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61.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걱쑥부쟁이(Heteropappus arenarius Kitam.)는 들국화에 속하는 가을 개화성 이년초로 한국의 남동부 해안지대와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본 식물은 대규모 조경지역 특히, 척박한 토양이나 비탈면 언덕에 유용한 지피식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주걱쑥부쟁이 종자의 지역계통과 수확시기에 따른 최적 발아온도를 선정하기 위해 최초로 수행하였다. 지역별 온도에 따른 종자발아 반응은 다음과 같다. 최종발아율(FG)은 구룡포산(産)(89.7%)이 4개 지역계통 중에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좌산(産)(87.3%), 감포산(産)(87.3%), HKNU-I (71.5%) 순이었다. 지역별 평균 T50은 구좌산(産)(3.6 일)과 구룡포산(産) (4.0일)이 타 지역에 비해 짧았다. 온도별 평균 FG와 T50은 20℃에서 각각 76.2%와 3.6일로 가장 우수하였다. 그 다음으로 30℃, 25℃, 15℃순이었다. 그러나 구좌산(産)의 경우, FG과 T50이 20℃와 15℃에서 우수하였다. 수확단계 및 온도관계에서 수확단계별 평균 FG는 Stage III (90.7%)와 Stage IV (88.6%)가 Stage II(35.7%)와 Stage I(26.0%)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수확단계별 평균 T50은 Stage IV (3.7일)과 Stage III (4.3일)로 FG값이 50%이하를 보여준 타 수확단계에 비해 짧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걱쑥부쟁이 종자는 모든 단계에서 발아할 수 있었기에 종자 수확 가능범위는 Stage I 에서 IV까지였다. 결론적으로 주걱쑥부쟁이 종자발아의 최적 온도와 적정 수확단계는 20℃ 조건에 Stage III에서 IV 까지이었다.
        6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genetic information on the germination rate and fat acidity after 12 weeks’storage at 35 . Germination rate de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 ℃ while fat acidity increased.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the order of Koshihikari, Hanmaeum and Unkwangbyeo after 12 weeks’storage at 35℃. Fat acidity of Koshihikari and Hanmaeum was gradually increased, but that of Unkwangbyeo was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4 weeks’storage at 35℃. The genetic mode on germination rate and fat acidity using the joint scaling test was shown to be additive-dominance gene effects. Additive([d]) effect was higher than dominance effect([h]) in all crosses. The average degree of dominance, [h]/[d], was less than 1, indicating that germination rate and fat acidity was partially dominant. Germination rate and fat acidity based on frequency distribution of 2 crosses were quantitative characters expressed by polygenes.
        64.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상태에서 발아율이 불량하고 발아기간이 오래 걸리는 둥굴레의 종자번식을 위해 저장기간을 달리한 종자를 이용하여 종자수명 및 발아적온을 알아보았다. 또한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프라이밍처리하였다. 저장기간별 둥굴레 종자의 발아실험의 결과 1~2년까지는 발아율이 떨어지지 않았으나, 4년간 저장하는 경우에는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둥굴레 종자의 발아는 고온보다는 22~25℃의 온도에서 양호하였으며, 발아속도도 빨랐다. 특히 1~2년 저장한 종자를 25℃에서 발아시키는 경우 70~71.2% 정도의 비교적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둥굴레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생장조절제와 무기염류를 사용하여 프라이밍처리를 한 결과, BA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GA3, IAA, NAA, kinetin, KNO3, KH2PO4, Ca(NO3)2)에서 무처리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여 프라이밍처리 효과가 인정되었다. 특히 1년 저장종자에서 GA3 0.5mM 처리는 96%, IAA 1mM 처리는 93%의 높은 발아율을 보여 가장 발아율을 높였으며, 발아소요기간 또한 단축시켰다.
        6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및 일본에서 육성된 벼 품종을 고온 저장시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율, 이화학적 특성, lipoxygenase의 활성 및 이들 상호관계를 검토하였다. 1. 고온저장(35℃ )시 발아율, 현미 단백질,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은 저장기간 및 품종 간 차이가 크게 있었으며 두 요인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어 저장기간별 품종 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2. 고온저장에 의한 현미 단백질,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던 반면, 발아율 및 도요식미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지방산도와 발아율 간에는 부의 상관이 지방산도와 lipoxygenase의 활성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17개 품종을 발아율,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을 고려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I군에 속하는 품종은 오대벼, 상미벼, 운광벼, 일품벼, 남평벼, 일미벼, 동안벼, 중산벼, 추청벼, 히또메보레, 고시히까리 등 11개 품종으로 비교적 발아율이 높고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이 낮았다.
        6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 studi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Viola species native to Korea. Twelve species, 1 variety and 1 form were collected, classified and used as materials: V. collina, V. blandaefomis, V. rosii, V. chaerophylloides, V. phalacrocarpa, V. patrinii, V. mandshurica, V. mandshurica for. albescence, V. seoulensis, V. yedoensis, V. keiskei, V. variegata, V. variegata var. chinensis, and V. verecunda. V. tricolor 'Helen Mount' was also used to compare wild with cultivated spec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seeds stored at 4±2℃ for 10 months or 4 years were incubated at 10, 15, 20, 25℃ under 16h illumination with 4 replicates per treatment. Seeds which had not germinated at 10℃ were transferred to 30℃ to assess the effect of temperature change in germination. Germination percent and the days of first, 40% and 80% germination were assessed. Capability of seed germination varied with taxon; Species belonging to subsection Patellares had high ability of germination, compared to species in the other subsections, and series Chinensis was the best among subsection Patellares. Species capable of high germination germinated in all temperatures with reasonably high germination rate, but the other species responded sensitively to temperatur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atterns. Higher the temperature, shorter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first, 40% and 80% of germination. Therefore, high temperature was effective in almost all species, not only for inducing high rate of germination but also the uniformity of germination. Temperature change from 10℃ to 30℃ had a positive effect on seed germination.
        6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도 및 NaCl 등의 외부 환경인자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측백나무 종자의 발아특성을 조사하고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 및 적정 환경조건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5, 20, 25, 30℃의 온도조건에서 NaCl 용액을 0, 500, 1,000, 2,000, 4,000ppm의 5수준으로 분주하여 종자발아특성 및 상대수분흡수율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의 경우 15℃ 온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Cl에 의한 감소의 폭도 가장 작았다. 반면, 30℃에서는 모두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휴면율과 고사율은 대부분 고온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특히, 휴면율은 30℃에서 그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고사율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온도 및 NaCl의 농도에 대한 상호연관성을 알아보고자 two-way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요인 및 요인간 상호작용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01). 평균발아일수는 온도 및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발아가 지연되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30℃에서는 NaCl의 독성에 의해 고사종자가 발생하여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아속도와 발아균일지수는 온도 및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상대수분흡수율은 1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발아율, 발아속도 및 발아 균일지수와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고온과 염류는 측백나무 종자의 발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발아율,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의 감소를 줄이기 위해 노지 파종시 이들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9.
        200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Codonopsis lanceolata, Platycodon glandiflorum, Which belongs to Campanulaceae and useful for on oriental medicine materials. Seed shape of Codonopsis lanceolata is Elliptic. Platycodon glandiflorum is Oblong.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1.37mm in length, 0.69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258mg. Seed size of Codonopsis lanceolata is 4.45mm in length, 2.11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Codonopsis lanoceolata is 1,278mg. Seed size of Platycodon glandiflorum is 2.31mm in length, 1.10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Platycodon glandiflorum is 988mg.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 from 20 to 25℃.
        70.
        200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ct, Which belongs to Umbelliferae and useful for on oriental medicine materials. Seed shape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ct is ovate.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is 5.3mm in length, 4.2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ct is 4,010mg.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 from 20 to 25℃.
        71.
        2002.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eci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ir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ngelica acutilobu in Umbelliferae plants, using them as oriental medicine materials. Seed shape of Angelica acutilobu is ovate.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was 5.5 mm in length, 4.0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Angelica acutilobus was 3,210mg.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d from 20 to 25℃.
        72.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들의 대량번식법 개발을 목적으로 종자번식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부들은 종자 발아적온은 25~30℃이며, 명발아성이었다. 종자에 GA3,침지처리는 모든 농도 처리구 에서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0mg.L-1 처리구에서 90.7%의 발아율을 보여 대조구에 비해 약 1.2배정도 발아가 촉진되었다. BA 침지처리에 의해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으며,500mg.L-1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KNO3및 Ca(NO3)2처리의 경우에는 Ca(NO3)2 100mM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73.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 pelleting 종자의 발아특성을 구명코자 온도에 따른 발아율, 채종 후 기간, pelleting물질의 종류, pelleting 크기에 따른 발아율 조사한 결과 온도 및 채종 후 기간에 따른 발아율은 명조건, 암조건 모두 25℃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당년에 채종한 종자에 비해 채종 후 1년 경과한 종자가 발아율이 높았다. Pelleting 물질별 발아율은 talc처리에서 82.5%로 가장 높았다. Pelleting 종자 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2.0mm 크기가 발아율이 높았으며, 특히 talc 2.0 mm에서는 100%의 발아율을 보였다. Pelleting 물질 조합처리에서는 talc + vermiculite, zeolite + vermiculite 모두 대조구보다 발아율이 낮았으며, pelleting 크기별 발아율은 0.7 mm에서 가장 높았다.
        74.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소엽의 연중생산에 필요한 파종전처리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자소종자의 GA3 처리시 적정 처리농도, 침지시간 및 고온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만기파종시 포장에서 GA3 처리, 복토깊이 및 왕겨피복 등이 출아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비교하였다. GA3 처리농도에 따른 발아특성은 100 ppm에서 가장 좋았으며, 100 ppm GA3 처리시 종자의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특성은 12시간 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아온도에 따른 100 ppm GA3 처리효과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속도와 발아일수가 빨라졌으며, 11일째에는 발아온도에 관계없이 95%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는 20℃ 이상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낮았다. 만기파종시 출아율은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100 ppm GA3용액에 침지파종후 5 mm의 복토와 10 mm 왕겨피복구에서 가장 높았다.
        7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헛개나무 종자의 휴면 타파 방법과 발아 조건을 구명 하고자 실시하였다. 종피를 제거하지 않은 종자는 온도와 상관없이 발아하지 않았으나 종피를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15℃에서 94%가 발아되었다. 종피를 파상하기 위한 휴면타파 방법은 농황산을 40분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종자를 건조 저장하였을 경우 채종 후 5년까지도 발아능력은 유지하고 있으나 발아율이 다소 낮아졌고 평균발아일수가 길었다. 장기(5년) 저장한 종자는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에 의하여 발아율이 높아져 저온처리효과가 인정되었다.
        76.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식물 16종의 종자형질 특성 및 저온습윤 및 변온 처리에 의한 발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실험은 수행되었다. 종에 따라 종자의 길이, 넓이, 폭은 각각 1.1∼8.9, 0.7∼7.5, 0.4∼l.7mm의 범위였으며 천립중은 0.1∼8.8g의 범위였다. 무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은 종에 있어 냉이와 익모초는 암조건에서 각각 16, 36%이었으며 장구채와 각시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69, 81%이었다. 참취, 고려엉겅퀴, 곰취, 질경이, 청옥취는 저온습윤처리 명조건에서 각각 84, 29, 57, 78, 95%로 물엉겅퀴는 암조건에서 30%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변온처리에서 발아율이 높은 종에 있어 두릅나무와 벌개미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2,57%로,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52%로 가장 높았다.
        77.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개갑처리와 GA3의 처리에 따른 발아율 향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과실의 길이는 13cm, 폭은 0.9cm 였으며, 과실내의 종자수는 89개였다. 종자의 길이는 4.9mm, 폭은 2.87mm였으며 천립중은 7.76g이었다. 자연매장 보다는 15℃ incubator에서 층적저장한 것이 개갑율 10.5%로 높았고 또한 4℃ 저온저장후 개갑율도 46.6%로 가장 양호하였다. 2.개갑된 종자의 발아율이 비개갑된 종자에서는 보다 우세하였으며 최적 발아온도는 15℃임을 알수 있었다. 개갑된 종자에서의 GA3의 효과는 농도처리에 따라 커다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개갑된 종자와 비개갑된 종자 모두 200ppm 이상으로 처리하면 오히려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GA3의 처리의 효과가 발아적온이나 개갑종류에 따라 뚜렷하지 않은 반면 비성숙된 종자의 상태(비개갑종자)와 발아 불량조건(4℃, 비개갑종자)에서는 뚜렷이 나타났다.
        78.
        2000.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mbelliferae medicinal crops have low germ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 Speci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ir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Umbelliferae plants, using them as oriental medicine materials. Fruits of Umbelliferae are bi-partite type and form 2 seeds. Their oil canals and funiculus or carpaphore has apparently specific shape. Seed shape of Buplerum falcatum, Ligusticum acutilobum and Foeniculum vulgare are oblong, Ledebout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gelica gigas elliptic, and Ostericum koreanum ovate.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was 3.2 to 6.9 mm in length, 1.7 to 4.9 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Buplerum falcatum was lowest(at 1,660 mg) and Ledebouriella seseloides and Angelica gigas were relatively highest(at 3,970 mg) having larger size than any others.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d from 20 to 25℃ and especially temperature at 25℃ improved seed germination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d Ligusticum acutilobum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79.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iviparous germination causes yield loss and quality deterioration of ri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viviparous germination with different days after heading (DAH) and different temperatures. In the laboratory examination, the averaged germination rate of all varieties at 45DAH and at 25DAH was 79.9%, and 27.5% under the incubation at the temperature of 30~circC /20~circC (day/night) for 12 days. Andabyeo, Da- sanbyeo, and Nonganbyeo showed the lowest viviparous germination rates among the tested varieties. The shoot length of the viviparous germination measured 12days after incubation at 30/20~circC ranged from 21 to 53mm, indicating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rice quality. In the field test, the averaged viviparous germination rates of rice varieties at 25, 35, 45DAH with the underwater conditions for 4 days were 2.2, 6.2 and 9.2%, respectively, while their rates at 12 day after underwater conditions increased to 17.6, 44.2 and 43.8%, respectively. A variety that showed the highest viviparous germination rate at 25 and 35 and 45DAH was Heukjinjubyeo. When standing rice panicles without lodging were examined after consecutive raining for 7 days Juanbyeo showed the highest viviparous germination (45.5%), followed by Odaebyeo (16.0%), Jinbubyeo (14.5 %), Bongkwangbyeo (14.2 %) and Obongbyeo (12.6%). The viviparous germination of rice was greatly affected by variety, days after heading and temperature settings. Bongkwangbyeo, Juanbyeo, Dongjinbyeo, Hwasunchalbyeo, Naepoongbyeo and Heukjinjubyeo were classified as the most susceptible varieties to the viviparous germination in the field conditions.
        80.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Cl 농도와 온도 차이가 콩 품종들의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Cl 농도가 높을수록 콩 품종들의 발아율은 감소하였으며, 온도차이에 따른 발아율은 35℃ 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종자의 형태와 크기별로 구분한 발아율은 1.2% NaCl 처리구의 15℃ 조건에서 소립종 군이 가장 높았고, 35℃ 조건에서 는 가장 낮았다. 품종들의 발아율은 1.2% NaCl 처리구의 35℃ 조건에서 검정콩, 알찬콩, 금강콩, 화엄콩, 화성풋콩, 장미콩 등이 비교적 발아율이 높았고, 다원콩, 한남콩, 광안콩, 대백콩, 단원콩, 석양풋콩, 큰올콩, 보광콩, 장엽콩 등이 발아율이 비교적 낮았다. 콩 품종들의 발아율에 있어서 NaCl 농도와 온도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되어 고온과 높은 NaCl 농도일수록 발아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