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8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use, users’ behaviour and satisfaction of Seonhaksan and Bibongsan mountains near city center improved through the park and green spaces projects implemented by Jinju City Hall from 2004 to 2016. The number of visitors per day was measured by observation surveys in 2004 and 2016. The users’ behaviour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in 2004 and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number of visitors per day increased about two times on weekdays and more than 2.5 times on weekends in 2016 than in 2004. Relatively the number of male visitor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female visitors. The share of elderly visitors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visitors who live out of 1 km radius has increased. The goals of visit were changed from hiking or walking to various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users visiting by car increased. The number of visits and the duration of visit has decreased. The inconveniences of trails and exercise facil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necessity of family recreational facilities fulfilled. The necessity of outdoor learning facilities and programs has not been recognized. Comprehens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creational quality of Seonhaksan and Bibongsan mountains has improved. Further implementation of target-oriented parks and green spac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8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남 진주시에서 도심에 위치한 선학산과 비봉산은 배후녹지로서 가벼운 등산을 겸한 다양한 야외건강 활동을 수용하면서 시민 모두의 휴 양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열악한 접근성, 대부분이 사유지로 개발 제한성, 낮은 투자효율성 등을 이유로 상대적으로 공원·녹지 조 성 사업에서 소외되어왔다. 비봉산 및 선학산을 시민들의 건강, 휴식, 유희 등 휴양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도시림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의 휴양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도시림 개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도시림의 개선에 따 른 이용행태 및 방문자 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경남 진주시 도심에 위치한 비봉산 및 선학산을 연구대 상지로 선정하여 2004년부터 2017년까지 도시림 개선에 따른 이용 빈도, 방문자 만족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 빈도는 2004년과 비교하여 2016년에 선학산과 비봉산 모두에서 증가를 나타냈고 종합만족도도 2004년과 비교하여 2017년에 90% 신뢰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며 증가를 나타냈다.
        8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interest in and demand for urban agriculture have recently increased, more and more people want to be engaged in urban agriculture. In this respect, horticultural exhibitions held on university campuses can be utilized as a space to share knowledge on and experience urban agricultur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horticultural exhibitions,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plan a horticultural exhib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an horticultural exhibition held on the campus of G University in J city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for three days (May 2-4, 2016). In this surve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275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the exhibition was analyzed by content sections and items of information and services. As a resul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ection of flower plants (83.7%)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docent service (78.2%)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which can affect the action of the visitors. The correlation of all of the content, information and services of the exhibition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were positive (+). In particular, among the items of information and services, the satisfaction with activity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0.659, p<.001)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0.519, p<.001). This indicates that activity experi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visitors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Therefore, if the demand for the experience and instructive benefits is met by horticultural exhibitions, they can be utilized not just as an event held on a university campus, but also as a means to promote urban agriculture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it for local residents. By doing so, it will be also possible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university students
        84.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visito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 invigorate the Garden Expo that is spreading gradually since it was first held in 2010. 209 visitors of the Gyeonggi Garden Culture Expo, which was held in Gyeonggido Anseong, 2015, were survey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visitors’ demographical/social economical backgrounds were so diverse the interest of Garden culture was highly popular.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motivations using Maslow’s needs, the safety needs were the biggest but all 5 needs were shown relatively balanced. Women than men, and older generations than the younger generations showed higher self-actualization needs for creating a garden. The influence of the motivation on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safety needs and self-esteem needs. Thus, it is able to see that in rest-oriented gardens decorated with plants, visitors feel safe and pleasant, while having pride that they are leading high level cultural life rather than mere entertainment. This result indicates the public's interests on what are not only high but also quite positive in Korean society, where Garden Expos are just starting out.
        8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research to improve the recreation and tourism of Mt. Keumwon, this study undertook a visitor survey and investigated a structure model analysis to evaluate visitors’satisfaction of sightseeing. I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60 percent of visitors was male, the 71.3% was 40s age and over, and the 80.7% was resident in Gyeongsang-do. A theoretical model with measurement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hich was developed with hypotheses and data from 15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013. The results supported that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more strongly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convenient use, convenient u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lso display qua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t use. The visitors tend to evaluate convenient use to be better as display quality increases.
        8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isitors’ program satisfaction,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Korea Agriculture Expos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93 visitors during the exposition period from October 18 until October 27. Among visitors, female visitors were 19.4% more than male, the rate of 40s and 50s was high to 53.5%, farmers was most frequent to 26.5%, and residents in Gwangju and Jeonnam were the majority with 84%. The visitors with family as companion form were most frequent to 44.2%, the rate of first visiting was highest to 37.9% in number of visiting, and exposition held information was obtained most frequently to 49.9% by word of mouth. In survey of program contents, visitors preferred the subtropical garden the most among exhibition hall, and 65.9% of visitors were satisfied about guide. The rate of satisfaction was 71.6%, and 32.7% of visitors responded that it did not participate in experience program because there was no guide. In survey of satisfac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73.9% of visitors purchased agricultural products, and 86.3% of purchaser were satisfied. The 65.1% of purchaser responded that they bought because of belief about agri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amount between 10000 and 20000 won was the highest with 33.6%. On the other hand, 41.3% of visitors did not purchase because they do not need. The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of in Korea Agriculture Exposition was high to 82.6%, and the most unsatisfactory part appeared to drinking water facilities and parking lot. In survey of development possibility of agriculture through Korea Agriculture Exposition, 86.2% of visitors were positive, and the rate of revisiting intention highly appeared to 80.4%.
        8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of visiting Jeongsun Arirang Market has been selected as sampl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For this, double hurdle model was used in order to resolve sample selection problem and obtain consistent estimator. The key points are the following. First, as the age increases(up to 59.8 years), chances of purchasing the products at traditional market increase as income increases. Second, when the residence area is outside of Gangwon-province, the purchase amount of the product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from visitors within the Gangwon province. Also, visitors who use public transportations purchase less products compared to those who use their own car. Third, prob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 as the visitors consider positive effect the product purchase leads to the local farmers. Fourth, if the visitors consider the qualit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bability of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 at the site increases. However, if the visitors consider the freshn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purchase amount rather drops. Fifth, the probability of purchase increases as visitors consider the brand of traditional market.
        8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visitors to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and analyses the features and target marketing strategies by categorical groups. Seven factors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ndicate the classification of five groups. The first group puts emphasis on the family connection, so family centered facilities and programs are necessary. The second group is composed of surrounding area residents whose purpose of visit is unclear. So environmentally friendly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to encourage local patriotism are necessary. The third group puts emphasis on the necessary facilities and programs for experiencing the fishing village and traditional play, etc. The fourth group emphasizes programs related with the region and the means to satisfy visitor's aesthetic desires. Finally, the fifth group aims at various desires that are generally felt in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So this group requires marketing strategies from the public point of view. The existing research mostly surveys rural tourism villages, but this study highlights the difference in dealing with fishing villages as opposed to rural villages,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y and settlement.
        9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national park management by analysing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determinant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estimate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post-occupancy evaluation questionnaire method to the Gyeongju National Park visitors. It was found that facilities and use management according to place and use group, the diversity of visit program, high quality of guidance and hospitality of staffs and conservation of historic and landscape resources for Gyeongju National Park were necessary as the results of behavior analysi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historic landscape resources, hospitality of staffs, visit road and safety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t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these facto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improved management.
        9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관광 및 학술적으로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을 대상으로 방문객 인식, 숲의 자원과 시설 수준에 대한 기대도, 만족도, 기대일치도를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첫째, 비자나무 숲 방문객은 남성(39.8%)보다 여성(60.2%), 30대 이상의 중장년층(85%), 대졸이상의 고학력자(58.7%), 주부(21.8%)와 회사원(28.2%), 수도권지역 거주민(47.9%), 자동차(74.8%)를 타고 오는 방문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가족과 함께 자연경관 감상(46.6%), 가족과 여가(21.4%), 휴식을 위해(19.9%), 처음 방문하는 경우(69.4%)가 많았다. 둘째, 비자나무 숲의 천연기념물 지정사실(67.0%), 관련 전설 및 유래(68.9%), 비자나무 열매 효능 등을 모르는 경우(52.0%)가 많았으나, 방문 후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자나무 숲 방문으로 정신적, 신체적 피로가 회복되었다(99%)고 응답하였다. 셋째, 전체적으로 비자나무 숲에 대해 높은 만족을 보이고 있었다. 경관적요소, 식물적요소, 편의시설, 유지관리는 기대보다 만족도가 높은 요소였으며 대체적으로 기대감이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경관적요소와 식물적요소에 대한 기대일치도(각3.8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두 요소는 기대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았다. 또 편의시설의 기대일치도(3.36)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식물적 요소에 대한 기대일치가 높을수록(상관계수 0.196) 전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잃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비자나무의 생육상태를 체크하고 원시림의 상태로 비자나무 숲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다.
        9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urvey of East Lake Park, South Lake Park and Tian Waicun in Tai'an by questionnaire survey, on-the-spot investig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paper analyzes the tendencies of visitors to the animal elements and animal landscape i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ree terms: primary attributes, the cognition of animal elements and animal elements landscape preferences. We have drawn several conclusions: the landscapes of animal elements are in urgent demand by the public ; The animal elements having lovely image, auspicious meaning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popular application types of animal elements landscapes ; The most favorite types of animals and animal elements are: doves, cranes monkeys, pandas, butterflies, dragonflies, fold fish, dolphins, dragons and cartoon animals ; The popular landscaping techniques of animal elements are the methods of combining with plants, buildings and garden ornaments.
        9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push, pull motiv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ho visited Yangdong village in order to maintain, conserve and seek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his villag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was that 'personal relations'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the pursuit of knowledge'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it motiv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Secondly,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desire to new experience' have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sh factor generally. Physical environment was a only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ll factors. Thirdly,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as a only factor t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recommend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is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pull and push factor to enhance the tourist attraction of Yangdong village. It will be helpful to make the preliminary data for planning and conservation guidance of traditional village.
        95.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체적・정신적 건강을 통해 보다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시대에 삶의 질을 높이고자 도시의 인공적인 환경을 벗어나 녹색공간을 찾아 자연을 즐기며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산림휴양에 대한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풍부한 자연자원을 지닌 자연휴양림은 급증하는 휴양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단연 매력적인 장소가 아닐 수 없다. 자연휴양림의 휴양자원은 이용객들로 하여금 일상생활의 긴장과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 산림에서 심신의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를 갖게 하고, 자연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연을 배우고 교감하며 심리적 만족과 동기부여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연휴양림의 이용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휴양림의 운영 및 유지관리와 양질의 서비스 제공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본 연구는 자연휴양림의 질적 수준 향상과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유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행태를 분석한 것으로써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이용자는 남성, 20∼40대 청장년층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고 화이트칼라 직업군, 주부, 전문직, 자영업에 속한 비율이 높았다. 대다수가 숙박을 취하며 연 1∼2회 여름이나 가을, 가족 또는 친구/연인과 함께 이용한다. 주된 활동은 휴식과 산책/등산, 자연관찰 및 감상이었고, 주된 이용 시설은 산책로와 휴양림 내 조용한 곳이었다. 휴양림에서 가장 하고 싶은 활동은 산책/등산, 자연관찰 및 감상이었으며, 요구시설은 조용히 앉아 독서/사색할 수 있는 공간, 바닥이 걷기 편한 산책길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휴양림의 기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절반이 조용한 곳,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연에 대한 교양을 넓힐 수 있는 곳으로 지목하였다. 휴양림 내 숲 관리 방향은 대부분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유지 관리되기를 원했고, 향기 나는 식물이 많은 숲, 야생화를 많이 볼 수 있는 숲,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들이 많은 숲의 모습을 선호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휴식, 휴양 및 자연체험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질적으로 높은 만족감을 선사하는 관리 및 운영 방안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자연휴양림의 이용자 특성 및 이용행태를 파악하는 것은 산림휴양 욕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휴양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치 있는 과정이라 여겨진다. 더불어 휴양림 이용자들의 행동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휴양림 특성 요인에 대한 다양하고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9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소애착이 자연지역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방문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0년 9월 중 수집된 총 126명의 무등산도립공원 방문객에 의한 설문답변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장소애착은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방문객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애착이 낮은 응답자는 높은 응답자에 비해 케이블카 개발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전반적으로 장소애착은 케이블카 설치로 인한 잠재적 영향에 대한 신념(beliefs about the potential impacts of cable car: BICC)과 통계적 관련이 없었다. 장소정체성은 BICC와 관련이 있었지만 장소의존성은 BICC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 거주지, 거주기간, 무등산도립공원 방문경험수준이 장소애착과 관련이 있었다. PA는 사람들의 친환경 행동을 이끌 수 있는 선행인자로서의 역할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자연공원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PA를 높일 수 있는 영향인자의 규명과 이러한 영향인자의 조절 및 활용을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하다.
        9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a marine leisure exhibition event(MLEE)'s appraisal attribute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p-visit intention and thus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facilitates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a MLEE. In order to accomplish such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with a total of 300 visitors to a MLEE hosted by G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lated studies and modified to reflect the study context. Then, such questionnaires were verified to be valid and reliable through content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Valid 28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ignificance level of .05.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rom current study. First of all, the appraisal attributes of a MLE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among them only the factor of event program had a unique relation with the levels of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ppraisal attributes of the MLEE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ors' rep-visit intention behavior and among them event program, transportation and employee factors had unique relations with the performance variable in order. In conclusion, all the research hypotheses that had been set up through previous studies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98.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3회 신안튤립축제의 방문객 만족도와 행사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축제기간인 2010년 4월 16일부터 25일까지 축제장을 방문한 전라남도 거주자 219명과 타지역 거주자 71명 등 총290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축제장까지의 교통 편리성에 대해 방문객들은 가장 만족했다고 평가해주었다. 풍차, 튤립공원, 튤립포장 등 축제시설에 있어서도 두 번째로 만족해했고. 안내원의 서비스도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휴게시설이나 화장실과 같은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6.68과 6.36점으로 낮았으며, 축제상품의 다양성, 가격, 품질에 대한 평가에서도 각각 6.27, 6.19, 6.35점으로 나타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음식의 다양성, 가격, 맛은 조사항목 23개 중 가장 낮은 접수를 받아 방문객틀이 가장 불만족해 하는 요인으로조사되었다.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위해서는 새로운 양질의 축제 관련 음식을 개발하고, 지역 음식을 판매하는 부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과 새로운 우수 품질의 축제 상품들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9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림의 건강 및 치유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의 증대와 더불어 앞으로 ‘치유의 숲’의 조성이 더욱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현 시점에서 현재 운영 중이거나 조성중인 ‘치유의 숲’의 기능 수행 평가와 그 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해 보는 것은 방문객들에게 보다 나은 ‘치유의 숲’의 혜택 제공과 추후 조성될 ‘치유의 숲’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숲치유장이 조성되고 있는 축령 산휴양림(전남 장성군)을 대상으로 ‘치유의 숲’의 기능 수행 평가를 위한 측정 척도인 건강유익성인지도 (Perceived Healthfulness: PH)를 이용한 축령산휴양림의 숲치유장으로서의 전반적인 기능 평가와 더불어 PH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구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첫째, 축령산휴양림의 ‘경관 및 자연조건’은 치유의 숲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 깊게 관리 보호 되어야 한다. 결과에서 보았듯이 축령산 휴양림의 ‘치유의 숲’으로서의 높은 PH는 현재 휴양림이 보유하고 있는 숲경관과 자연 조건의 영향이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숲의 경관과 자연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개발행위 및 인공시설물 설치의 최소화가 요구된다. 둘째, 축령산휴양림 내 모든 장소 및 관리 속성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한다. ‘차량접근여부와 엔진 및 라디오 소리’를 제외한 모든 6개 요인(‘경관/자연조건’, ‘편의시설/휴식공간의 충분성’, ‘산림치유시설/물’, ‘해설/안전’, ‘활동의 다양성’, ‘타방문객의 수’)과 PH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PH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PH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관/자연조건’과 ‘편의시설/휴식 공간의 충분성’이외에도 이들 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축령산휴양림의 ‘치유의 숲’으로서의 뚜렷한 관리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보았듯이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들 모두의 요구를 축령산휴양림에 반영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결국 휴양림의 ‘치유의 숲’으로서의 기능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축령산휴양림의 ‘치유의 숲’ 조성 초기단계에서부터 명백한 관리목적 및 기준을 토대로 관리해나감으로써 지속적인 ‘치유의 숲’의 기능 발휘가 가능할 것이다. 넷째, 축령산 휴양림 내 혼잡에 대한 계획적이며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혼잡은 PH와 관련이 있다. 방문객들의 혼잡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한다 (Manning, 1999). ‘치유의 숲’ 조성이 완료되면 방문객 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체류시간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타 혼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예, 소음, 쓰레기투기, 이용상충, 시설물 부족 등)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결국 축령산휴양림의 ‘치유의 숲’으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치유의 숲’의 기능 수행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간·비용 절약적인 측정척도의 개발 및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단일항목 ‘치유의 숲’ 기능 평가 척도인 PH는 대부분의 응답자의 긍정적 평가가 현재 축령산휴양림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반영한 것인지, 다른 개입요인들의 작용에 의한 것인지 등 척도의 타당성에 의문의 여지가 있다. 특성 및 현장상태가 다른 여러 '치유의 숲'을 대상으로한 반복 측정 및 다차원 측정 척도와 같은 대안 측정 도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숲치유장의 기능 평가척도로서 PH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치유의 숲’의 조성 중에 있는 축령산휴양림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치유의 숲’ 조성이 완료된 후 기능수행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휴양림 내 ‘치유의 숲’ 조성사업이 숲치유 기능에 어느 정도 개선효과를 가져왔는지 판단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축령산휴양림 한 장소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PH의 활용가능성 및 PH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구명에 미진한 점이 있다. 추후 다양한 ‘치유의 숲’간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축령산휴양림의 숲 치유장으로서의 기능에 대한 보다 객관적 평가가 가능할 것이며 PH 및 숲치유장의 기능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파악도 더욱더 명확해 질 수 있을 것이다.
        100.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rural subjective landscape through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visitors according to space types, and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This study has employed a survey method for which 58 residents of 8 villages within Seondong region at Gochang-gun and 70 visitors to Green Barley Field Festival in the target region have participated. 42 landscape view poi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landscape scopes and space types, and then the preference was evaluated using landscape adjectives after showing pictures already taken for each landscape view point.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reas residents gave high points to natural landscape and artificial one at the historical culture areas in comparison with other landscape scopes, visitors gave them low points on the other hand. Second, visitors evaluated the cultivated area among space types of mixed landscapes with high value. Third, based on t-test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evaluation results appeared at 6 places among 8 natural landscapes, 3 places among 12 artificial landscapes, and 3 places among mixed landscap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