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93

        6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외인성 효소 첨가제 및 혼합 세균 배양을 통한 고상발효(Solid-state fermentation, SSF)가 채종박(Rapeseed meal, RSM)의 체외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및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외인성 효소 칵테일(첨가 및 미첨가) 및 RSM에 대한 SSF(발효 및 비발효)를 나타내는 2 x 2 요인 설계가 적용되었다. 3-step 돼지 소화율 모델을 적용하여 채종박의 건물 소화율을 분석하였으며, 72시간 대장발효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단쇄지방산 생성량을 분석한 후 칼로리 단위로 변환하여 가소화에너지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소장 (IVDMDh) 및 전장 (IVDMDt) 건물소화율에서는 고상발효된 채종박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각각 p < 0.01). 마찬가지로, 외인성 효소 첨가제 처리구에서 채종박의 소장 소화율(IVDMDh)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 0.06). Acetic acid 및 butyric acid의 생산은 대조구에 비해 고상발효 처리 시 유의하게 더 생산되었으며 (각각 p < 0.01), 이는 총 단쇄지방산의 생산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p = 0.09).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채종박의 고상발효 및 외인성 효소제 첨가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 < 0.01). 그러므로 채종박의 고상발효 처리는 단백질 이용성을 비롯한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6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UV-A 조사가 시금치(Spinacia oleracea L.)의 생장과 생리활성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였다. 시금치 묘는 200μmol·m-2·s-1 PPFD, white LED, 광 주기 12시간, 온도 20°C, 상대습도 70%, 이산화탄소 농도 500μmol·mol-1의 수직농장 모듈에서 재배되었다. 파종 후 5 주된 묘는 7일 동안 20W·m-2와 40W·m-2의 두 가지 에너지 수 준에서 연속적으로 UV-A(피크파장: 385nm) 조사한 후 생육 특성, 광합성 파라미터, 이미지 형광, 총 페놀 함량, 항산화도, 그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UV-A20W 처리는 시금치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UV-A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의 광합성 파라미터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광계Ⅱ의 최대양자수율 (Fv/Fm)은 모든 UV-A 처리에서 7일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했 다. 또한, UV-A20W 처리에서 식물체당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도는 처리 7일째 증대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처리 5일째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UV-A LED 보광이 수직농장과 같은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의 생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 한다.
        4,000원
        63.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school dietitians from March 1 to 31, 2022. Of the personality type factors,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performance,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job satisfaction revealed conscientiousness predicted satisfaction with items of the job, agreeableness predicted satisfaction with supervisor’s supervision, and extraversion predicte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neuroticism was a nega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supervisor’s supervision, colleagues, and work environment items.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job performance established that openness was a posi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roles of the organization and team, and of conscientiousness for the job, innovator, and organizational roles. In contrast, neuroticism nega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job role item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se relationships more closely by incorporating other major factors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etitians working in various fields.
        4,800원
        64.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한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할 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아보카도 오일 함량을 0 g, 3 g, 6 g, 9 g 으로 펌베이스제에 첨가 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4개의 손상 모발 시료에 도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정 방법은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의 신뢰성 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는 시료에 6 g 과 9 g 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 한 시료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 결 과 오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의 흡광도가 감소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 결과는 6 g 과 9 g 첨가 시에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아보카도 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어 모질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5.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노후준 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의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6차조 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이상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 806명이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 족도는 일상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 도와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의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노후준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고 일상생활만족도 향상과 노후준비를 위한 사회복 지 정책과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100원
        66.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 창의융합수업에서 Appreciative Inquiry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후 창의융합역량 학습 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창의융합역량 학습성과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이후, 경기도 소재 G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교육경영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원생 12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창의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융합역량 학 습성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Appreciative Inquiry 교수학습 방법이 학습자의 창의융합역 량 학습성과 증진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다. 학습자-학습자간, 교수자-학습자간 평가로 실시한 학습성 과 평가에서 Appreciative Inquiry의 4D 활동이 혁신적 사고, 다양한 아이디어, 경험의 결합, 협력적 태도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융합교육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분위기의 아이디어 발산과 공유의 팀기반 교수학습 방법이 창의융합역량 학습성과에 효과가 있다 결론을 도출하였다.
        5,500원
        67.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규명하고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대학 생 진로와 관련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535부를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구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정서지능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코칭역량은 직 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지지가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셋째,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코칭역량과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정서지능을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각 변인이 진로 관련 교육과정에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7,700원
        6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st studies targeting stroke patients have confirmed improvements in balance and walking using immersive and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However, to date, there are not many studies targeting brain activation enhancement for the two training program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 on the EEG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immersion.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20 stroke patients, with 10 in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group (IVRG) and 10 in a non-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group (NVRG) were randomly assigned to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EEG was measured for 2 minutes using DSI-24. Results: The intra-group difference in relative alpha waves of brain waves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groups, and the between-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EG relative beta wave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 in the Fp1, Fp2, Cz, C3, C4, P3, and O2 in the experiment group, and significant in the Cz and O2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p1 area. Conclusion: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based on differences in immers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E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 based on differences in immersion can be provided as a clinical intervention method for EEG.
        4,500원
        6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ling neurac exercise interventions for craniovertebral angle (CVA), head rotation angle, range of motion (ROM), and neck postural alignment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ling neurac exercise o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neck postural alignment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Design: Quaxi-experimental study. Methods: Fifty young adults in their 20s were divided into a sling neurac exercise group (SNEG) and a control group (CG). SNEG conducted sling neurac exercise intervention for one day, and CG did not implement interventio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postural alignment before and after exercise was evalu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the sling neurac exercise group (SNEG), CVA, cranial rotation angle (CRA), ROM, and postural alignment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all P<.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CG) (all P>.05).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postural alignment (all P<.01). Conclusion: The Sling neurac exercise can significantly improve CVA, CRA, ROM, and postural alig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sling neurac exercise as an intervention.
        4,000원
        7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Effective trunk stabilization has been a cornerstone in physiotherapy,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with lower back issues. While bridging exercises were traditionally employed for this purpose,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ir modified versions to optimize therapeutic benefit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raditional and modified bridging exercises, particularly when varying leg support and integrating abduction maneuvers during sling-assisted exercises, on trunk muscle responsivenes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A group of twenty participants was subjected to three exercise protocols: Bilateral Limb Bridging (BLB), Single Limb Bridging (SLB), and Single Limb Bridging combined with Hip Abduction (SLBHA).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the study captured the activation patterns of the Internal Oblique (IO), Erector Spinae (ES), and Multifidus (MF) musc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with post-hoc examination for detailed insights. For data consistency, normalization was executed based on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and EMG data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RMS technique. Results: The most prominent variations in muscle activation were identified in the IO muscles on both sides. The left IO displayed marked activation disparities between BLB vs. SLB and SLB vs. SLBHA. Analogous observations were made for the right IO when comparing BLB to SLBHA and BLB to SLB. Conversely, ES and MF muscle activations remained consistent across the different exercises. Conclusion: Modified bridge exercises with sling-assisted leg supports with abduction can selectively activate IO muscles, with a noticeable asymmetrical effect favoring the left side.
        4,000원
        7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experience a variety of physical problems due to neurological problems, including difficulties with trunk control. Trunk taping is used to improve gait in stroke patient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immediate effect of thoracic and abdominal elastic taping on gait parameters (the dynamic balance and gait speed) in stroke patients. Design: Quasi experimental study. Methods: A total of 24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oracic and abdominal taping, 12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sham taping, 12 people). All subjects had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10 meter walk test (10MWT) measured before and after taping. Results: After taping, the TUG test and 10MWT resul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only in the study group (P<.05). The TUG test and 10MWT results of the stud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thoracic and abdominal taping was found to improve trunk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reby improving dynamic balance and walking speed.
        4,000원
        7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is effective as a representative exercise for strengthening eccentric contraction that can activate the hamstring at high levels, improve eccentric contraction strength and ability, and significantly reduce injury rates. Objectives: To investigated a comparison with the lunge exerci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in a sample of adult amateurs and football player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ratified samples of 28 professional and amateur football players and two groups (Nordic hamstring group and lunge group) of 14 people each were studied. Surface electromyography using,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hamstring muscle activity, and the good morning exercise was selected as the measurement exercise. For balance ability, the surface area ellipse and length were measured with BioRescue, while for static balance, the posture of closing the eyes and single-limb standing was measured, and for dynamic balance the one-legged squat was measured. Results: The %MVIC of the semitendinosus and the biceps femoris improved in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group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5).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improved in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group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5). Conclusion: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can be useful as an exercise to improve the hamstring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y of professional and amateur football players.
        4,200원
        7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especially in the teaching of VR simulations just prior to clinical practice,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practice and better prepare nursing students for patient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preclinical VR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elf-efficacy,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ceived clinical competenc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May and June 2021 using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control group. A total of 42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two separate classes.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VR simulation educ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lecture-based education, before beginning clinical practic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efore preclinical education and after completing clinical practic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independent t-tests, and ANCOV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erceived clinical compet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 = 5.25, p = 0.029) after controlling for pretest scor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self-efficacy, or problem-solving abilities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clinical VR simulation education is partially effective in preparing nursing students for their clinical practice, underscoring the need for a balanced educational approach that integrates VR with clinical practice to develop a full spectrum of nursing skills and knowledge.
        4,300원
        7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의 3세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 조절력이 사회적 유능성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산시성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 5곳에 재원 중인 3세 유아 600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를 통해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당 유치원의 원장 및 담임교사에게 설문지를 위한 방문 및 온라인으로 협조문을 보내 참여 의사 확인 후 ‘문권성(问卷星)’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교사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6,300원
        7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taracts on quality of life in adults over 40 years of age using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2018). Methods :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ge, depression, and illness-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4,394 adults aged 40 years and older who responded to a diagnosis of cataract in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Dichotomized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X2). Relationships between catarac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ub-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djusting for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A value of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rrected for age and gender, catarac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ataracts in terms of motor ability (walking activity), pain and discomfort,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s of restrictions on motor ability (walking activity), cataract disease patients were 1.37 times (95% CI: 1.14-1.65), pain and discomfort were 1.3 times (95% CI: 1.11-1.51), and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1.38 times (95% CI: 1.10-3.75) at increased risk, confirming that cataracts significantly lower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However, in terms of self-care (bath or dressing) and daily life, after correcting age and gend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taracts could not be confirmed.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cataracts affect exercise ability, pain/comfort, anxiety/ depression, etc., which can also reduce the quality of life.
        4,000원
        77.
        202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posure frequency, depth of processing, and activity repetition types on vocabulary learning. In total, 78 South Korean fifth-grad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conditions. Students in each condition were asked to read a passage with four of the eight target words (exposure: four times) and the other four words (exposure: once) for three days, and to perform the vocabulary activities assigned to each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exposure frequency and activity repetition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repetition type also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exposure frequency and depth of processing. Notably, presenting a word 12 times (4x3) in reading intervals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vocabulary learning than presenting it three times (1x3), particularly when different vocabulary activities were repeated. Meanwhile, when the same activity was repeated, an activity with a higher depth of processing was more effective for vocabulary learning.
        7,000원
        7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양 용토, 호르몬 종류 및 농도, 잎의 모양 차이 에 따른 넓은산꼬리풀의 삽목 발근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토양 용토는 단일 원예용상토와 녹소토 그리고 원예용 상토:녹소토(1:1) 혼합용토를 사용하였다. 호르몬 종류는 IBA 와 NAA를 사용했으며 각각 무처리, 100, 500, 1000㎎·L-1를 처리했다. 잎의 모양은 잎 두매가 온전하게 달린 삽수, 잎 두 매를 반으로 자른 삽수 그리고 잎 한매를 반으로 자른 삽수를 조제하여 사용했다. 용토에 따른 발근은 녹소토를 단일로 사 용한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원예용상토를 단일 로 사용한 처리에서 발근이 저조하였다. 호르몬에 따른 발근 은 IBA와 NAA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물의 biomass를 나타내는 건물중이 NAA 보다 IBA에서 높게 나 타난 것으로 보아 IBA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잎 모 양에 따른 발근은 잎 한장을 반으로 자른 삽수가 가장 높은 생육이 나타났으며 온전한 잎 두장이 붙어있는 처리는 생육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넓은산꼬리 풀은 삽목시 반으로 잘린 잎이 한장만 붙어있는 삽수를 저농 도의 IBA에 침지 후 녹소토에 꽂는 것이 삽목에 효과적일 것 으로 보여 진다.
        4,000원
        7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 부추속 식물 중 강부추(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와 갯부추(A. pseudojaponicum Makino)는 관상용, 식 용 및 약용자원으로 가치가 있으나 육묘를 위한 생육환경조건 구명이 미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강부추와 갯부추의 육묘에 미치는 플러그 셀 크기, 차광률, 시비처리에 따른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부추와 갯부추를 육묘한 결과, 플러그 셀 크기에서는 50, 72, 105, 128, 162, 200셀 처리 중 용적이 가장 큰 50셀에서 초장, 엽 수, 근수, 그리고 근장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생산비용 과 플러그 육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105셀 이상의 플러그 트레이 중에서 선택하여 육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차광률에 따른 유묘는 0, 30, 60, 90% 처리 중 30~60% 차 광처리에서 초장, 근수, 그리고 근장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 되어 생육이 양호하였다. 시비처리에서 생중량과 건중량을 제 외한 생육지표를 검토했을 때, 강부추의 적정 시비처리는 속 효성 고형비료(DO-PRO) 0.1g, 갯부추는 속효성 액체비료 (Peters) 주 1회 8mL 엽면시비처리였고 두 종 모두 속효성 시비처리가 효과적이었다. 강부추와 갯부추의 초기 생육에는 30~60% 차광처리가 된 재배플롯에서 원예상토가 충진된 128셀 플러그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한후, DO-PRO 0.1g 또 는 Peters 8mL를 주 1회 엽면시비하면서 재배하는 것이 효 과적이라 판단된다.
        4,000원
        80.
        202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goal orientation, and speaking anxiety on speaking performance between metaverse and face-to-face contexts. We randomly assigned 253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o either metaverse or face-toface groups for 12 weeks of English-speaking lesson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completed speaking tests and submitted a post-questionnai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 attributes had a similar impact on speaking performance in both settings. Specifically, self-regula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speaking performance, while speaking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context. Furthermore, self-regul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reducing speaking anxiety in both settings. This implies that metaverse-mediated and face-to-face classes offer similar learning environments, where students can leverage their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skills to manage speaking anxiety. Ultimately, students can enhance their speaking performance by employing selfregulation strategies and nurturing a mastery goal orientation, irrespective of the learning context.
        7,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