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61.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루미늄 용액과 갈근 열수 추출액의 급여가 흰쥐의 Aldosterone, rennin의 호르몬과 GOT, GPT. LDH의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실험군간에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중증가량은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갈근과 알루미늄의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조직은 다론 조직에 비하여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은 1.78~1.83g이었으나 알루미늄과 갈근 병합 급여군은 2.10~2.19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ennin 활성도에서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399.98~464.58ngAl/ml/hr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갈근 병합 급여군이 289.74~88ngAl/ml/hr으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ldosterone 활성도는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은 1351.60~1394.83pg/ml 알루미늄과 갈근 열수 추출물 병합 급여군이 954.54(~9632.57pg/ml으로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O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은 258.60~395.80IU/L인데 비하여 알루미늄과 갈근 열수 추출물 병합 급여군이 314.20~320.2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GP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100.40~108.20IU/L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과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은 70.80~81.0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H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3157.20~3726.20IU/L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와 알루미늄 동시 병합 급여군은 2846.60~2993.2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에 의한 알루미늄 중독 완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4,000원
        6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ostnatal exposure to octylphenol(OP) on the expressions of the steroidogenic enzymes and testosterone production were evaluated. Postnatal male mice (15-day-old) were injected with 2 or 20mg kg-l body weight (BW) of OP for 5 days and
        4,000원
        6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시마 분말 첨가식이가 당뇨쥐의 당질과 지질대사 및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SD계 횐쥐에 17% 다시마 분말을 급여하여 7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의 포도당 및 지질농도와 주요장기의 항산화효소의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다시마 당뇨군(TI)에서 다사마 섭취는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 현상을 보였다. 당뇨군의 혈당 농도는 다시마 섭취에 의한 혈당강하 효과는 3주째에 나타났다. 당뇨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GST 활성도가 다시마 섭취로 인해 정상 수준으로 저하됨으로써 다시마의 섭취가 당뇨시 산화적 반응에 대한 방어기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지방이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하는 경향으로 심혈관계와 관련되는 당뇨합병증의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6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선량 γ선 조사가 참박의 초기생육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박 종자에 γ선을 0-2O Gy 수준으로 조사하여 생육을 관찰하였다. 저선량 γ선에 의한 참박의 초기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4-16Gy에서 다소 증가하였고, 생육 조사시 측정한 자엽의 경우 catalase와 Peroxidase 활성이 대조구에 비해 8 Gy 조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본엽은 peroxidase활성이 4 Gy 조사구에서 확연히 증가
        4,000원
        68.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nitrosoethylurea(NEU)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의 함량 변화와 알데히드 대사효소 및 항산화효소의 활성변화를 쥐 간세포에서 측정하였다. 알데히드 대사효소로는 alcohol dehydrogenase와 aldehyde dehydrogenase가 사용되었고 항산화효소로는 glutathione transfer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reductase와 catalase가 사용되었다. 쥐 간세포에 다양한
        4,000원
        69.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위적으로 pH 구배가 조성된 회분배양 시스템 (batch culture system)내에서 산성화에 따른 종속영양 세균 군집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세균의 개체수는 산성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크기는 pH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전 pH구간에서 분리된 종속영양 세균들은 모두 12속 22종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그람음성 세균은 64%,그람양성 세균은 36%의 비율로 분포하였다. pH가 낮아짐에 따라 그람양성 세균의 분포
        4,000원
        74.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배상황버섯의 유산균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B. breve에 대한 증식 효과와 배양배지의 pH 저하 효과가 우수했다.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을 버섯추출물 함유 배지에서 배양시 배지의 pH 저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β-glucosidase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그 외에도 대장암 및 방광암 등의 원인효소로 주목되고 있는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층 효소인 β-glucosidase 및 tryptophanase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외에도 인슐린 비의 존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acarbose보다는 약하지만 maltase, sucrase 및 알파아밀라제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3,000원
        77.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종(種)의 상치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여 수분(水分) 스트레스에 노출(露出)을 시켰을 때 총(總) 단백질(蛋白質)의 함량(含量)은 Flooding 처리시 그 감소율(減少率)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감소율(減少率)은 JCM이 가장 컸고, DCM이 가장 작았으며 품종간(品種間) 각 처리별(處理別) 차이(差異)가 크게나타났다. 총(總) 지질(脂質)의 함량(含量)은 감소율(減少率)이 CCM이 가장 컸고 JCM, DCM, DJM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항산화효소(抗酸化酵素)인 Superoxide Dismutase(SOD)는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전체적으로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감소율(減少率)은 Catalase의 경우 처리별 JCM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DCM, DJM에서는 Flooding 처리시 효소의 활성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Calatase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가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 보다 감소율(減少率)이 더 크게 나타나 이는 Catalase가 Ascorbate peroxidase 보다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와 더 직접적(直接的)으로 반응(反應)을 함을 나타낸다. Drought 처리기간별(處理期間別)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는 생육시간(生育時間)이 길어질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Catalase의 활성도(活性度)가 4일째 이후 가장 급격하게 감소(減少)하였다.
        4,000원
        7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심해 분화구에서 분리된 초고온성 archebacterium인 Pyrococcus furiosus DT5432는 α-1, 4 또는 α-1, 6-glucoside 결합을 가진 탄수화물 함유 배지에서 균체외 amylase과 pullulanase, 균체내 α-glucosidase를 생성하였는데 0.5% maltose첨가시에 균체외 amylolytic효소의 생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DEAE-Toyopearl column chromatography와 활성염색의 결과가 2종류의 amylase가 생성되었는데, 이 효소들은 pH 5.5, 80℃에서 최적활성을 보였고, pH 5.5∼9.5, 80℃에서 30분간 안정하였다. 중온성 미생물 유래의 amylase와 빠르게 효소활성을 위해 Ca^2+ 이온을 요구하지 않았으며 SDS, Triton X-100과 같은 계면활성제에 1.0% 농도까지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Amylase는 soluble starch, amylose, amyiopectin 및 glycogen등을 분해시켜 주생성물인 maltose와 maltotriose외에 미량의 glucose를 생성시켰으며 그리고 maltotetraose 이상의 oligosaccharide도 용이하게 분해시켰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