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ppers belong to the Solanaceae family and are highly valued worldwide for their flavor, nutritional content, and economic benefits. They contain various antioxidant compounds and vitamins associated with numerous health advantages, such as boosting metabolism and reducing inflammation. In addition, peppers are an important agricultural crop,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income along their value chain and serving as an indispensable ingredient in many dishes. However, domestic pepper production has steadily declined, mainly due to increased production costs. Peppers require a significant amount of labor during the harvest season, leading to high labor expenses. As a result, mechanized harvesting is emerging as a potential solution to address this issue. Research on mechanical harvesting of peppers has focused on developing harvesting machines, breeding suitable varieties, and exploring innovative cultiv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mechanization. Although similar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significant results have yet to be achieved. This review summarizes cases of mechanical pepper harvesting and outlines the traits and cultivation methods required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For successful mechanical harvesting, the ideal cultivar should be suitable for once-over harvesting,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simultaneous and uniform ripening, low plant height, narrow branching angles, resistance to lodging, and ease of pedicel detachment from the stem. Moreover, fundamental research is essential for developing cultivation methods that do not rely on stacking and for determining optimal planting distances.
With intensifying anthropogenic stress, incidences of extreme bioturbation have increased throughout coastal vegetation ecosystems worldwide. However, ecosystem consequences of extreme bioturbation within coastal vegetations remain poorly understood. Burrowing shrimps (infraorders Gebiidea and Axiidea) are pervasive bioturbators in seagrass ecosystems, spanning temperate to tropical regions. To date, empirical investigations about their effects on seagrass ecosystem properties are few and sparse. We conducted a series of field surveys and experiments in Geoje, South Korea to assess 1) whether burrowing shrimp Upogebia major could serve as an important bioturbating agents in intertidal seagrass Zostera japonica, 2) the relationship between bioturbation intensity and seagrass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3) effects of extreme shrimp bioturbation on the persistence of transplanted seagrass. Z. japonica served as an important habitat for U. major, with an average of 102 burrows m-2 found inside the vegetation compared to 266 burrows m-2 in adjacent mudflats. Increasing burrow density was associated with declining seagrass % cover, belowground biomass, and shoot density, particularly during the fall season when shrimp bioturbation activity peaked. No vegetation occurred in areas with >280 burrows m-2, suggesting a potential density threshold for seagrassshrimp co-existence. When Z. japonica was transplanted into low (~16 m-2), high (~277 m-2), and extreme high (~634 m-2) burrow-density areas, the latter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faster vegetation losses.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1) U. major might serve as an important bioturbating agent in intertidal seagrass habitats across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2) this species might pose a threat to seagrass resilience at high population densities.
본 연구는 K-POP 음률을 기반한 개사 언어치료 활동이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 대상으로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 였다. 이와 관련하여 K-POP 노래를 선정하고 중재 활동 목표를 설정하여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주 2회 50분씩 사전 및 사후 검사 를 포함하여 총 20회기의 K-POP 음률 개사 언어치료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재 프로그램 이후 아동의 어휘 능력, 구문 이해 능력, 상위 언어 능력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 구문 이해, 상위 언어를 평가한 표준화검사의 원점수가 향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내용이 추후 K-POP을 활용한 언어치료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 내 리더 코칭에 관한 연구를 탐색해 보고 향후 군 조직에서 리더 코칭에 관한 연구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1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 현황은 2007년에 시작하여 2015년부터 본격적 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학술지 12편, 학위논문 5편이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 방법 면에서는 질적연구가 6편, 양적연구가 5편,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6편이었 다. 연구 대상은 간부가 6편, 간부와 병사가 3편, 병사가 1편, 생도 및 군사학 관 련 학생이 4편, 문헌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 주제별로는 정책 및 제도 개선 제 안이 5편, 코칭 행동과 타 변인의 관계가 5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이 7편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과 코칭의 이론적 토대 강화와 후속 연 구를 통한 연구 목적 달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의 적용과 연구의 확대, 코칭 문 화 확산과 코칭 대상 및 연구 참여자 확대, 민간 코칭과 군 조직의 협력적 연구 확대 등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군 조직 내에서 리더 코칭 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고 조직 구성원의 성장과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한류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발표된 KCI 등재 학술논문 중 ‘한 류’를 검색어로 1,793편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은 논문명, 주제어, 초록 등이며, 분석도구로는 소프트웨어 R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한류 소비국가에서의 콘텐츠 소비와 한국어 학습과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한류 콘텐츠의 디자인과 제작 방식이 주목받으며, 이에 대한 저작권 이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글로벌 시장 에서의 디자인 및 제작 전략을 정교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콘 텐츠의 창의성이 한류의 핵심 경쟁력임을 고려하고, 시청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확산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한류가 국가 브랜드 형성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관광 및 화장품과 같은 소비재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류 연구가 콘텐츠 및 시장 중심의 담론에서 정 책적, 제도적 관점의 담론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한류의 지속가능성 을 위해서는 경제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을 분리하기보다 서로 상호보완적이 며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관점에서의 한 류 연구에서 연구 간 데이터 및 지표 활용과 같이 정보흐름이 더욱 강화되 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류 연구의 동향과 주요 연구주제를 분석함으로써 한 류연구의 현재와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 가운데, 첨단 디지털 기술의 공급망과 데이터 수 집, 유출, 조작, 유포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공급망안보와 데이터안보 가 교차하는 양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데이터안보나 공급망안보 각 각에 대한 기존 연구는 있었으나, 이 둘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데이터안보 사안들은 정부뿐 아니라 개인이 나 민간 행위자들이 취급하는 데이터들이 국가안보적 사안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신흥위협이 공급망위협과 상호작용하며, 국가안보 적 우려로 비화한 사례로 화웨이의 5G, ZPMC 항만 대형 크레인, 미래 자동차의 핵심 기술 라이다, 중국산 DJI 드론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 한 사례들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 어떤 대응이 이루어졌는지 탐구하였다. 특히, 관련 이슈들을 안보화하고 대응책을 앞서 제시하고 있는 미국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존의 안보화 이론을 보완하여 정치경제적 측면 을 추가하였다. 행정명령, 전략서 발간, 연방 예산안 그리고 새로운 전문 기구들의 창설을 통해 신흥 위협에 대처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공급 망 재편, 표준, 규범, 규제의 설립을 통해 변화하는 국가의 안보 제공자 로서의 역할을 조명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IoT-bas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data in a cooking room at a high school in Seou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ype and concentration change of cooking fumes generated during roasting, frying, and stir-fry, each cooking method showed a different pattern. Some cooking fumes were observed high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not during cooking, and it is necessary to observe and control indoor air quality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cooking, storage, and distribution as well as various elements of cooking fumes. Through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addition of an IoT-based real-tim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ventilation facilities linked to it.
The importance of indoor air quality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nalyzed the energy consumption of a ventilation system based on various operating methods considering indoor and outdoor conditions. From March to May 2024,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ventilation systems installed in a hospital in Incheon, compar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the bypass mode in the experimental group reduced total energy consumption by 25.34%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utilizing the air-cleaner mode further reduced energy us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optimal use of bypass and air-cleaner modes can enhance energy efficienc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long-term applicability under diverse conditions.
Infrared radiation accounts for approximately 50% of the solar spectrum. Specifically, the near-infrared (NIR) spectrum, ranging from 760 nm to 2500 nm,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solar heat gain, increasing indoor temperatures and reducing heating and cooling efficiency. To address this issue, we developed a highly transparent thermo-shielding flexible film that maintains a high transmittance of the visible region (T = 80%) while reducing the transmittance of the NIR region (T ≈ 0%). NIR-absorbing indium tin oxide (ITO) nanocrystals were coated onto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s, and both films were sandwiched to improve the NIR absorption properties and protect the nanocrystal film layer. The fabricated films were applied to a model house and decreased the indoor temperature by approximately 8°C. Our study demonstrates that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ITO nanocrystal-coated flexible films, with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smart window and mobility markets.
With techn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high-rise atypical buildings have emerged.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due to their high-rise atypical shape, systems such as vibration control system and seismic isolation can be applied. In this study, dynamic behavior character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ismic isolation system installation of the atypical facade shape Tapered and reverse shell structure models. With the installation of Lead Rubber Bearing(LRB), the maximum story drift ratio showed a decrease, but the maximum absolute acceleration showed a phenomenon in which the response was amplified in the middle and low story. LRB1(base isolation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for simultaneous control of the two dynamic responses, but the 46th floor of ‘Nor’ and’ RS’ and the 41st floor of ‘TA’ are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ismic isol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burden of the seismic isolation system and the structure stability.
OECD/INFE의 2020 성인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홍콩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금융이해력을 보였으며, 2023년 보고서에서도 홍콩은 가장 높은 수준의 금융지식을 보유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이해력과 금융교육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현 재 시점에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금융이해력을 보유한 홍콩의 학교 금융교육을 살 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홍콩의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금융교육의 내용 요소를 살펴보고, 홍콩 금융교육 표준안의 내용 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이 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금융교육 발전 방향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ntroduces a novel probabilistic approach to consider the effects of uncertainty parameters during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providing a fresh perspective on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he study, which categorized various random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variables into three groups, selected a two-story reinforced concrete frame as a prototype and evaluated it using a nonlinear analytical model. The effects of the uncertainty propagations to seismic responses of the prototype RC frame were probabilistically evaluated using non-linear dynamic analyses based on the Monte-Carlo simulation sampling with the Latin hypercube method. The derivation of seismic fragility curves of the RC frame from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s as the results of uncertainty-propagation and the verification of whether the RC frame can meet the seismic performance objective from a probabilistic point of view represent a novel and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structural engineering.
이 논문은 드럼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 변화에 따라 소리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드럼 연주자나 교육자 또는 드럼을 포함한 음악의 편곡자 및 프로 듀서 등에게 드럼연주에서 스틱의 환경요인에 따라 소리의 크기, 벨로시티, 톤 등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의 변화에 따라 드럼의 소리 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드럼 스틱의 두 가지 환경요인 중 스피드의 변화는 드럼 헤드로부터 드럼 스틱의 거리를 동일하게 두고 비피엠(BPM)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스피드 값을 대입하였고 질량의 변화는 드럼 스틱의 그립 위치 변화를 통해 스네어 드럼 헤드에 전달되는 다양 한 질량 값을 적용시켰다. 연구 결과 드럼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 변화에 따른 주파수 응답은 대체 로 211Hz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음 주파수는 약간의 차이를 보여 다소 소리의 톤 변화는 미미한 수준에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데시벨은 스피드와 질량이 증가할수 록 비례하여 증가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