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

        8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에서 쇠무릎의 뿌리와 포과의 생산을 위한 적정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재식밀도(50, 100주/m2, 1주 2본)와 질소시비량(0, 6, 12, 18, 24, 30 kg/10a)에 따른 생육, 건물수량, 지상부 질소 함량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한 모든 형질에 대하여 재식밀도와 질소시비량 간에는 상호작용이 없었다. 100주/m2 재식구에 비하여 50주/m2 재식구에서 주근장 및 뿌리수는 각각 5%와 52%증가되었고 경엽의 질소함량은 다소 낮았으나 다른 형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질소시비량은 주경직경, 주당 화서수, 화서당 포과수, 주근장, 주근직경, 포과 질소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질소시비량이 10a당 0 kg에서 30kg으로 증가함에 따라 SPAD 값은 35.0에서 40.5로, 경엽의 질소함량은 1.09%에서 1.38%로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질소시비량은 초장, 주당 분지수, 포과 뿌리 건물수량, 주당 근수, 경엽질소수량에 대해서는 2차함수식으로, 주당 화서수에 대해서는 3차함수적인 관계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포과 및 뿌리 건물수량이 최대가 되는 질소시비량은 21kg/10a로 추정되었다.
        84.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growth and the two components of respiration, growth and maintenance, were compared between low and high nitrogen applications in hydroponic culture on a high-yielding rice cultivar 'Takanari' (Oryza sativa L.). Grain yield decreased by high nitrogen application, and thus this cultivar has low adaptability to nitrogen. Growth efficiency (GE) and net assimilation rate (NAR) were lower in the high-nitrogen plot. The maintenance coefficient (m) and growth coefficient (g) of dark respiration were 0.0111 d-1 and 0.196 in the low-nitrogen plot and 0.0166 d-1 and 0.237 in the high-nitrogen plot, respectively. Thus, high nitrogen application increased both g and m. Calculated Rm (maintenance respiration rate) was 70 and 90% of total respiration rate at heading, respectively. The significance of nitrogen adaptability and g was discussed.
        85.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을 위한 기상재해 경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중부지역 벼 주요 장려품종의 포장 도복저항성 정도를 질소 보비와 다비 조건에서 검토하여 도복발생 상 습지역이나 질소과비 우려지역에서 벼 재배시 내도복성 품종의 선택 기준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다비시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오봉벼, 대진벼, 내풍벼, 농안벼, 일품벼의 5품종, 중 정도인 품종은 대안벼 등 14품종, 약한 품종은 진부벼 등 11품종이었다. 2. 질소다비시 도복정도별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도복정도가 9로 심했던 품종은 간장과 중심고, 도복정도 5에서는 간장, 도복정도 3이하로 도복에 강했던 품종은 간장, 제3절간으로 나타났다. 3.쌀 수량은 질소보비에 대한 다비의 수량지수로 볼 때 조생종은 수량차가 5% 이내로 적었으나, 중생종 및 중만생종은 도복시기 및 도복저항성 정도에 따라 수량차가 크게 나타났다. 4. 이상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중부지역 적응 벼 주요 장려 품종 중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도복발생 상습지역이나 질소 과비 우려지역에 재배함으로서 도복발생을 경감하여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88.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methods of nitrogen application at the 4th leaf stage were evaluated in direct-seeding rice cultivation on dry paddy soil: one was the top dressing of nitrogen on dry paddy condition before irrigation (TNDP) for labor saving, and the other was the top dressing of nitrogen on dry paddy with mechanical rotavation of the inter-row space (TNDPI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nitrogen. To evaluate these two application methods, leaf chlorophyll contents,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s were compared with two conventional methods, basal application (BA) and top dressing on flooded paddy condition at the 4th leaf stage (TNFP). The SPAD value of rice in TNDP was similar with that in TNFP throughout the whole growth stage of rice.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ice growth and yield between the two methods. However, in TNDPIR, the SPAD value was the highest during tillering stage among the four application methods, and the tiller number, LAI at heading stage and the panicle number were higher than the two conventional methods.
        89.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비료를 3~7회 분시하여 옥로차의 수량 및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생육과 수량이 많고 타처리에 비해 총질소, 총아미노산, 비타민C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총유리당 함량은 3회분시를 제외하고 4~7회 분시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함량은 2,888~2,933mg/100g이었고, 특히 5회 분시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ld 함량이 가장 많았다. 옥로차 감칠맛 성분인 theanine을 포함해 16종이 아미노산을 분리 정량한 결과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theanine 함량이 72~513mg/100g더 많았다. 관능평가에서 3회 분시가 80.2점으로서 다른 처리보다 낮았고, 5회 처리가 84.7점으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5회 분시처리가 다른처리에 비해 수량도 양호하고 차 품질도 우수하여 옥로차의 적정 분시첫수라고 생각된다.
        9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1993-94 season to determine the pattern of nutrient uptake and productivity of maize/sweet potato intercropping system. Four levels of nitrogen (0, 50, 100 and 150kg N ha-1 ) and four levels of potassium (0, 40, 80 and 120kg K2 O ha-1 ) formed treatment variables. Plants were sampled periodically to determine dry matter and tissue concentrations of N and K in the individual plant components of intercropped maize and sweet potato.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 did not interact significantly to nutrient uptake by any plant parts of intercropped maize and sweet potato. But application of N fertilizer independently enhanced N uptake in all the plant parts of maize and sweet potato. The uptake of N in leaf, leaf sheath, stem, husk, and cob of maize increased upto 90 days after planting (DAP) but grain continued to accumulate N till its maturity. Sweet potato exhibited a wide variation in N uptake pattern. Sweet potato leaf shared the maximum uptake of N at 50 DAP which rapidly increased at 70 DAP and then declined. Declination of N uptake by petiole and stem were observed after 120 DAP whereas N uptake by tuber increased slowly upto 90 DAP and then rapidly till harvest. Rate of applied K had very little effect on the uptake patterns in different components of intercropped maize. Pattern of K uptake by leaf, petiole and stem of sweet potato showed almost similar trend to N uptake. But uptake of K by tuber increased almost linearly with the K application. Pattern of N and K uptake by grain and tuber paralleled the grain yield of maize and sweet potato respectively. Intercropped productivity of maize and sweet potato found to be better by the application of 100kg N and 120 kg K2 O ha-1
        91.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N) on development of vascular bundle(VB)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Two cultivars were used in this study; IR58, an indica type and Shinunbongbyeim a japonica type. The number and tota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VB in the peduncle and leaf blade were more and bigger in N split application than 100 percent basal fertilizer. Nitrogen split application at necknode differentiation stage increased the number and size of the VB. Nitrogen split application resulted in increased panicle number with application of N before transplanting and at tillering stage; increased spikelets number with N application at necknode differentiation stage; and increased spikelet fertility and 1000 grain weight with N application at necknode differentiation and heading stages. Grain yield increased 7-10% in N split as compared to all basal application. The total cross sectional area of VB in peduncl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itrogen management can have an impact on spikelet differentiation through more and bigger VB and increase grain yield potential
        92.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의 적정질소(適正窒素) 시비량(施肥量)과 분시방법(分施方法)을 찾고자 1996년(年)부터 1997년(年)까지 2년(年)동안 시험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부 생육은 질소량을 증시(增施) 함으로써 초장이 길어졌고, 엽수와 분얼수도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부 괴근수량은 질소를 증시함으로써 괴근수도 많았고 건근수량도 높았는데, 질소 22kg시용구(施用區)에서 괴근수(塊根數)(괴근길이 2cm 이상)가 주당(株當) 31개(個)였고, 수량은 444kg/10a으로 가장 높아 무질소(無窒素)에 비하여 37%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다. 질소 수준에 따른 괴근수량의 회귀곡선으로 추정한 질소 적정시비량은 26kg/10a로 나타났다. 질소(窒素) 분시(分施)에서는 분시(分施) 회수(回數)가 많을수록 엽수와 분얼수가 증가하였으며, 식물체의 T-N함량(含量)도 증가되었다. 건근수량(乾根收量)은 40% 기비 후에 20%씩 3회(回) 추비(追肥)한 것이 전량 기비 했을 때 299kg/10a 보다 352kg/10a으로 18%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93.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o optimum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ate fertilizer to get a higher yield and a quality of an onion(Allium Cepa L.) from 1993 to 1994. Three fertilizer levels were applied with 120, 240 and 360kg/ha of nitrogen and 100, 200 and 300kg/ha of P2O5 during the onion growing season. After harvesting the onion, it was storaged at given deposit. The growth and yield of the onion were better at the fertilizer levels of both 240 and 360kg/ha of nitrogen and of both 200 and 300kg/ha of P2O5 than at the level of 120kg/ha in nitrogen and 100kg/ha of P2O5.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and P2O5 in plant was decreased with reduced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ate fertilizer. The rotting rate was higher at the levels of both 360kg/ha in nitrogen and 300kg/ha in P2O5 than the other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sprouting rate tended to be high at 240kg/ha of nitrogen and 100kg/ha of P2O5.
        94.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rect-seeding has major advantages such as labor and cost saving by eliminating preparation of seed bed and transplanting. But, it required increased input of fertilizers and pesticides because of the extended paddy period. Direct seeding in wet paddy (DSWP) gives faster growth and more uniform seedling emergence than direct-seeding in dry paddy. This research had an objective to develop an efficient N management practices for DSWP with split application of N fertilizer. A paddy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tarter N and N-topdressing which was delayed N application until 5-leaf stage, with comparison to transplanting (TP). Total amount of N application were two levels; 110kg and 77kg/ha. The N applications were split four times during rice growth stages; starter, topdressing at 5-leaf stage, top dressing at tillering stage, and topdressing at panicle initiation stage. DSWP had more tillers/m2 than TP, but with the delayed heading. The DSWP plots which received N-topdressing at 5-leaf stage without starter N had higher leaf area index (LAI) and leaf greenness than the TP plot. Also, these DSWP plots had high leaf-N concentration at the heading stage, as calculated from leaf chlorophyll meter readings. Rice yield in DSWP with N-topdressing at 5-leaf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P and in DSWP with starter N. Energy and N use efficiency were improved in DSWP with N-topdressing at 5-leaf stag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in yield between the two levels of total amounts of N applications, 77kg and 110kg/ha. We concluded that starter N could not be used effectively by rice seedlings, but topdressing N at 5-leaf stage was an efficient N management for rice growth and yield in DSWP system.
        95.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경운답에서 벼 어린모 기계이앙재배에 알맞는 질소 시비방법을 구명하고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의 3년차 무경운 재배답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질소 시비방법을 달리하여 시험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색은 분얼성기에는 관행 시비방법에 비하여 기비 중점 시비에서 짙었고 20% 감비구에서 옅었으며, 경단이 무경운보다 길었고, 유덕형 성기 이후에는 시비 방법간에 별 차이 없이 경기보다 무경운에서 짙었다. 2. 생육 초기에는 관행 시비방법보다 기비중점 시비에서, 무경운보다 경운에서 잔수, 엽면적 및 건물중이 많았으나 출수기에는 10일 늦게 분얼비를 시비한 처리에서 많았고 기비중점 시비에서 적었다 3. 개체군 생장속도는 관행 시비방법보다 10일 늦게 분얼비를 시비한 처리에서 켰으며, 생육 초기에는 경단이 무경운보다 켰으나 생육 후기에는 경운이 무경운보다 적었다. 4. 유효경비률은 20% 감비구에서만 관행 시비방법보다 높았고, 경운보다 무경운에서 높았으며, 출수후 20일간의 엽 노화률은 실비 무시용구가 시용구보다 높았다. 5.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는 10일 늦게 분얼비를 시비한 처리가 관행시 비보다 많았고 경운 방법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6. 수량은 관행 시비방법보다 10일 늦은 분얼비 시비가 많았고, 기비증점 시비와 20% 감비에서 적었으며, 동일 시비방법의 경운 방법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96.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自生) 상태(狀態)로 채취(採取) 이용되거나 수입(輸入)되어 사용되는 창출(蒼朮), 백출(白朮)의 기원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효과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여 생약(生藥)의 수입(輸入)대체 기술(技術)을 개발하고자 산채용 삽주싹을 무채취(無採取), 1회(回) 채취(採取), 2회(回) 채취(採取)후 질소질 비료를 전양기복(全量基服), 50-30-20%, 40-30-30% 분시(分施) 처리(處理)하여 채험(採驗)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생육(草長生育)은 어린싹을 채취(採取)함에 따라 철저히 억제되었으나 삽주 생육(生育)에는 1회 채취시(採取時)가 적절할 것으로 보였다. 2.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생육후기 질소 분시율이 많을수록 무채취 및 1회 채취에서는 증가하였으나 2회 채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어린싹 수양(收量)은 1회(回) 채취시(採取時) 평균(平均) 269~288kg/10a 수준이었으며,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싹의 수양(收量)이 적고 거칠어 이용성이 떨어졌다. 4. 근경(根莖) 수양(收量)은 무채취(無埰取)(전양기비(全量基肥)) 대비 어린싹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회(回) 채취(採取) 및 질소(窒素), 50-30-20%로 분시(分施)한 처리(處理) 수양(收量)은 100% (471kg/10a) 증수되었다. 5. 삽주는 5월말~6월초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이 완료되고 6~7월경 잠아로부터 신초가 재형성되어지므로 5월상 - 하순경에 절단자극에 의해 일찍 신초를 형성시키는 것이 근경수량(根莖收量)의 증대에 효과적인 기술로 사료되었다.
        97.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입모중 벼 파종에 있어서 보리짚 시용에 따른 경운방법과 질소시용량별 관개수중에 용출된 각 성분함량 변화를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무경운재배에서는 시비수준간 차리가 없었으나 경운재배에서는 컸으며, 10일까지는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pH가 높았으나 그 이후는 비슷하였다. 2. EC는 무경운에 비해 경운재배에서 높았으며, 경운의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EC도 높았다. 시기별로 보면 10일에 최고수준에 도달하였다가 그 후 감소경향이나, 20일에는 초기와는 달리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EC가 감소하였고, 그 감소폭은 경운재배에서 컸다. 3. 용존산소는 무경운에 비해 경운에서 높았으며, 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경운방법별로는 무경운에서는 시용후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무처리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경운재배에서는 초기에 매우 높고 10일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그 후 다시 증가하였다. 4. NH4 -N는 경운의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20일에는 시비량간 차이는 없었다. 경운방법간에는 무경운에서는 10일까지 높고 그 후 감소를 보였으나 경운에서는 초기(5일)에 매우 높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15일에 다시 감소하였으나 20일에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NO3 -N는 무경운에서는 처리일수 및 시비수준간의 차이가 매우 컸으며,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였고, 그 후 20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경운구에서는 처리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시비수준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5. PO4 3- 은 경운재배에 비해 무경운재배에서 높았으며, 두처리 모두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무경운재배에 비하여 경운재배에서는 시일의 경과에 따라서도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함량도 낮았다. 6. 양이온함량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98.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건답직파재배시 토성이 다른 양토와 사양토에서 질소분시방법 차이가 생육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고자 화성벼를 4월 27일에 평면줄뿌림하여 시험을 수행했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묘수는 토성 및 질소분시방법에 일정한 경향이 없이 159~177개/m2 의 분포를 보였다. m2 당 수수는 양토가 사양토보다 많았으며, 사양토, 양토 모두 추비중점시비 (3엽기-7엽기-수비=40-30-30% 및 기비-3엽기-7엽기-수비=10-30-30-30%)가 관행 시비방법(기비-5엽기-수기=40-30-30%)보다 많았다. 2. 생육시기별 엽색, 출수기엽면적지수 및 건물중은 토성간에는 양토가 사양토보다 높았고, 질소분시방법간에는 추비중점시비는 관행보다 높았으나 20%감비와 완효성 시료시용은 관행보다 낮았다. 3. 도복지수는 추비중점시비에서 간장이 크고 협절중이 낮아 관행보다 높은 도복지수를 보였고, 이 결과 포장도복도 추비중점시비에서 3정도 발생하였다. 4. 추비중점시비는 관행에 비하여 등숙비율이 약간 낮았고 천립중은 비슷하였으며, 현미에서 완전미율이 낮은 반면 청미와 미숙립율이 높았다. 5. 수량은 관행대비(사양토 5.08t/ha, 양토 5.22t/ha) 추비중점시비에서 사양토는 7~9%, 양토는 6~9% 증수되었다.
        99.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질 1개월전 시비 후 물관리방법에 따른 대소의 동태 및 이용효율을 비종별로 검토하고자 복비 노적인 13-10-11(F-1), 수도기 비용복합비료인 21-17-17(F-2), 벼 복합비료인 15-10-10(F-3)를 공시하여, 30일간 무항수(0dF), 10일 담수한 다음 20일 방치 (10dF), 20일 담수한 다음 10일 방치(20dF), 30일 담수(30dF)하는 처리를 하였으며 시비후 30일부터는 모든 처리에 계속 담수를 하는 방법으로 물관리를 하면서 침투수로 변탈된 질소량, 토양의 무기태질소량를 정량하였고, 대기중으로 손실된 질소량을 추정하였다. 담수기간 중 관개수의 침투율은 2.5mm/일로 하였다 벼의 대소 이용효율은 시비후 40일에 이질하고 관수상태에서 벼를 재배하여 이앙후 72일에 평가하였다 1. 침투수의 pH는 천수기간이 길수록 상승하였으며, F-2에서 가장 높았고, F-1과 F-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F-1의 토양중 전질소함량은 초기에는 완만히 감소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F와 F는 초기에 급속히 감소한 후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담수처리기간이 길수록 전질소 함양은 빨리 감소하였다. 3. 시비 63일 후에 토양에 남아 있는 무기태질소의 시용대소에 대 한 비 을은 F-1, F-2, F-3에서 각각 23, 29, 29.1%였고, 무담수처리는 45.0%, 10dF, 20dF, 30dF에서 는 각각 26.6, 24.8, 20.3%로 담수처리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4. 시비후 63일동안 침투수로 호탈된 질소의 시용질소에 대한 비을은 F-1, F-2, F-3에서 각각 51.3, 32.1, 48.1%였으며, 담수직후 급격히 유실되었고, 0dF, 10dF. 20dF, 30dF에서 각각 25.7, 29.8, 32.7, 35.8%로 담수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5. 시비한 다음 벼 이앙 72일후까지 시용질소의 손실량은 F-1>F-2>F-3의 순으로 많았는데, F-1은 침투수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았고 휘산에 의한 손실도 많았으며 F-2는 휘산에 의한 손실이 특히 많았기 때문이었다. 6. 시비한 다음 벼 이앙 72일후까지 물관리 방법에 따른 시용질소의 손실량은 20dF~geq 30dF>10dF>0dF의 순으로 많았는데, 20dF는 휘산에 의한 손실이 가장 많았고 침투수에 의한 손실도 많았으며, 30dF는 침투수에 의한 질소의 손실이 가장 많았기 때문이었다. 7 이앙 후 72일간 벼 지상부에 의한 시용질소이용율은 F-1, F-2, F-3에서 각각 23.2, 24.7,27.4%였고, 0dF, 10dF, 20dF, 30dF에서 는 각각 34.1, 25.5, 21.1, 21.2%로 담수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100.
        199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시 수량, 일반사료성분과 에너지 함량 및 수량을 질소시비량 및 예취시기에 따른 반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30kg/10a까지 많을수록 청예 및 건물수량이 증가하고 건물률은 감소하였으며 식물체의 엽신과 엽초의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2.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무기물 및 에너지 함량과 수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ADF(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의 함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사료가치가 높아졌다. 3. 질소시비량이 많아지면 예취시기가 늦더라도 전체 조단백질 함량 중에서 가급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낮아지지 않았다. 4. 호밀의 수확적기는 관행사료가치의 관점에서 는 대체로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었으나 사료의 에너지 관점에서는 이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증체에너지(NEG)와 유지에너지(NEM) 면에서 본 수확적기는 개화후기에 높고 관행사료가치보다 10일정도 빨랐으며 에너지추정값(ENE)과 필유에너지(NEL)는 유숙기 무렵으로 같았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