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9

        61.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old dimensions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die during plasma activated sinte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cylindrical mold with various dimensions was measured using K-type thermocouples. The temperature homogeneity of the die was studied based on the direction and dimensions of the die. A temperature gradient exis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e during the plasma activated sintering. Also, the magnitude of the temperature gradi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re was no temperature gradient.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die in the radial direction strongly depended on a ratio of die volume to punch area
        4,000원
        62.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 시설내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관행 온풍덕트의 각 지점간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13 ~ 14℃인데 비하여 개선형 덕트인 이중덕트의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3 ~ 4℃로 나타나 각 지점간의 온도 불균형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중덕트의 각지점간의 생육정도도 관행덕트에 비해 크게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에 있어서도 관행덕트를 사용한 재배시설에서 10a당 3,924kg에 비하여 이중덕트를 사용한 재배가 4,616kg으로 약 17%가 증수되었다. 그리고 반촉성 재배기간 동안 난방에 소요된 연료소모량은 관행덕트가 3,724ι/10a인데 비하여 이중덕트가 3,233ι 13%의 연료절감효과가 있다.
        4,000원
        66.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i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nchovy school catches by the lift net in the Kamak bay and their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i.e.,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were observed form June to August in 1997 and compared with the catch of anchovy by the lift ne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d form 20.0 to 27.0℃ and from 31.2 to 33.8‰, respectively.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t the fishing points ranged form 19.7 to 27.2℃ and, from 30.5 to 33.8℃ respectively.2) The water temperature influenced remarkably on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nchovy school. But the salinity influenced little on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3) The catch of anchovy was highest on July, poor second on August, and lowest on June. Anchovy school can be presurmed, they are come from north of bay, visited and distributed through east of bay at the middle of June. Moreover, they spreaded in all bay. Then gradually, when July arrive, they go to the south th nearest the coasts, and they are outflow through the south entrance of bay at the end of August.
        4,000원
        67.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were few data for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in the commercial plant foods, and for the normal flora and for the foodborne agents within the country. First of all it must b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And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sanitation criteria for the plant foods through the microbiological e×amin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tendency to change of the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viable counts for grains was 2.9 × 10^5/g, psychrophilic bacteria 2.9 × 10^6/g, heterotrophic bacteria 3.1 × 10³/g, heat-resistant bacteria 2.1 × 10³/g Pseudomonas aeruginosa 23/g. That for beans was 6.3 × 10²/g, psychrophile 34/g, heterotroph 1.7 × 10²/g. That for sesames was 1.4 × 10^5/g, coliform 350/g, psychrophile 7.4 × 10⁴/g, heterotroph 5.8 × 10⁴/g, Pseud. aeruginosa 2.3 × 10³/g. heat-resistant bacteria 150/g. That for potatoes was 2.0 × 10^7/g, coliform 5.0 × 10⁴/g, psychrophile 1.8 × 10^7/g, heterotroph 1.4 × 10^7/g, heatresistant bacteria 3.3 × 10¹/g, Staphylococcus 2.7 × 10^5/g, fecal streptococcus 4.5 × 10³/g, Pseud. aeruginosa 7.0 × 10³/g. That for mushrooms was 1.2 × 10^8/g, psychrophile 9.4 × 10^7/g, heterotroph 1.0 × 10^9/g, heat-resistant bacteria 1.6 × 10^5/g, Pseud. aeruginosa 1.3 × 10³/g. That for vegetables was 5.9 × 10^(11)/g, coliform 1.8 × 10^6/g, psychrophile 1.1 × 10²/g, heterotroph 8.4 × 10^(11)/g, heatresistant bacteria 7.6 × 10^6/g, Staphylococcus 1.1 × 10^7/g, fecal streptococcus l.1 × 10⁴/g, Pseud. aeruginosa 5.2 × 10⁴/g. That for nuts 3.9 × 10⁴/g, coliform 3.9 × 10³/g, psychrophile 4.0 × 10^8/g, heterotroph 3.2 × 10^8/g, heat-resistant bacteria 400/g. In commercial grains and beans, SPC, psychrophile, heterotroph and heat-resistant bacteria stored at 10℃, 20℃, 30℃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coliform, Pseud. aeruginosa were decreased a little in grains, but were not detected in beans. In mushrooms, all indicator organisms were increased as time goes on and were increased rapidly at 20. In sesames, coliform was not detected at all temperature. psychrophile was increased for 7 days, the otners were constant. In potatoes, SPC, psychrophile, heat-resistant bacteria, heterotroph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the others were constant. In vegetables, indicator organisms we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psychrophile, heterotroph were rapidly increased after 7 days. In nuts, SPC, coliform, psychrophile, heterotroph, heat-resistant bacteria, Pseud. aeruginosa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and fecal streptococcus were not detected.
        4,000원
        68.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 조건하에서 추파 청예작물의 의한 질산태 질소 흡수 및 이용에 대한 대사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호밀과 사초용 유채의 생육온도를 5 ∘ C 및 25 ∘ C 로 처리 후 뿌리를 양분하여 14 N 과 15 N 을 각각 공급하여 15 N 의 식물체내 이동을 추적하였다. 5 ∘ C 에서 9일간 호밀과 유채에 의해 흡수된 질산태 질소의 함량은 25 ∘ C 처리구에 비해 각각 59.3% 및 27.1%가 감소하였다. 25 ∘ C 조건하에서 9일간 호밀 및 유채에 있어 흡수된 질산태 질소의 약 2.5% 및 7.6%가 뿌리로 전이되었고, 5 ∘ C 조건하에서는 뿌리로 전이된 질산태 함량은 각각 3.8% 및 10.9%로 증가하였다. 목부를 통해 잎으로 전이된 질소의 함량은 25 ∘ C 조건하의 호밀 및 유채에서 개체당 각각 55.9 및 54.4 mg N이었으며, 5 ∘ C 에서는 각각 22.1 및 38.8 mg N으로 저온 처리에 의해 목부를 통한 전이된 질소 함량은 각각 60.4% 및 28.8%가 감소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호밀과 유채 공히 체관부를 통해 잎에서 뿌리로 전이된 질소의 함량은 다른 경로를 통한 질소 전이량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저온 처리에 따른 전이량의 변화폭 역시 가장 낮았다. 25 ∘ C 조건하에서 호밀 및 유채에 있어 총 흡수된 질소의 2.5% 및 0.5%이었으며, 5 ∘ C 조건하에서 이 비율은 각각 5.2% 및 0.9%로 증가하였다.
        4,000원
        69.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verage number of total viable counts for the commercial pork tested was 19/g, coliform 1.8/g, psychrophilic bacteria 15/g, heterotrophic bacteria 12/g, fecal streptococcus 6.2/100 g, Pseudomonas aeruginosa 13/100 g and none of heat-resistant bacteria and Staphylococcus was detected. That for the commercial beef tested was 130/g, coliform 5.2/g, psychrophile 140/g, heterotroph 28/g, Staphylococcus 1.2/g, fecal streptococcus 9.5/100 g, Pseud. aeruginosa 1.9/100 g and heat-resistant bacteria was not detected. That for the commercial chicken tested was 8800/g, coliform 53/g, psychrophile 4600/g, heterotroph 4700/g, fecal streptococcus 9.9/100 g, Pseud. aeruginosa 2.5/100 g. That for milk was 4700/ml, psychrophile 120/ml, heterotroph 420/ml and the others were not detected. That for the commercial cheese was 3.2/g, psychrophile 2.3/g, heterotroph 1.6/g, Staphylococcus 1/g, fecal streptococcus 9.1/g. That for fermented milk was 10^7/ml, heatresistant bacteria 10^6/ml, fecal streptococcus 2400/100 ml, lactobacillus 3.2 × 10^(15)/ml, in accordance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others were not detected. There was not detected any indicator organisms from ham, sausage, butter, eggs and quails in the commercial fooods tested. SPC, coliform, psychrophile and heterotroph in commercial meats stored at 10℃ were increased rapidly as time goes on but heat-resistant bacteria, staphylococcus, fecal streptococcus and Pseud. aeruginosa were constant. At 20℃, SPC, coliform, psychrophile, heterotroph and fecal streptococcus were the highest at 7 days and heat-resistant bacteria, staphylococcus and Pseud. aeruginosa were increased a little. At 30℃, all indicators were increased rapidly for 3 and 7 days and then decreased rapidly. All indicator organisms were increased at the level of 10/g for 14 days in meat products stored at 10℃, but SPC, psychrophile and heterotroph in meat products stored at 20℃ were increased at the level of 10^5/g. It showed that the indicators in meat products stored at 30℃ had a tendency to increase at the level of l0₂/g relative to those stored at 20℃. SPC, psychrophile and heterotroph in milk stored at 10 increased up to the level of 10₄/ml, but coliform, staphylococcus, fecal streptococcus and Pseud. aeruginosa were not detected. As stored at 20℃ and 30℃, they were increased rapidly for 1 or 3 days and then constant for a long time.
        4,200원
        70.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경북지방의 수박 및 참외재배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형터널 하우스의 온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터널하우스 내 기온은 일몰과 함께 강하하여 외기온과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일몰 후 약 2시간 30분 전후로 나타났으며, 자연환기장치인 환기공 및 수동식 측창이 설치되어 재배기간중 하우스내 최고기온은 40℃ 이상 유지되지는 않았다. 하우스야간온도는 높이별 위치에 관계없이 거의 같은 온도로 유지되었으며, 재배기간중 야간온도는 외기온보다 2~3℃정도 높게 유지할 수 있었지만, 외기온이 적온 이하일 때는 보온의 필요성이 있었다. 또 재배기간중 20cm 깊이의 지온은 20℃ 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적정지온 확보에는 문제가 없었으며, 일변동폭은 3~5℃ 정도이고 관수로 인한 지온저하는 5~6℃ 정도였다
        4,500원
        72.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얀 내만에서 행해지고 있는 양식어업, 정치망어업 등의 생산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초 쟈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어류의 서식환경과 분포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원격계측 시스쳄을 구성하여 1995년 10월부터 1996년 5월까지 경남 통영시 산양면 육삼양어장에서 시스템의 기능, 수온.염분과 어군행동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양환경정보 원격시스템 해상국의 정보송신 테이터 모뎀의 기능은 원활한 작동을 하였으며, 육상국에 설치한 정보 수신용 노트북에서의 Quick BASIC 통신 프로그램의 작업은 정밀도가 높아 수온과 염분의 환경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격 계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실험 수역 축양조내에서의 4월~6월사이의 5m와 10m층의 평균 염분 농도는 34.2‰,34.4‰로 10m층이 녹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축양조내 시험어 우럭(체장 25cm)의 평균 유영속도는 0.60m/sec로 체장대비 약2배의 빠르기를 나타내었고, 주간과야간의 평균 유영속도는 각각 0.60m/sec, 0.62m/sec를 나타내어 주간이 약간 보다 빠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기간 내에서의 5m층과 10m층의 평균 수온 변화 폭인 0.3℃이내의 수온변화에서는 상관성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5. 어군의 수직분포 변동이 가장 뚜렷했던 시간은 일출몰 전후였으며, 일몰을 전후하여 부상한 어군을 야간에는 주로 표층 가까이에 분포하고, 일출 40분전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일출과 함께 어군을 3m이하의 수심에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어장내에서의 수온, 염분등의 환경정보의 어군의 원격계측을 동시에 측정하여 고정도의 측정자료를 얻을 수 있음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환경정보와 어군과의 정밀한 상관관계는 또 다른 환경요인에 대한 실험을 행하여야 규명도리 것으로 예상된다.
        4,500원
        73.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5 species (fish 8 species, shellfish 7 species, crustacean 3 species, molusc 4 species and echinodermata) for the distribution of sanitary indicator organisms (total viable counts, coliforms, staphylococci, vibrios, and enterococci) and diatributional change of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logarithmic mean of total viable counts for total commercial fish and shellfish 25 species was 5.41±0.26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es, crustacean 6.76±0.67 CFU/g, shellfish 5.67±0.56 CFU/g, echinodermata 5.47±0.50 CFU/g, fish 5.021±0.38 CFU/g, and mollusc 5.03±0.65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enterococci was 2.36±0.37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crustacean 3.44±0.12 CFU/g, shellfish 3.87±0.45 CFU/g, echinodermata 3.38±0.0 CFU/g, fish 2.16±0.41 CFU/g and mollusc 0.01±0.0 CFUIg. The logarithmic mean of vibrios was 1.60±0.59 CFUI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crustacean 4.23±0.11 CFU/g, shellfish 3.58±0.90 CFUIg, echinodermata 1.64±0.34 CFU/g, fish 1.79±0.67 CFU/g and mollusc 1.07±0.61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staphylococci was 1.60±0.59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shellfish 0.01±0.00 CFU/g, echinodermata 3.51±0.60 CFU/g, fish 1.68±0.64 CFU/g, crustacean 0.34±0.33 and mollusc 2.90±0.11 CFU/g. The logarithmic mean of coliforma was 2.2±0.32 CFU/g, and in accordance with fish and shellfish, echinodermata 3.58±0.89 CFU/g was highest, shellfish 3.25±0.30 CFU/g, crustacean 3.23±0.49 CFU/g, fish 2.18±0.63 CFU/g, peeled shellfish 1.80±0.51 CFU/ g and mollusc 1.55±0.95 CFU/g. As the results of research of the change of the contaminated indicator microflora in working with storage period at 10℃, 20℃ and 30℃, total viable counts was increased without storage temperature and enterococci were decreased slowly at 10℃, but increased at 20 and 30℃ Vibrios were decreased slowly at 10℃, decreased at 20℃ and 30℃ in 2 days after increased rapidly. Staphylococci were increased promptly without storage temperature in 2 days, then the total viable counts were maintained. Coliforms were increased at 10℃ by 7 days, then decreased or maintained after 14 days, changed at 20℃ in accordance with fish species in 2 days, then returned to the initial total viable count, and decreased rapidly at 30℃ on 2 days. By the way,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4,600원
        74.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판형 모듈 설계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feed 흐름 조건에 따른 feed 온도 및 유속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확립하였고 모델 모사를 통해 흐름 조건들이 온도 분포에 끼치는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모델내의 유체의 Re 크기가 커지면 채널 두께방향으로의 유속 구배가 커질 뿐 아니라 투과물 증발을 위한 에너지원인 feed 흐름 속도가 커져 물질 및 열흐름이 증가하여 투과물 증발로 인한 feed 온도 강하가 증어든다. 반면에 채널 간격이 작아지면 feed 흐름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급격한 온도 강하를 야기시킨다. Re 크기에 따른 feed 온도 변화는 실험결과와 일치함이 관찰되었다.
        4,000원
        75.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소화염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박막합성시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공정변수는 탄화수소량을 결정하는 산소/아세틸렌 가스의 혼합비(R=O2C2H2)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가스비율 변화 (R=0.87-0.98)에 따른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를 측정하고, 이들 변수에 따른 다이아몬드 박막의 생성 및 결정형상의 변화과정을 SEM관찰, Raman 분광분석 및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혼합가스비율의 증가에 따라 다이아몬드의 생성입자 수밀도는 감소하였고, 이와 동시에 결정형상도 (111)면과 (100)면이 혼재된 cobo octahedron형에서 octahedron인 (111)면으로 변화되었다. 한편, 기판온도증가에 따라 생성입자의 수밀도가 증가하고 성장속도도 빨라져 조대한 결정을 얻었으며, 생성된 입자형성은 (111)면애 지배적이다가 (100)결정면이 점차 많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76.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species and the distribution of horizontal mean temperature at the Jepth of 10m and of vertical temperture sections in the different fishing grounds, using the date of catches in 1980, showing a relative good ones during six years from 1975 to 1980, and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Yellowfin and bigeye are mainly caught in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s including equatorial upwelling region in 5˚N to 5˚S, and albacore is mainly caught in Subtropical region in 20˚5 to 40˚5. The good fishing grounds of yellowfin and bigeye are made in the depth layer of 100 m to 250 m and temperature of 15˚C to 26˚C having a smooth gradient of thermocline in the Central Pacific between 180˚ and 1500W. But albacore is caught well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rmocline ranges from 100e to 25˚C and its gradient very smoothly. Approaching to the American Continent, the catches of yellowfin and big eye decrease because the thermocline becomes shallower and steeper at Eastern Pacific Region between 1500 and 800W.
        4,200원
        78.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라고나이트는 탄산칼슘(CaCO3)의 동질이상 중 하나이며, 해양 생태계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침전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아라고나이트의 형성 및 성장뿐만 아니라 아라고나이트 내 스트론튬(Sr)과 같은 미량원소의 치환 특성은 화학종의 농도와 온도와 같은 핵심 인자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생태계와 유사한 용액 온도와 아라고나이트에 대한 이 용액의 다양한 포화도 조건에서 아라고나이트 내 Sr 병합 특성이 규명되었다. 반응 용액의 주입속도(0.085-17 mL/min), 반응 용액의 이온 농도([Ca]=[CO3] 0.01-1M), 혼합 용액의 온도(5-40 oC)의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컨스턴트-에디션 (constant-addition) 방법을 통해 순수한 아라고나이트가 합성되었다. 또한, 모든 Sr 병합 실험 조건(0.02-0.5 M, 15-40 oC)에서도 순수한 아라고나이트가 형성되었다. 합성된 아라고나이트의 결정도와 결정크기는 포화도 및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며 아라고나이트 결정이 더 많이 성장하였음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BET-비표면적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정성장속도는 결정 형상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아라고나이트 내 Sr의 분배계수(KSr)는 반응이온의 농도가 0.02에서 0.5 M로 증가할 때 2.37에서 1.57로, 온도가 15에서 40˚C로 증가할 때 1.90에서 1.54로 감소하였으며, 모든 조건에서 KSr 값이 1보다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KSr가 결정성장속도와 역의 상관관계로서 아라고나이트 내 Sr 병합이 호정성 관계임을 나타낸다.
        79.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global warming continues, we expect extreme climate events to occur more frequently and intensively and the extremes to become normal eventually. Such timing of when the climate extremes in the present climate become normal in a future climate has been estimated in previous studies, but these studies used different methods and definitions, making a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sults difficult. Defining the year of beginning of a new normal climate as the timing of unprecedented climate (TUC), this study suggests a new estimation method using a return level of extreme temperatures. The TUC was estimated using CMIP5 climate model simulation data with an application to the wintertime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in Korea. With a 50-year return level obtained from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of the CMIP5 historical experiment data, overall in the models, TUC was estimated to come in the 2070s under RCP 8.5 (a business- as-usual) scenario and in the 2090s under RCP 4.5 (an intermediate level of emissions) scenario. Using this new method, TUC can be estimated for various fields globally or regionally in different seasons with different variables, providing a useful guideline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ion policy and also a timetable for the actions.
        80.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는 콘크리트 재료의 열적특성에 의해 높은 수준의 화재 저항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에 따르면 중공슬래브의 열적거동은 일반 슬래브와 상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중공슬래브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슬래브 내부의 공기층을 고려하지 못하는 기존의 방법을 통해서 화재 시 중공슬래브의 내부온도를 추정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중공슬래브의 내부온도 분포를 산정하기 위한 수치해석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기본적으로 화재 시 슬래브의 열전달은 전도, 대류, 복사 등을 통해 발생하며, 이를 기반으로 시간에 따른 슬래브 내부 단면 온도분포를 산정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를 유한개의 층으로 분할하여 각 층의 온도를 산정하는 유한차분법을 도입한 중공슬래브의 수치해석적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슬래브 내부 공기층에서의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전달 경로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을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된 모델은 화재 시 중공슬래브의 온도변화를 적절히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