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08

        6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imal experiment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fermented rice germ and soybean extracts in lower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 compound primarily derived from fermented soybean extract constitutes the principal component of DA-5521, an experimental dietary substance exam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hangover-alleviating effects of DA-5521 in individuals aged 19 to 50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hangovers. Moreover, we enrolled 22 participants who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conducted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trial. Six hours after alcohol consumption, the test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Further, our results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in the DA- 5521 group at 0.50 and 0.75 h post-ingestion and substantially lower peak breath alcohol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These findings confirm that consumption of DA-5521 can significantly ameliorate hangover symptoms by diminishing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and reduce breath alcohol concentration.
        4,200원
        6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ngladeshi medicinal plants (BMP) have a history of traditional use in treating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but a BMP bark’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remain largely unexplored. This study assessed methanolic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from the bark of 15 medicinal plant species native to Bangladesh. The methanol extracts of BMP bark were evaluated for their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ability to counteract inflamma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 RAW 264.7 macrophages. Among the 15 bark extracts from BMP, Albizia odoratissima (A. odoratissima), Engelhardia spicata (E. spicata), and Shorea robusta (S. robusta)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effectively scavenging free radicals. In particular, these three bark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LPS-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and enzymes inducible by inflammation in macrophages. Also, the mRNA expression of NADPH oxidase 2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three bark extracts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t of the 15 bark extracts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in Bangladesh, the extracts from A. odoratissima, E. spicata, and S. robusta exhibit substantial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efficiently scavenging free radicals and also inhibit LPS-induced inflammation in macrophages.
        4,000원
        63.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와 유아의 교사유아상호 작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놀이 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 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언어 및 문해능력, 교사유아상호작용, 사회적유능감 모두 유아의 놀이 단절 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 및 문해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 력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유능감 하위 요인 중, 자기통제가 놀이 단절에 가 장 강력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유아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 유아유아상호작용이 놀이단절에 가장 강력한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 구를 통해 유아의 놀이 단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회 성을 증진시켜줌과 동시에 교사가 유아와 양질의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놀이 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들을 알아보고 놀이 단절을 감소 및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 데 있다.
        6,700원
        64.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인 돌봄 이행의 질적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으며, 이 를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유효 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임의 표집 방식을 통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2023년 8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40명의 자 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 석을 도출하고,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Macro Model 4와 Model 6을 통해 개별 매개 및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 유효성의 개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 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돌봄 이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 본과 조직 유효성의 순차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돌봄 이행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직무스트 레스를 감경하고,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 및 조직 유효성의 긍정 적 강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했다.
        7,700원
        65.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를 내재적·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로 구분하여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4년제 J대학의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 236명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 공만족도는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 만족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없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 족도를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 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 족도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항 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돕고, 학생들의 진로상 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6,600원
        66.
        2024.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의 컬러 등 명상이 유아의 주의 집중력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필요성은 컬러가 주는 효과를 이용하여 유아들에게 집중력 과 행동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S지역의 4세 유아를 대상으로 20명을 기준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진단 평가지(DSM-Ⅳ)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종합 교사용 평정척도(ACTeR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파랑집단의 경우에는 사 전보다 사후에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빨강집단의 경우에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리고 교사용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평정척도 (ACTeRS)는 주의집중력은 빨강집단이 파랑집단보다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과잉행동은 파랑집단이 빨강집단보다 더 높았다. 수업 방해 행동 차이는 파랑집 단은 회차가 거듭될수록 감소하였다. 그러나 빨강집단은 회차가 거듭될수록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수업 방해 행동의 경우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므로 아유르베다의 컬러 명상 이 수업방해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아유르베다의 컬러 등 명상은 유아의 주의력과 행동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67.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로마 목걸이를 병용한 비대면 수면 프로그램이 불면증 대학생의 수면의 질, 주간졸 림증,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비동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시도되었다. 대상자 는 경기도 S시 소재 E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가운데 불면증상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중재 전후에 자가 설문으로 구성된 수면의 질, 주간졸림증, 우울,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비대면 수 면 프로그램은 실험군(n=21)에게 주 1회, 총 6주 동안 적용하였으며 대조군(n=21)에게 수면책자를 제공하 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t=-5.87, p<.001), 주간졸음(t=-4.28, p<.001), 우울(t=-4.40, p<.001)에서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비대면 수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수면의 질, 주간졸림증, 우울 증상을 감 소시키는데 유용한 간호중재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을 기대된다.
        4,200원
        68.
        2024.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격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사이버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회복 탄력성 및 오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B 시의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명 에게 2023년 4월 4일부터 2023년 5월 4일까지 일주일에 2회 총 10회기, 1회기 90분씩 격려 집단미 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학업 스트레스 대처와 회복 탄력성에 대한 효과는 사전·사후 점수 간 의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오라(Aura) 변화는 AURACOM을 활용하여 인체 에너지 상태를 측정한 결과의 심리와 신체 에너지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 스트레스와 회 복 탄력성에서 사전·사후 점수 간의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지만, 학업 스트레스 지수는 감소하였고 회 복 탄력성 지수는 높아졌으며 하위요인 자기 조절력, 긍정성, 대인 관계성이 향상되었다. 오라 측정의 결과는 인체 에너지의 균형을 이루어 향상된 건강 상태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격려미술치료 프로 그램이 사이버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처와 회복 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 확인에 의의가 있으며, 인체 에너지장 오라(Aura)의 균형을 회복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5,700원
        69.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cerative colitis (UC) is a chronic inflammatory intestinal disease characterized by an imbalance in immune function and the over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Vitamin B2, also known as riboflavin (Libof), is an essential water-soluble vitamin with numerous beneficial proper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aging,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nd anti-cancer effect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Libof on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experimental colitis. The C57BL/6 mice were used as the in vivo model of chronic coliti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bof. RAW 264.7 cells were used for the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In vivo, Libof alleviated the DSS-induced disease activity index (DAI), colon length shortening, and colonic pathological damage. In vitro, Libof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6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Moreover, Libof inhibited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ibof shows potential as an agent for the treatment of UC.
        4,000원
        70.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외인성 효소 첨가제 및 혼합 세균 배양을 통한 고상발효(Solid-state fermentation, SSF)가 채종박(Rapeseed meal, RSM)의 체외건물소화율(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및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외인성 효소 칵테일(첨가 및 미첨가) 및 RSM에 대한 SSF(발효 및 비발효)를 나타내는 2 x 2 요인 설계가 적용되었다. 3-step 돼지 소화율 모델을 적용하여 채종박의 건물 소화율을 분석하였으며, 72시간 대장발효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단쇄지방산 생성량을 분석한 후 칼로리 단위로 변환하여 가소화에너지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소장 (IVDMDh) 및 전장 (IVDMDt) 건물소화율에서는 고상발효된 채종박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각각 p < 0.01). 마찬가지로, 외인성 효소 첨가제 처리구에서 채종박의 소장 소화율(IVDMDh)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 0.06). Acetic acid 및 butyric acid의 생산은 대조구에 비해 고상발효 처리 시 유의하게 더 생산되었으며 (각각 p < 0.01), 이는 총 단쇄지방산의 생산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p = 0.09). 에너지 소화율에서는 채종박의 고상발효 및 외인성 효소제 첨가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 < 0.01). 그러므로 채종박의 고상발효 처리는 단백질 이용성을 비롯한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7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UV-A 조사가 시금치(Spinacia oleracea L.)의 생장과 생리활성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였다. 시금치 묘는 200μmol·m-2·s-1 PPFD, white LED, 광 주기 12시간, 온도 20°C, 상대습도 70%, 이산화탄소 농도 500μmol·mol-1의 수직농장 모듈에서 재배되었다. 파종 후 5 주된 묘는 7일 동안 20W·m-2와 40W·m-2의 두 가지 에너지 수 준에서 연속적으로 UV-A(피크파장: 385nm) 조사한 후 생육 특성, 광합성 파라미터, 이미지 형광, 총 페놀 함량, 항산화도, 그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UV-A20W 처리는 시금치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UV-A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의 광합성 파라미터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광계Ⅱ의 최대양자수율 (Fv/Fm)은 모든 UV-A 처리에서 7일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했 다. 또한, UV-A20W 처리에서 식물체당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도는 처리 7일째 증대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처리 5일째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UV-A LED 보광이 수직농장과 같은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의 생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 한다.
        4,000원
        7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mong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school dietitians from March 1 to 31, 2022. Of the personality type factors,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performance,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job satisfaction revealed conscientiousness predicted satisfaction with items of the job, agreeableness predicted satisfaction with supervisor’s supervision, and extraversion predicte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neuroticism was a nega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supervisor’s supervision, colleagues, and work environment items.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job performance established that openness was a positive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roles of the organization and team, and of conscientiousness for the job, innovator, and organizational roles. In contrast, neuroticism nega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job role item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se relationships more closely by incorporating other major factors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etitians working in various fields.
        4,800원
        73.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한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할 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아보카도 오일 함량을 0 g, 3 g, 6 g, 9 g 으로 펌베이스제에 첨가 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4개의 손상 모발 시료에 도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정 방법은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의 신뢰성 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는 시료에 6 g 과 9 g 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 한 시료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 결 과 오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의 흡광도가 감소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 결과는 6 g 과 9 g 첨가 시에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아보카도 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어 모질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74.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노후준 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의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6차조 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이상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 806명이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 족도는 일상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 도와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의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노후준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고 일상생활만족도 향상과 노후준비를 위한 사회복 지 정책과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100원
        75.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 창의융합수업에서 Appreciative Inquiry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후 창의융합역량 학습 성과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창의융합역량 학습성과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이후, 경기도 소재 G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교육경영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원생 12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창의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융합역량 학 습성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Appreciative Inquiry 교수학습 방법이 학습자의 창의융합역 량 학습성과 증진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다. 학습자-학습자간, 교수자-학습자간 평가로 실시한 학습성 과 평가에서 Appreciative Inquiry의 4D 활동이 혁신적 사고, 다양한 아이디어, 경험의 결합, 협력적 태도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융합교육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분위기의 아이디어 발산과 공유의 팀기반 교수학습 방법이 창의융합역량 학습성과에 효과가 있다 결론을 도출하였다.
        5,500원
        76.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규명하고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대학 생 진로와 관련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535부를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구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정서지능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코칭역량은 직 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지지가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셋째,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코칭역량과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정서지능을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각 변인이 진로 관련 교육과정에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7,700원
        7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st studies targeting stroke patients have confirmed improvements in balance and walking using immersive and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However, to date, there are not many studies targeting brain activation enhancement for the two training program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 on the EEG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immersion.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20 stroke patients, with 10 in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group (IVRG) and 10 in a non-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group (NVRG) were randomly assigned to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EEG was measured for 2 minutes using DSI-24. Results: The intra-group difference in relative alpha waves of brain waves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groups, and the between-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EG relative beta wave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 in the Fp1, Fp2, Cz, C3, C4, P3, and O2 in the experiment group, and significant in the Cz and O2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p1 area. Conclusion: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s based on differences in immers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E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 virtual reality training program based on differences in immersion can be provided as a clinical intervention method for EEG.
        4,500원
        7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ling neurac exercise interventions for craniovertebral angle (CVA), head rotation angle, range of motion (ROM), and neck postural alignment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ling neurac exercise o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neck postural alignment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Design: Quaxi-experimental study. Methods: Fifty young adults in their 20s were divided into a sling neurac exercise group (SNEG) and a control group (CG). SNEG conducted sling neurac exercise intervention for one day, and CG did not implement interventio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postural alignment before and after exercise was evalu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the sling neurac exercise group (SNEG), CVA, cranial rotation angle (CRA), ROM, and postural alignment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all P<.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CG) (all P>.05).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postural alignment (all P<.01). Conclusion: The Sling neurac exercise can significantly improve CVA, CRA, ROM, and postural alig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sling neurac exercise as an intervention.
        4,000원
        7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Effective trunk stabilization has been a cornerstone in physiotherapy,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with lower back issues. While bridging exercises were traditionally employed for this purpose,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ir modified versions to optimize therapeutic benefit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raditional and modified bridging exercises, particularly when varying leg support and integrating abduction maneuvers during sling-assisted exercises, on trunk muscle responsivenes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A group of twenty participants was subjected to three exercise protocols: Bilateral Limb Bridging (BLB), Single Limb Bridging (SLB), and Single Limb Bridging combined with Hip Abduction (SLBHA).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the study captured the activation patterns of the Internal Oblique (IO), Erector Spinae (ES), and Multifidus (MF) musc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with post-hoc examination for detailed insights. For data consistency, normalization was executed based on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and EMG data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RMS technique. Results: The most prominent variations in muscle activation were identified in the IO muscles on both sides. The left IO displayed marked activation disparities between BLB vs. SLB and SLB vs. SLBHA. Analogous observations were made for the right IO when comparing BLB to SLBHA and BLB to SLB. Conversely, ES and MF muscle activations remained consistent across the different exercises. Conclusion: Modified bridge exercises with sling-assisted leg supports with abduction can selectively activate IO muscles, with a noticeable asymmetrical effect favoring the left side.
        4,000원
        8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experience a variety of physical problems due to neurological problems, including difficulties with trunk control. Trunk taping is used to improve gait in stroke patient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immediate effect of thoracic and abdominal elastic taping on gait parameters (the dynamic balance and gait speed) in stroke patients. Design: Quasi experimental study. Methods: A total of 24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oracic and abdominal taping, 12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sham taping, 12 people). All subjects had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10 meter walk test (10MWT) measured before and after taping. Results: After taping, the TUG test and 10MWT resul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only in the study group (P<.05). The TUG test and 10MWT results of the stud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thoracic and abdominal taping was found to improve trunk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reby improving dynamic balance and walking speed.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