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

        8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could be said that the Kyongbok Palace, the main palace of the Chosun Dynasty which built in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had two main architectural characters. One ; the entire building complex was arranged under the influence of ancient Chinese building principle based on the Confucian ideas. Two ; building compositions and shape of each buildings were succeeded from the palace of the former Koryo Dynasty, especially on the latter periods of it. The architecture of the Kyongbok Palace had formed its own uniqueness by developing these two characters.
        5,400원
        83.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Chosun Dynasty, the wooden building materials for constructing the official buildings within a capital city were supplied by way of water transport, and they were stored at Hangang riverbanks. After being firstly treated with primary processed-goods there by several craftmen groups, they were carried in the relevant site of construction by ca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ocess of those supply, the roles of merchants and craftmen in the process.
        5,800원
        8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ain purposes of architectural history is the analysis of existing designs in order to find laws and orders of certain types, while space planning emphasizes the generation of design. In this study, relational space planning methodology is used to generate Chosun upper-class housing prototypes based on 'Yaejae' logic model. During the Chosun Dynasty era in Korea, Confucianism was the ruling ideology for its society. The patio type house was the main upper-class housing type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it can be viewed that space planning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law of 'Yaejae' in Confucianism. The logic of 'Yaejae' can be interpreted as relationships between spaces. Relational space planning methodology that reasons through constraint propagation is used to generate prototypes. Prototypes are compared in order to verify actual applications of the logic into space planning.
        4,800원
        87.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vents of eclipses as well as other major astronomical events observable in the eastern sector of Asian continent are computed and checked with astronomical records of antiquity. Particular attention was given to two types of the events recorded in remaining records of Dangun Chosun Period (DCP): (1) concentration of major planets near the constellation of Nu-Sung ( β A r i e s ) and (2) a large ebb-tide. We find them most likely to have occurred in real time. i.e., when the positions of the sun, moon, and planets happen to be aligned in the most appropriate position. For solar eclipses data, however, we find among 10 solar eclipse events recorded, only 6 of them are correct up to months, implying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is no less insignificant. We therefore conclude that the remaining history books of DCP indeed contains important astronomical records, thereby the real antiquity of the records of DCP cannot be disproved.
        4,000원
        88.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dividual's eating behavior reflects not only the eating habits of past but also the type of them which characterize the next generation's. A great difference had been observed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food lifestyle. By the frequent contacts with each other, however, current oriental food lifestyle is apt to be much westernized. But the food culture of Chosun tribe in Yenbeun, in spite of natural, local, cultural and social demographical factor of change, has been almost preserved in basic convention for 140 years. It can be observed in choice, acceptance and fixation of food that the management of traditional food and eating behavior has been subtained preserving their unique tradition in Chosun tribe.
        4,000원
        89.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royal proprieties of tea ritual mainly for the purpose of serving envoy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offering of a new product to the Deity. There were Buddhist proprieties of tea ritual representing religious ideals of each sect of Buddhism. And Confucian tea ritual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book entitled Kare (a family code of decorum) written by Chuja. Besides these there, were Taoist proprieties of the ritual.
        4,000원
        90.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육대(六大) 차류(茶類)의 전래여부(傳來與否)와 국내생산(國內生産) 여부(與否)를 고찰(考察)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사실(史實)이 확인(確認)되었다. 1. 중국(中國)으로부터는 화차(花茶)인 향편차(香片茶), 청차(靑茶), 흑차(黑茶)가 전래(傳來)되었고, 일본(日本)으로부터는 홍차(紅茶)가 전래(傳來)되었다. 2. 이 중(中)에서 화차(花茶), 황차(黃茶), 흑차(黑茶)는 국내(國內)에서도 생산(生産)되었다.
        4,000원
        91.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d what kind of foods were served how often in the table of the Royal family birthday parties by analyzing 18 sets of the Royal family birthday party menu with respect to the rank of Royal family for each season respectively among all the kinds of food menu of Chosun Dynasty. From this sudy a good representation of primary Royal King's birthday menu could be drown. The menu of the King was most in variety. And the King was served in the range of 46 to 74 kinds of food and its number of dishes varied 28 to 40, and the other royal family were served in the range of 19 to 44 kinds of foods and its number of dishes varied 15 to 26. The menu included variable dishes such as Yoomilkwa (fried cookies 油蜜果) 7, Gangjung 17 (fried rice cookies 姜?) 17, Dasik (mold cookies 茶食) 8, Suksilkwa (cooked fruits 熟實果) 1, Jungkwa (compoted fruit 正果) 1, Byung (rice cakes 餠) 25, Umchung (punch 飮淸) 4, Sengka (fresh fruits 生果) 21, Jusik (main meal 主食) 4, Chanpum (side dishes 饌品) 27, Jomipum (sauce, honey, mustard 調味品 ) 3.
        5,100원
        92.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the 160 documentes on Food menu in the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137 are cher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y (old Chang Su Gack) and 23 by privates. We can find the other 2 documentes in biliography but they do not exist now.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Korean in the period between 1863 and 1937. Through them, we can learn how to set a meal table for people who served on wedding feast, the birth of Royal family and the national events, and several small feasts and ancestrial rites of Royal palace. And the food menu in them are based on Korean food.
        5,700원
        93.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reatise deals with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n the later half of Chosun Period and especially in relation with socio-economic changes. There with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chronic state of famine and exploitation of famine relief food is studied mainly with a literary approach.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lead to the chronic state of famine were not only climatic restrictions such as flood and drought but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foreign invasion (Japanease invasion and Ching's invasion), frequent breaking out of revol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agriculture (rice transplantation). And disorder of land system and cultivation of cash crops by the richer peasantry, lowering the economic status of the poorer peasantry who were a major constituents of the population, aggravated the famine state. Because the poorer peasantry were under the shortage of food, they had to seek something edible in the fields and mountains. In this process various kinds of famine relief foods were exploited by the poorer peasantry. The majority of famine relief foods were wild vegetables. Consequently the Chronic state of famine was a cause to introduce various edible wild vegetables into Korean food, which influenced modern vegetarian food habits and firmed the Korean's favorite taste to be hot and salty. These wild vegetables couldn't have a marvelous effect on the relief of starved people. Potatoes and sweet potatoes, which were newly introduced foreign crops, were encouraged to be cultivated for famine relief. But these tubers, unable to be staple food, didn't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population.
        4,300원
        94.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studied in order to examine eight provinces as Agricultural zone in the early Chosun-Dynas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depends on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earch data is obtained from geography of Sejong sillok. In this approach, we believe the possibility of more scientific analysis of agricultural zone. So all cross-sectional data of this period were analysed by mean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In the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eight provinces, 54.6% of the country were discriminated. In the territorial map, Kyongsang and Cholla were crossly adjoined and Chungcheong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m. While, Kyonggky and Hwanghae were adjoined in the center, and Pyongan and Hamgil were crossly adjoined, too. And Kangwon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m. Consequently their regional distribution varied widely and the agriculture of this period had considerable regional gaps.
        4,000원
        95.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od used in the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朝鮮王朝) are viewed from various aspects of the dishes for ordinary meal, royal banquet, reception for the foreign representatives, wedding feast, and ancestral rites. Unfortunately most of knowledge on the food used in the royal palace is not accurate as it had been delivered orally and includes only that of the late Chosun dynasty era. Accordingly more accurate knowledge on its historical change could be illustrated by the ancient literature, including uigue(full account, 儀軌), dungrok(memorandum, 膳錄) or balgi(list, 件記).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preparation of King´s dinner table in kitchen, the uigue on ordinary meal, while King Jungcho(正祖) and his troupe visited the Hwasung(華城) has been handed down as the literature on the ordinary meal of the royal palace. Twenty seven kinds of uigue and dungrok on royal banquet for a celebration, from the 45th year of Sook Jong(肅宗, 1715) to the 6th year of Kwang Moo(光武, 1902), remain & reveal the change of features on dishes and food materials for royal banquet. Twenty kinds of uigue and dungrok on foods for reception of Chinese representatives, from the first year of Kwang Hae Koon(光海君, 1609) to the 21st year of Injo(仁祖, 1643), remain and antedate those on foods for royal banquet approximately 100 years. These have been precious materials for historical view on foods used in the royal palace. Twenty kinds of dungrok and uigue of karaedogam(嘉禮都監), in which dishes, food materials, and table setting diagram for dongrae feast (同牢宴) were put on record, remain as the litherature of wedding feast. Wangchosilrok(dynastic record, 王朝實錄) and numerous kinds of uigue have been helpful for study on foods used in ancestral rites. Detailed kinds and cooking procedures of foods for ancestral rites were clearly explained in Taesangji(太常志). A full view on foods used in the royal palace will be reproduced only through analytic study of these ancient litheratures.
        6,000원
        9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초 향교교관 정책의 난맥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선 건국초에 주자학으로 무장된 신흥 사대부들은 이상적 유교사회를 건설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의 삼대(三代)처럼 학교를 완비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향교를 급속하게 확대 설립해 나갔다. 그러나 향교교관으로 임명할 인적 자원의 확보나 교관에게 지급할 재정의 확보 등의 대책은 너무나 부실했으며, 여기에다 교관을 경시하는 풍조와 외관직을 기피하는 경향 등 향교교관 정책을 펼치는 데 당시의 조건들은 녹록지가 않았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당시 향교교 관직은 교직, 외관직, 무급직이라는 약점 외에도 천전(遷轉)이나 승직(陞職)이 힘들었던 그야말로 최악의 조건을 지닌 자리였던 것이다. 이렇게 기피직이었던 향교교관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흠결이 있는 문신(文臣)을 교수로 파견하거나, 피역(避役)이 목적이었던 유학(幼學)들로 하여금 훈도(訓導)·교도(敎導)·학장을 삼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다 보니 이들은 대체로 교육에 대한 의욕이나 능력이 부족하여 실질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교관들에 대해 신뢰를 하지 못하는 풍조가 만연되어 향교를 기피하려 하였다. 이처럼 조선초에 향교의 증설은 시대적 당 위로서 어쩔 수 없었으나, 이것은 교관 확보가 가능한지에 대한 고민이 결여된 채 이루어진 무모한 정책이었다. 결국 이로 인하여 조선초부터 향교교육이 지속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조선 중기에 이르러 거의 폐절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9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639년 慶尙道 三嘉縣 玉溪洞의 在地士族들이 玉溪亭契를 결성하였다. 옥계정계는 玉溪亭이라는 누정을 매개로 문인적 기질을 공유하고, 喪葬禮 때의 상호 부조를 통해 구성원 간의 결속력을 도모하는 일종의 洞契·洞約이 었다. 조선후기 동안 玉溪洞에는 慶州崔氏·咸從魚氏·淸州慶氏·恩津宋氏·義 城金氏 등의 여러 재지사족 가문이 세거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옥계동계 운 영을 주도함으로써, 향촌사회에서 재지사족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함과 동시 에 하층민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18세기 전반기까지 옥계 정계는 계원의 상장례 때, 동리의 하층민을 일꾼으로 징발하여 노동력을 부 조하였고, 하층민의 결사체인 香徒 조직을 긴박하였던 것이다. 옥계정계 구 성원들은 상호 부조를 위해 곡물을 납부하였는데, 이것은 식리 활동을 통해 증식되어 계의 중요한 재정적 기반으로 활용되었다. 이와 같이 옥계정계가 동리에서 강력한 권위를 가지고 있을 때에는 재지사족들이 계를 통해 동리 하층민의 인적·물적 자원을 징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옥계정계 주도권을 둘러 싼 옥계동 재지사족 간의 갈등이 노정되면서, 옥계정계의 권위는 약화되어 갔다. 특히 재지사족 간의 갈등은 매우 복잡다기하게 전개되어, 18세기 동안 동일시기 에 복수의 座目이 작성되거나, 특정 가문의 계원이 전부 洞案에서 刀割되기 도 했으며, 옥계정계에서 이탈하는 가문도 생겼다. 이러한 갈등 속에 옥계정 계는 더 이상 동리의 통제 수단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18세기 후반부터 옥계정계의 구성원들은 새로운 운영 방안을 모색해 나갔다. 향촌사회 통제와 관련된 사안을 배제한 새로운 절목을 제정하여, 동계 운영의 초점을 구성원 간 상호 부조에 국한시켰던 것이다. 이러한 성격 변화는 향촌 내에서 옥계정 계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조치였지만, 반대로 재지사족 간의 갈등 요인을 해 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이때부터 옥계정계는 성리학적 자치 규범인 鄕約을 표방하기 시작하였다. 조선후기 성리학적 생활규범이 일상생활을 지 배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향약을 차용해 명분상으로나마 옥계정계 운영 에 대한 성리학적 권위를 부여했던 것이다.
        9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와 일본의 지성계에서 나타나는 中華思想은 ‘夏夷의 세계관 앞 에 받은 상처의 치유와 극복이라는 지성사적 노력’의 한 모습이라고 나는 본다. 우리와 일본은 각자가 모두 자신의 나라가 중국보다 한층 높은 수준의 학문을 축적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 믿음이 곧 스스로를 세계의 중심으로 인식하고, 자기 나라를 문명의 주인이라고 자임하게 만든 힘이다. 중화주의의 극복과 해체는 이렇게 중화주의의 내부로부 터 이루어졌다. 본고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조선과 일본이 내세웠던 자부심의 실체로써 두 나라의 경학 성과의 실상을 비교해 보았다. 그 방법으로 먼저 朝日 經學界의 土壤과 雰圍氣를 살펴보고, 이어 대학의 ‘讀音’, ‘著者’, ‘明德과 新民’ 세 爭點에 대한 註釋 양상을 비교하였다. 조선은 朱子學이 經學界의 主流를 이루는 가운데 書院을 중심으로 師說을 繼承·深化하였고, 일본은 자유로운 藩校와 私塾의 분위기 속에 自家의 見解를 제출한 경우가 많았다. 朝鮮 經學家들은 朱子學 內的 論理의 精緻한 分析을 통해 獨自的인 철학 논쟁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논제를 만들어가며 獨自的인 학문 체계 를 구축하였다. 일본의 경학가들은 학자마다 이전의 성과를 모두 부정 하고 처음부터 각자의 학문의 체계를 새로이 쌓는 듯한 보습을 보였다. 知性의 浪費라는 측면이 문제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다양성과 비판의 자유 위에서 거둔 무수한 獨創的인 견해들이야 말로 일본 학계 를 풍성하게 한 힘이었다. 요컨대 朝日 양국의 특색 있는 경학적 성과는 ‘中華主意 克復과 解體’ 의 바탕이 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 그 성과를 밑거름으로 한 양국의 ‘中華主意 克復과 解體’ 과정의 구체적인 진행 양상은 이후의 연구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9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서유럽의 근대 국가와 민족들의 형성 과정에서 종교개혁이 미친 영향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말에 한국인들, 특히 기독교인들 속에서 민족 개념과 민족됨의 의식 형성에 끼친 기독교의 초기 성경 번역 과 그 역할에 주목하였다. 근대 초 서유럽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의 한 가지 의미는 성경의 재발견이었고, 이것은 각 국가들이 근대 민족국가로 이행하 기 위한 전단계로서 하나의 민족됨의 형성에 기여했다. 즉 영혼 구원을 의 도했던 종교개혁이 프로테스탄트 민족들과 국가들이 만들어지는데 일조했다. 이때 종교개혁을 겪었던 각 국가들은 성경으로부터 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정치적 신념을 끌어냈다. 특히 성경에서 나오는 해방, 언약, 율법, 선민, 출애굽, 약속의 땅에 대한 꿈과 같은 서사들을 성경에서 끌어와 그들의 정치적 행동을 정당화시켰다. 근대 초 독일지역, 네덜란드, 체코, 덴마크, 스위스, 스코틀랜드, 잉글랜드와 같은 나라들이 외부적으로는 외세의 침략 과 간섭에서, 내부적으로 신분제적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투쟁을 전개했고 이를 성취했다. 이를 언약적 민족주의라 할 수 있다. 기독교는 한말 한국인들에게 근대적인 서구식 사고방식을 깨우쳐주었고, 나아가 기독교민족주의를 고취시켰는데, 그 과정에서 중심 매개체는 특히 성경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성경은 단순히 개인의 영혼구원이라는 종교적 정 체성에 머무르지 않고, 하나의 공동체로서 민족됨의 통일적인 서사와 담론을 제공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고는 서양사와 비교사적 관점에서, 성경이 한말의 한국인들에게 민족됨의 의식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이 후에 실용적인 성경 민족주의로 어떻게 표출되며, 그 결과인 성경 민족주의 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도했다. 초기 번역 성경의 보급은 외형상으로 사회적 이고 제도적인 하나의 민족됨의 모델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근대적인 시민 적 민족주의를 연상시키는 평등주의적인 측면들도 가지고 있다. 즉 모든 민족은 ‘정치적 주권’을 획득할 권리를 갖는다는 사상으로 정의되는 정치적 교의를 전개한다. 한말의 기독교는 사회개혁과 반외세의 저항의 서사를 성 경의 민족됨의 서사에서 상당부분 끌어와 그것을 민족주의 운동과 연결시 킨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한말 개신교의 성경 번역이 결과적으로 빚어 낸 것은 내부적으로는 사회개혁과 외부적으로는 반외세적 저항사상의 행동 프로그램인 성경 민족주의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조선후기 산수 유람의 실태와 그 문화적 양태 가운데 지리산 유람이 보이는 특성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유람환경에서 변화가 보이던 18세기 후반 지리산 유람의 양상에 주목하였다. 18세기는 조선후기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유람의 성격과 환경에 있어서도 그 전과 다른 현상들이 발견되는 시기이다. 유람문화가 크게 유행하면서 유람가라고 지칭될 수 있는 인물들이 등장하였으며 관련 문예도 풍부하게 창작되었다. 또한 유람주체들의 계층과 성격도 다양화되고 원거리, 장기간 여행이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화폐를 소지하고 주점을 이용하는 여행환경의 변화도 일어났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영남지역의 사족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전통을 보유한 지역내 명승 유람에 더욱 몰두하는 현상을 보였고 지리산은 그 대표적 유람지였다. 이는 영남지역의 사족이 처했던 정치적 상황과 지역의 전통적 문화특성이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선후기 지리산 유람기의 작성자는 대부분 근방의 처사들이었다. 이들 유람에서 보이는 특성 중 하나는 집단적이며 장기적 여행이 이루어진 점이다. 지리산 유람이 이 지방사족들의 집단적 遊樂로서 기능하면서 그들의 사회적 연망을 재확인하고 확대하며 결속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이 유람을 하면서 酒店을 이용하는 장면이 전보다 자주 등장하는 점도 흥미롭다. 18세기 후반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보여주는 일면이다. 이 밖에 지리산 유람자들은 지리산이 남방의 祖宗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천왕봉에 오른 소회를 토로했다. 지리산의 위상에 자부심을 갖고 지방 사족으로서의 자의식을 투영하였음을 엿볼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이제까지 지리산 유람기의 분석에서 간과되었던 시대적 맥락과 지역적 특수성을 살피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지리산 유람문화의 역사적 전개를 탐구하는 데 일조하길 기대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