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60

        10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네랄 첨가제가 한우사 바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경남 진주시 소재 한우 번식우 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우방당 미네랄 첨가제를 5 ㎏ 첨가하였으며, 시험구로는 무첨가구(CON); bentonite 시험구(BN); illite 시험구(IL); 및 fly-ash 시험구(FA)로 두었다. 각각의 시험구로 4개의 우방을 이용하였으며, 우방당 5마리 한우 암소를 공시하였다. 미네랄 첨가제를 처리한 후 각 우방당 5곳에서 0, 7, 14, 21 및 28일에 우분을 채취하였다. 샘플은 건물, 발효특성, 미생물 성상 및 가스 발생량 분석에 이용되었다. 전 기간 동안 건물과 acetate 함량은 미네랄 첨가제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무첨가구에서 7, 14 및 28일에 유기물 함량은 가장 높았고(p<0.05), 조회분 함량은 가장 낮았다 (p<0.05). IL 시험구에서는 14, 21 및 28일에 총 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IL, BN 및 FA 시험구에서는 각각 14, 21 및 28일에 무첨가구보다 대장균이 낮았다(p<0.05). FA 시험구에서는 28일에 살모넬라 수가 가장 높았다(p<0.05). IL 시험구에서는 28일에 암모니아 발생량이 가장 높았고 (p<0.05), 황화수소는 전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28일간 결과값을 평균하였을 때, 무첨가구에서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조회분 함량이 가장 낮았다(p<0.05). IL 시험구에서 총 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BN 시험구는 ㏗가 가장 높았다(p<0.05). 대장균 수는 IL 시험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살모넬라 수는 무첨가구 보다 IL과 FA 시험구에서 더 낮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광물질 첨가제는 분 중 가스 발생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illite와 fly-ash 처리 시에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4,000원
        10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ow calorific gas (LCG) fuels are investigated by numerical simulation. PREMIXED code is used to predict the flame structure and NO emission with two mechanisms, which are GRI 3.0 and USC II chemical reaction mechanisms for CH4 and LCG 8000 and LCG 6000, respectively. Also, elementary reactions related with production and destruction for OH radical are studied because OH radical is dominant for burning velocity and NO emission. As results, the production and the destruction of OH radical for CH4 and LCG 8000 using GRI 3.0 are dominated by reactions of No. 4, No. 2 and No. 3 and by No. 5, No. 3 and No. 7, respectively. For LCG 6000 using USC II, reactions of No. 3, No. 4 and No. 11 and of No. 7, No. 8 and No. 12 dominates to the production and the destru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NO emissions for LCG gas fuel are generated by thermal NO because the flame temperatures are over 1800 K.
        4,000원
        10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feeding method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total gas and methane production in Hanwoo steers. Six Hanwoo steers fitted with rumen cannula (430 ± 21 kg of body weight)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feeding systems: 1) feeding forage 1 hour after concentrate, 2) feeding concentrate 1 hour after forage, 3) feeding mixed ration. Rumen fluid sampled from each animals was incubated 24 hours with maize or timothy substrates in in vitro. Ruminal pH was increased in feeding method 2 or maize substrate than that of other methods or timothy substrate (P < 0.001). The produc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valerate were increased when steers fed diets using feeding method 1 or rumen fluid was incubated with maize substrate (P < 0.001). Increased production of total gas and methane was observed in feeding method 1 and maize substrate compared to those of other methods or timothy substrate (P < 0.001). Due to the inconsistent results between ruminal fermentation and gas production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stimate effects of feeding method on enteric fermentation and gas production in in vivo.
        4,000원
        106.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cern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s strongly increasing globally. In fishery industry secti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an important issue according to The Paris Climate Change Accord in 2015. The Korean government has a plan to reduce the GHG emissions as 4.8% compared to the BAU in fisheries until 2020. Furtherm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declared to achieve the carbon neutrality in 2050 at the Climate Adaptation Summit 2021. However, the investigation on the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ies did not carry out extensively. Most studies on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y have dealt with the GHG emissions by fishery classification so far. Howeve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GHG emissions from fisheries need to evaluate the GHG emission level by species to prepare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 labels and declarations (ISO 1402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ich degree of GHG emitted to produce the species (hairtail and small yellow croaker) from various fisheries. Here, we calculated the GHG emission to produce the species from the fisheries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The system boundary and input parameters for each process level are defined for the LCA analysis. The fuel use coefficients of the fisheries for the species are also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uel type. The GHG emissions from sea activities by the fisheries will be dealt with. Furthermore, the GHG emissions for producing the unit weight species and annual production are calculated by fishery classification.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ies.
        4,500원
        10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P SCR의 촉매 반응을 위해 선박의 발전기용 4행정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온도를 높게 설계 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밸브개폐시기와 연료분사시기를 조정을 통한 배기가스의 온도 감소가 L.P SCR의 운전조건을 만족시키고 고온으로 인한 발전기 엔진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었다. 배기가스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캠샤프트의 각도를 조정하고 연료분사펌프의 Shim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최대폭발압력은 12.8 bar 증가하였고 터보차저 출구온도 평균값은 13.3 ℃ 하강하였다. 터보차저 출구에서 SCR 입구까지의 열손실을 감안하더라도 L.P SCR 운전조건인 SCR 챔버 입구 온도인 290 ℃를 만족하였다. 배기가스 온도 하강을 통해 디젤발전기의 안전운전이 가능하게 한 연구였다.
        4,000원
        10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사기구는 해운에 의한 기후변화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왔으며, 특히 2018년 채택 선박 온실가스 배출 감축 초기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한편 이를 배경으로 회원국들은 IMO 제5차 온실가스 회기간 작업반 회의(ISWG-GHG: Intersessional Working Group on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에 다양한 감축 조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각 회원국들의 영향평가 측정방법은 평가 시 고려하는 항목이 상이하며, 이로 인해 국가별 영향평가의 객관적인 비교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실제로 회원국들이 IMO에 제출한 영향평가 측정방법의 분석 시 회원국마다 영향평가 절차나 영향평가 시에 고려하는 항목이 서로 상이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각국의 다양한 조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바 IMO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23년 이전에 영향평가 측정 시의 평가항목 등을 표준화 하는 등 모든 국가가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 영향평가 측정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조치의 영향평가 결과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영향평가 세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각국 감축 전략의 실효성을 비교할 수 있는 세부 가이드라인을 도출 시 이를 통해 GHG 감축을 주도하는 해사환경 선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1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lSi10Mg alloy powders are synthesized using gas atomization and sieving processes for powder bed fusion (PBF) additive manufacturing. The effect of nozzle diameter (ø = 4.0, 4.5, 5.0 and 8.0 mm) on the gas atomization and sieving size on the properties of the prepared powder are investigated. As the nozzle diameter decreases, the size of the manufactured powder decreases, and the uniformity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mproves. Therefore, the ø 4.0 mm nozzle diameter yields powder with superior properties. Spherically shaped powders can be prepared at a scale suitable for the PBF process with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10–45 μm. The Hausner ratio value of the powder is measured to be 1.24. In addition, the yield fraction of the powder prepared in this study is 26.6%, which is higher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value of 10–1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ozzle diameter and the post-sieve process simultaneously influence the shape of the prepared powder as well as the satellite powder on its surface.
        4,000원
        11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국내에서 작물재배용으로 생산 및 시판되는 복합 비료와 축산분뇨 퇴비에 함유된 CO2와 CH4의 양을 개략적으로 알아보고자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비료의 한 포대에서 계측된 CO2의 농도는 계측한 날짜와 관계없이 평균 약 1,733.3ppm 정도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비료 한 포대당 함유된 양은 0.067kg 정도였고, 비료의 단위 무게는 3.35×10 -3 kg·kg -1 정도였다. 국내에서 농업용으로 출하된 복합비료는 평균 885,750t·yr -1 이었다. 이 양을 기준으로 복합비료 자체에 함유된 CO2의 양은 약 2.9백 만 t·yr -1 정도로 추정할 수 있었다. CH4의 경우, 측정 개시일에 한 포대에 76.8ppm(포대당 2.949×10 -3 kg, 단위 무게당 0.15× 10 -3 kg·kg -1 ) 정도 나타낸 후, 그 이후에는 측정되지 않았다. 퇴비에 함유된 CO2의 양은 구멍의 폐쇄 및 개방 여부에 관계없이 측정 일이나 측정구에 따라 계측기의 최대 측정범위인 10,000ppm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최대인 10,000ppm 이라고 가정하고 검토하였다. 따라서 최대인 10,000ppm이라고 가정하고 검토한 결과 한 포대당 함유된 양은 0.506kg 정도 였다. 퇴비 구멍의 폐쇄 및 개방 여부에 따라 CH4의 농도가 증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비 한 포대에 함유된 CH4의 양은 약 2.53kg 정도였다. 이 양을 국내에서 생산된 고형퇴비의 평균 생산량과 비교하면, 약 4.7백만 t·yr -1 이상이 될 것으로 추 정할 수 있었다. 고추재배 포장에서 배출되는 CO2의 양은 측 정 종료 때까지 평균적으로 8,040ppm 정도였다. 나지의 경우, 시간의 경과와 함께 CH4의 농도는 점차 감소하였고, 최대 1,700ppm에서 거의 제로 상태까지 약 50일이 소요되었다.
        4,000원
        116.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analyze the injector defects of P-ENG and S-ENG with normal injectors by measuring current waveforms, voltage waveforms, exhaust gases and driving fuel economy. In the case of FTS failure, the S-ENG reduced the overall injection time by 3.7% and the main injection by 3.5% compared to the normal engines. In the case of AFS failure, the overall injection time increased by 45.7% and the main injection time increased by 24.1% compared to the normal engine. The rest data showed that fuel economy of S-ENG had 25.9% higher than P-ENG, NOX had 162.5% higher than that of P-ENG, and CO2 of S-ENG had 26.7% lower than P-ENG.
        4,000원
        11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improve fuel economy and reduce harmful emissions from passenger car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uel oil additives. The perform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engine, the region of use, and the driving habits of the user.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test analysis by the objective experimental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same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in terms of securing objectivity as a comparative study by the measurement of single user for a long time. As a result, in the case of cars using gasoline engines, the fuel economy tended to a little decrease as the distance-age increased. However, in the analysis of diesel vehicles by year, it increased gradually after the 5th year and the distance-age of 60,000km. And a comparison of the last three years, an increase of about 3.1% from 12.44km /ℓ to 12.82km /ℓ.
        4,200원
        11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w field characteristics for exhaust gas in automobile engine DPF system. The DPF system performance is largely affected by exhaust gas flow while it passes through the complicated geometry of DOC/DPF system, fan shape structure, and perforated can with air for fuel combustion. Hence the characteristics of fluid velocity, pressure, and streamline are analyzed with velocity uniformity in front of DOC and swirl flow near the fan. It can be seen that the velocity uniformity increases with the gas flow rate including flow acceleration near the lower area of the fan. The air flow also influences the gas flow distribution close to the impeller and fan structure with complicated swirl flow.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as fundamental design data for automobile engine exhaust system.
        4,000원
        11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urbopump type liquid rocket engines, ignition and starting are known to be the most unstable and risky section among all operating sections of the projectile. The operation of the liquid rocket engine is the process of ignition and combustion of the main combustor after the turbo pump is driven into a stable section due to the turbine driving of the turbo pump and the ignition and combustion of the gas generator by the pyro starter. In this process, the driving of related components directly influences each other, so each component must be operated with sufficient reliability. In particular, if the igniter does not supply sufficient ignition energy at a predetermined time, an explosion may occur due to stagnation of the fuel/oxidant mixture, so reliability is more important. In this study, the fracture analysis of the gas generator igniter rupture disk according to the shape was performed using computational analysis. As a result,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n the optimal dimensions according to each variable condition.
        4,000원
        12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환경 문제를 포함하여 여러 이유로 액화가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선박을 통한 액화가스의 운송이 증대하고 있고, 이를 수용할 터미널 건설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터미널을 건설하는데 있어 그 규모의 결정은 대상선박이 명확히 결정 되어 있을 경우 그에 따른다. 그렇지 않다면 터미널이 수용하고자 하는 선박 규모를 결정하고, 관련한 규정이나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선박 치수를 활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액화가스터미널 건설을 위해 항만 건설시 설계기준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는 항만 및 어항 설계 기준 및 해설(2017)을 활용하여 대상선박의 규모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대형화된 선박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시되어 있는 선박의 주요치수가 실질적으로 운항하고 있는 선박과 상당히 상이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터미널을 건설하는데 있어 대상선박 및 터미널의 규모 결정, 터미널의 안전성 평가 등에 있어 이해 당사자 간의 많은 이견이 있을 수 있기에 현행 액화가스운반선의 주요치수에 대한 기준을 현재 운항하고 있는 선박들의 현황 분석을 통하여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정안은 향후 선박 및 터미널 규모 결정에 보다 적절하고 현실적인 기준으로 활용되고, 불필요한 터미널 건설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