic acid 콩 품종인 광안콩의 환경안정성을 검토한 것으로 미국과 한국의 10개 환경에서 광안콩의 oleic acid 함량을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조품종으로 이용된 고 oleic acid 콩 N98-4445A는 10개 환경에서 평균 55.5%의 oleic acid 함량을 보였고, M23은 47.4%의 함량을 보였다. 2. 광안콩은 고 oleic acid 대조품종 보다는 낮은 함량을 보였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