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3

        8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vestigation was initiated with data from 27 abandoned mines along with 12 locations in Kyongbuk abandoned mines. The analyses for soil pollution by heavy metal pollutants were conduct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Ni and pH were highly correlated compared to those of other heavy metal ion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showed that the heavy metal ions might be classified into two catagories, such as antropogenic and lithogenic components. The cluster analysis was also clearly divided by two groups. The respective two groups might be Pb-Zn-Cd-Cu and As-Hg-Ni.
        4,000원
        8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경북지역 성인들의 사위와 안정피로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사시안, 안질환 또는 전신질환이 없는 18세에서 35세까지의 근시안을 가진 80명을 대상으로, 교정시력, 교정굴절력, 사위검사, 융합여력검사를 실시하여 사위와 융합여력에 따른 안정피로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80명 가운데 52명이 안정피로를 호소하였고 이 가운데 외사위는 58.5%, 내사위는 41.5%였다. 18.5%는 근거리에서 정상으로 간주되는 0-6△의 외사위를 가지고 있었고, 81.5%는 정상범위를 벗어난 사위를 가지고 있었다. 융합여력의 크기는 사위량이 많을수록 적어졌으며, 융합여력이 사위량의 2배 이상인 사람이 28.5%이고 2배 미만인 사람이 71.5%로 조사되었다. 안정피로를 호소하는 사람 가운데 32.9%는 융합여력이 2배 이상인 사람이고, 67.1%는 융합여력이 2배 미만인 사람이었다. 결론: 사위안의 융합여력이 안정피로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위안의 처방시 융합여력을 검사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83.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in foodservice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lifestyl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of 520 university students from Daegu Gyeongbuk Province. The SPSS/Win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sa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ifestyle was divided into 10 factors and 3 clusters, namely "Convenience Intention" (cluster I), "Health Information Intention" (cluster II), and "Gender Equality Intention" (cluster III). 2)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clusters were founded on gender, frequency of visits, companion, information type, and the type of restaurant. 3)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I (Convenience Intention) are explained by it consisting of the group with low averages in consumer dissatisfaction, complaints, compens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here as cluster II was the high average group and cluster III the middle averag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consumer characteristics in foodservice are discussed.
        4,000원
        84.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공급에서 자발 혹은 자원부문(the voluntary sector)이 가지는 중요성에 착안하여, 이의 자원화를 통해 지역사회복지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 논의 및 분석의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자원봉사 활성화가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향상에 미치는 이론적 논거를 파악했다. 둘째,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경북 북부 지역의 자원봉사 활동실태, 사회복지시설 관련 자원봉사 활동실태, 자원봉사조직 관련 자원봉사실태 등을 조사하면서, 각 유형의 파트너십 및 네트워크를 집중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한 실증분석의 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국내․외의 학술서 및 학술지를 비롯하여 각종 연구보고서, 학위논문, 정부와 공공기관의 각종 통계자료, 인터넷 자료, 기타 월간지와 계간지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로 부족한 것은 지역사회복지 관련 담당 공무원과 NGO 그리고 주 수혜자들과 자원봉사 조직 관련 전문가들을 심층 면접하여 보완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지역의 자원봉사활동을 분석한 결과, 낮은 참여율과 낮은 지속율, 학생이나 주부 위주의 참여, 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 부족, 전담기구의 부족 및 자원봉사 육성․추진기관 간의 네트워크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축의 목적은 공동체 사회를 만드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내에 있는 사회복지 이용시설과 수용시설, 보건소, 시민단체와 의사협회나 변호사 등의 전문가단체, 종교기관, 지방정부 등이 망라된 지역복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원봉사센터가 직접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자원봉사센터가 지역단위의 사회복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구심점이 되어 복지 네트워크 형성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4,800원
        86.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진군(경북) 불영사계곡은 자연생태계가 뛰어나고 금강소나무가 분포하는 곳이나 최근 국도 확장에 따라 자연생태계 정밀조사가 필요한 곳이다. 이에 불영사계곡 일대의 식생분포 및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99개 조사구(단위면적 1002)를 설치하고 식생분포 및 구조를 파악하였다.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울진불영계곡 일대의 식생은 소나무가 광범위하게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소나무와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존식생조사 결과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전체 대상지의 47.75%를 차지하였고, 녹지자연도 분석결과 등급 8이 전체의 69.14%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울진 불영계곡 일대의 식생은 소나무가 광범위하게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소나무와 경쟁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6년 8월 경북 연안의 우렁쉥이 앙식장에서 대량폐사가 발생하였다. 폐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폐사 직후 폐사가 발생한 양식장을 대상으로 수질환경 조사와 병리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폐사가 발생하기 직전 동해에 영향을 미친 10호 태풍 '우쿵'이 우렁쉥이 폐사에 영항을 미쳤을 것으로 가정하고 태풍 '우쿵' 통과 전후의 해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태풍 우쿵의 영향을 받기 전인 8월 초 중순 동해 연안은 전반적으로 저층 냉수의 용승으로 인하여 수심 10m 이심에서는 15℃ 이하의 찬물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 후 매풍 '우쿵'의 영향으로 인한 북풍이 약 5일간 지속되면서 수온이 높은 외측의 표층수가 연안으로 밀려와 침강하는 현상(에크만 효과)이 발생하여 우렁쉥이가 매달려 있는 수심 10~20m의 수은이 일시에 10℃ 이상 상승하여 약 5일간 지속되었다. 2006년 경북 연안의 양식 우렁쉥이는 장기간 냉수에 적응되어 있다가 태풍 '우쿵'의 영향으로 수온이 급상승함에 따른 수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대량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8.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5-D4-e type으로 나타났다.
        5,100원
        89.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a few hundreds of Jaesil architectures in Andong area, Kyungbook Province. Among them, about 25 of them have elevated pavilion, while all the rest do not have. This paper focus on these jaesils with elevated pavilion, and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t types among them, the background of the beginning of these jaesils, as well as eleveted pavilion. Five different types could be clarified, and they could be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ause of the construction of these types. Three major background reasons for the construction of jaesils with elevated pavilion, seems to be: 1) necessity of such pavilion to be able to clomplete the system of Jaesil, 2) borrowing of temple structure where there is not large wooden floor, and 3) eclectic combination of pavilion and main hall (Gangdand 講堂). Such study helps us understand not only the jaesils with eleveted pavilion, but also the general jaesils without eleveted pavilion. The inclusion of eleveted pavilion has a lot to do with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family, use of large space for the family gathering, as well as the popular trends of pavilion architecture of the time.
        5,500원
        9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lodor control law enacted in 2005, regulated malodor substances ansmg from factory or service industry. In this work, an attempt is made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malodor occurrence for types of industry and to settle trouble for a odor complaint. The odor concentration unit (o.u/㎥) of each major odor emitting industry was actualized by the indirect olfactory method including air dilution sensory test method in Korea. The industry that malodor complaint originate mainly were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y,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Livestock farming. As the results, Livestock farming were measured from 3 o.u/㎥ to 30 o.u/㎥ in the source boundary site, Waste disposal facilities were measured from 300 o.u/㎥ to 669 o.u/㎥ in the stack and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y was analyzed from 300 o.u/㎥ to 1442 o.u/㎥ in the stack. Sampling of the source boundary site was demand the reform because malodor state at the field not expressed properly. In oder to solve such problem, propose total odor emission rate (T.O.E.R) introduction.
        4,000원
        9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ate and its proper countermeasures of unreported industrial accidents in Gyungbuk area was investigated throughout a survey research.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number and causes of unreported accidents.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d that significant number of unreported accidents exists especially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Types of the accidents, amount of increase in the insurance cost and level of the governmental enforcement due to the accidents were the major factors for deciding whether to report or not. These results suggested more compromising actions have to be taken by the government for revealing the present but unreported industrial accidents. A more efficient way for preventing the industrial accidents can be considered on the basis of true understanding about real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4,300원
        92.
        2006.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IAQ)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Gyeongbuk area from July to November 2006 . The measurements of indoor air pollutants were made to cover such components as PM-10, CO2, CO, NO2, O3, HCHO, TVOC, TBC, and Radon from school classro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l of them were less than IAQ standards of Korea. The mean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43.0 ㎍/㎥ (PM-10), 745 ppm (CO2), 56.1 ㎍/㎥ (HCHO), 350 CFU/㎥ (TBC), 0.026 ppm (O3), 0.6 ppm (CO), and 59.2 ㎍/㎥ (TVOC). Radon was not detected in all surveyed classrooms. The I/O ratio of PM-10 was 0.8∼1.4, while that for HCHO was 5.7∼9.0.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indoor pollution of formaldehyde was very serious in classroom.
        4,000원
        9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을 조사한 후 무분별한 개발과 채취로 인해 점점 멸종되어가고 있는 희귀식물과 한국특산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과 식생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101과 340속 547종 80변종 12품종 1아종 1교잡종으로 총 641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희귀식물에는 식재수종을 제외한 창포(보존우선순위
        4,000원
        94.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which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for safety personnel serve in the enterprises located at two cities in Gyungbuk area, Gumi and Pohang where the major industrial complex resid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category and scale of the enterprises affect the sort of hazard factors, occurrence rate, and countermeasures against WMSD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counteracts for WMSDs among the enterprises subject to their categories and scal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considered a more efficient way of spreading proper ergonomic knowledge and skills to the industries that were coincided with the circumstances of individual enterprise.
        4,600원
        95.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지역인 포항분지 북부의 청하와 송라 일대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에서 2속 5종의 아케오모나드, 이들 외에 3가지 유형의 스토마토시스트로 생각되는 포낭류 화석, 3속 5종의 내골격 와편모조류 및 11속 18종의 에브리디안 화석들이 산출되었다. 규질 미화석들의 군집조성에서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의 지질시대는 마이오세 중기에 해당하며 아케오모나드의 산출에 따르면 미국 메릴랜드의 Calvert층과 일본 중부의 Hojuji층에 대비된다. 내골격 와편모조류와 에브리디안을 이용한 분대에 따르면 연구지역의 연일층군은 남서태평양 해역의 Actiniscus elogatus대에서 Hermesinella conata대의 중부에, 노르웨이해 연안 Vøring Plateau해역의 Spongebria miocenica대에서 Hermesinella schulzii대의 중부에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연일층군 퇴적환경은 아케오모나드를 비롯한 포낭류 화석, 내골격 와편모조류 및 에브리디안 군집조성에 따르면, 대체로 한랭수괴가 우세한 환경에서 온난수괴 역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두호층의 상부로 가면서 한랭화가 다소 강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미소 포낭류 화석들의 산출에서 연일층군 퇴적 시, 담수 또는 반염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6,000원
        9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부터 2000년까지 3년간 경북사과주산지 사과원과 묘목원을 대상으로 잎말이나방류 종을 조사하였으며,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간 5-6개 시군의 관행사과원과 폐원에서 잎말이 나방 발생동향과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사과원에 발생하는 잎말이나방으로는 애모무늬잎말이나방 (Adoxophyes orana), 사과무늬 잎말이나방(Archips breviplicanus), 매실애기 잎말이나방(Rhopobota unipunctana), 사과잎말이나방(Choristoneura longicellana), 복숭아잎말이나방(Acleris fimbriana), 감나무잎말이나방(Ptycholoma lecheana circumclusna), 한국잎말이나방(Archips subrufanus) 등 총 7종이 조사되었다. 이중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매년 단연 우점종이었으며, 사과무늬잎말이나방과 매실애기잎말이나방은 특정 해에만 1-2 농가에서 다발생하였다. 1980년대 우점종은 사과무늬잎이나방과 매실애기잎말이나방이였으나, 1990년대말 우점종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10년간 관행사과원의 잎말이나방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피해과율은 였다. 과실 피해는 3세대 유충에 의해 8-10월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4,000원
        9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두었다. 일반 사육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발육온도(20, 25, 3)와 최종령 초기 유충 체중 변이(412.6-1,616.0 mg)는 누에의 용화 결정에 영향을 주지 많았다 한편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ne:計I)동력제인 피리프록시팬(pyriproxyfen)은 10-s M의 낮은 농도에서도 난포세포 개방화를 유도하여, 이 약제가 누에에서도 동력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리프록시펜은 약제 농도 및 처리 시기별로 특이하게 누에 미화용 유발 효과를 보였다. 피리프록시펜은 JH 에스테라제(JH esterase: JHE)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JH 결합단백질(JH binding protein:JHBP)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리프록시펜은 체내에 JH 동력제로 작용하면서 JHE 유전자 활성을 제고시켰지만, JHE활성 증가에 따른 체내 JH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JHBP의 유전자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잠농가 주변으로 살포 가능성이 있는 농약을 대상으로 난포세포 개방화 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제초제 3종(simazine, molinate, alachlor)이 JH 동력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에 미화용 원인체 규명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직접 노출 시험이 요구된다.
        4,200원
        98.
        200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9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의 주요 식물기생성선충 종류를 밝히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경북지역의 124개 복숭아 과원 토양으로부터 선충을 분리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빈도(Frequency), 우점도(Simpson's index), 다양성지수(Shannon and Wiener index), 중요도(Prominence value)를 분석하였다. 식물기생성 선충은 총 124지점 중 9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우점도는 0.717-0.881, 다양성지수는 0.221-0.286로 복숭아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기보다는 몇몇 우점하고 있는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고 있었다 복숭아과원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은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Helicotylenchus digonichus 순이었고, 그 외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등이 검출은 되었으나 중요종은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국내 복숭아과원 토양에는 Paratylenchus elachistus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반면 외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혹선충류는 발견되지 많았다.
        3,000원
        10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 간 경북 사과주산지 4-6개 시군의 일반대목 사과원과 1999-2001년까지 3년 5-6개 시군의 M.9왜성대목 사과원에서 은무늬굴나방의 발생동향과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1992년과 1993년의 발생과원율은 각각 10%와 25%, 피해엽율은 0.15%와 0.06%로 매우 경미하였다. 그러나, 1994년부터 2001년까지는 피해엽율이 급증하여 조사된 모든 일반대목 사과원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1996-1998년의 피해엽율이 6.28%-7.78%로 가장 높았다. M.9왜성대목 사과원에서는 3년 모두 발생과원율이 100%였으며, 누적피해엽율은 99년은 15.3%로 같은 해의 일반대목 사과원의 3.68%에 비해 높았으며, 2000년과 2001년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M.9왜성대목 사과원의 발생밀도가 높았다. 일반대목 사과원의 월별 발생과원율과 피해엽율을 조사한 결과, 9월의 발생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M.9왜성대목 사과원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국내에서 육성된 홍로. 감홍, 추광, 화홍 등 4개 품종과 후지의 은무늬굴나방에 의한 피해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M.9왜성대목 사과원의 증가가 최근의 은무늬굴나방의 다발생과 관련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