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0

        10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선박이나 컨테이너로 수출입되는 곡류 및 박류는 검역용 훈증제인 메틸브로마이드(이하 MB)와 인화수소(이하 PH3)를 사용하는데, 처리 온도/수용비/선적방식에 따라 충분한 배기시간을 필요로 한다. 현장에서 배기시간 미설정으로 검역관 및 방제기술자에게 훈증제 TLV(Threshold Limit Value)-TWA(Time Weighted Average) 기준 이상의 농도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소독 전, 후 작업자 안전을 고려하여 각 훈증제 별 작업자 안전기준에 적합한 배기시간이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내 훈증상에서 곡류(쌀, 대두) 및 박류(대두박, 주정박)를 대상으로 현행 소독처리기준으로 소독 후 탈착되는 가스농도를 측정해 MB 1 ppm, PH3 0.3 ppm 수준 이하로 감소되는 배기시간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TLV-TWA 기준이하의 수준으로 감소되는데 필요한 배기시간은 주정박/대두박/대두에 MB가 처리된 경우는 모두 30시간, 쌀에 PH3가 처리된 경우는 30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6.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rd Shoulder Running is one of the ways to handle road traffic by installing LCS signals on the shoulder, making use of the shoulder as a straight road during rush hour, and there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road in the short term.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on Youngdong Expressway in September 2007, it has been implemented in 32 highway sections and has improved the speed of traffic. The Seoul-Chuncheon Expressway, which is a private investment toll road, introduced Hard Shoulder Running only for some sections in 2014, but due to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lanes with many tunnel sections, It did not perform the function of Hard Shoulder Running. Therefore, they are considering expanding the tunnel section of Hard Shoulder Running,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afety of the tunnel part to implement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nge of geometry, such as reduction of lane width in tunnels, and the installation of various guiding facilities, on the safety of tunnels by applying a driving simulator. Virtual reality data were constructed at 3.25m and 3.0m respectively in the tunnel section of the Seongjong Tunnel of Seoul-Chuncheon Expressway and Geumnam Tunnel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Hard Shoulder Running and appropriate speed and lane width. EEG was used for analysis. The test subjects were 15 young drivers / 15 old drivers. Analysis it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riving speed, steering wheel operation, lateral placement of vehicle, and driver's psychological factor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llowance width of outer wall and m of tunnels was secured, and the lane width of 3.0 m was stable in terms of driver driving behavior, and operation speed was lower than 50 km/h.
        107.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 정부는 2011년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을 제정하였으며 단계적으로 실시 및 실시예정에 있다. 이중 농산물안전(Produce Safety) 최종규칙은 농산물 재배, 수확, 포장 및 보관과 관련된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영농규모 등에 따라 2017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FSMA 의 농산물안전 규칙 중 현장에서 준수해야 하는 조항을 55개 선별하여 한국 GAP기준과 비교한 결과, 비교 대상 인 두 개의 기준이 조항별 관리사항에 대해 1:1로 단순비교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상당수의 한국 GAP기준이 대응이 가능하다. 다만 한국 GAP기준은 포괄적 기준으로 평가자에 따라 다른 판단을 할 여지가 많으므로 기준의 세부 사항의 보강이 필요하다. 조항별로 보면, 작업자 안전위생(FSMA Subpart D)에 대하여 한국 GAP기준은 가장 높게 대응이 되며, 그 다음으로는 가축 및 야생 동물(FSMA Subpart I), 건물·장비·도구(FSMA Subpart L), 재배·수확 등의 활동(FSMA Subpart K) 순으로 대응이 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용수 관리(FSMA Subpart E)와 관리자의 자격 및 교육(FSMA Subpart C)에 대해서는 다소 미 흡한 실정이며, 가축분뇨기반 퇴비 관리(FSMA Subpart F) 에 대해서는 대응이 취약한 편이다. FSMA 규칙은 인증 기준은 아니나, 세계적으로 식품안전의 표준을 선도하는 미국이 제시한 규칙인 만큼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 된다. 따라서 국내 농산물 기준 중 FSMA 규칙에서 강조 하는 미생물적 안전성에 대응하는 기준이 GAP기준이므로 한국 GAP기준의 재검토를 통해 우리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수출확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4,200원
        10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유통되는 기능성 쌀을 대상으로 농약 및 이산화황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2016년 2월부터 10월까지 대형마트 및 재래시 장에서 유통되는 기능성 쌀 91건을 수거하여 수행하였다. GC/ECD, GC/NPD, GC/TOF/MS, LC/PDA, LC/FLD를 이 용한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결과 3건(3.3%)에서 2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살균제 농약인 propiconazole과 살균제 및 식물생장조절제 농약인 isoprothiolane이며, 검출수준은 0.0340~0.0566 mg/kg으로 MRL (Maximum Residues Limits) 대비 각각 34%, 2.8% 이하로 검출되었다. Monier-Williams 변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황(sulfur dioxide)을 분석한 결과 91건의 시료 모두 불검출이었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한 결과 %ADI (Hazard Index)는 0.24~ 1.25%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4,000원
        109.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invigoration plan of the marine tourism, Busan City has the plan to operate the cruise ship inside of the harbor, but the area has narrow water way with heavy traffic. As a result it is requested to evaluate the safety for the preparation of actual navigation. In this study, the Ship Handling Simulation (SHS) Assessment was conducted, which is regulated by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 Scheme (MTSAS) in compliance with the Marine Safety Law and the Maritime Traffic Risk 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ECDIS). The proximity assessment, control assessment and subjective assessment were implemented, which is enacted by the Marine Safety Law by using the SHS. In the case of proximity assessment, the probability of trespass was not analyzed. As the control assessment, the swept path was measured at 11.7 m and 11.5 m for port entry and port departure respectively, which exceeded the width of the model vessel, 10.4 m over; it was considered as a marginal factor. As a result of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navigator, there would be no difficulty on ship maneuvering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ooring vessel nearby the Busan Bridge and Yeongdo Bridge as well as the coming vessel from the invisible sea area when the vessel is entering and departing the port. The Marine Traffic Risk Assessment System analyzed as [Cautious] level until the vessel passed the Busan bridge and the curved area at 5 kts and it became to [Dangerous] level from where it left 75 m to the Busan Bridge. When the vessel passed the Busan Bridge and the curved area at 10 kts and entered the narrow area, it indicated the [Dangerous] level and became to [Very dangerous] level from where it left 410 m to the Busan bridge. In conclusion, the vessel should maintain at the speed of 5 kts to reduce the risk when it passes this area.
        4,000원
        11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으로부터 식 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10종의 산화방지제(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Cyanox 2246, 425 and 1790, Irgafos 168, 및 Irganox 1010, 1330, 3114 and 1076)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식품유사용 매 중 물, 4% 초산, 50% 에탄올의 경우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카트리지로 고체상 추출(SPE, Solid Phase Extraction)을 하였고, n-헵탄의 경우 이소프로 필알콜로 희석하여 HPLC-UVD (276 nm)로 산화방지제의 이행량을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으로 위생백, 지퍼백, 우유팩, 주스팩, 가공식품용 포장지, 밀폐용기, 일회용기 등 국내 유통 폴리에틸렌(78건) 및 폴리프로필렌(122건)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200건으로부터 식품 유사용매로 이행되는 10종의 산화방지제 이행량 조사 결과, 총 78건의 폴리에틸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5건에서 Irganox 1010이 ND~1.444 mg/L 검출되었고, 총 122건의 폴리프로필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41건에서 Irganox 1010이 ND~3.106 mg/L, 28건에서 Irganox 1076이 ND~4.752 mg/L, 34건에서 Irgafos 168이 ND~ 3.635 mg/L 검출되어 총 3종의 산화방지제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Irganox 1010, Irganox 1076, Irgafos 168에 대해 일 일추정섭취량(EDI)을 계산하고 일일섭취한계량(TDI)과 비 교하여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폴리에틸렌 재질 중 Irganox 1010은 TDI 대비 0.0067%, 폴리프로필렌 재질 중 Irganox 1010, Irganox 1076, Irgafos 168은 TDI 대비 0.0073%, 0.1800%, 0.0200%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중 산화방지제 분석법 및 안전성 평가 결과는 앞으로 기구 및 용기·포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HSSAT)를 번안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 HSSAT의 번안을 위하여 번역과 역 번역의 과정을 실시하여 한국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 (Korean-translated Version of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K-HSSAT)를 완성하였다. 그 후 내용타당도와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간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10명에게 해결책을 적용한 전·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 K-HSSAT의 내용타당도 지수는 .94로 높게 나타나 내용타당도를 수립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 결 과 K-HSSAT의 총점과 주거환경 위험평가(Checklist for Home Fall Hazard; CHFH)의 각 영역 간 상관계수는 .23~.52의 범위를 보였고 CHFH의 총 4개 영역 모두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1). K-HSSAT의 내적일치도 Cronhach's α값은 .89를 나타내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 과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p<.05).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 결과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 K-HSSAT의 해결책을 제 시하고 전·후 비교한 결과 적용 전 17.40±4.55, 적용 후 12.70±3.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 한국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K-HSSAT)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가정 낙상환경위 험 평가와 환경적 중재를 위한 다양성을 갖춘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4,600원
        11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식품 안전관리 확보와 효율성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수출국의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현황을 평가하고 이를 자국의 수입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미국을 중 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평가도구와 도구를 활용한 평가사례를 비교조사하고, 관계 전문가의 의 견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 FDA가 개발한 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는 외국의 식품안전 전문성을 이용하여 수입식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으 며, 평가도구는 10개 기준으로 구성되어 외국의 전반적인 식품안전관리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FDA는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뉴질랜드와 캐나다를 대상으 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두나라 모두 미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를 통해 수입 전 위생평가 와 수입식품의 국경검사 빈도관리에 활용함으로써 수입식품 안전관리에 있어 국가예산의 효율적인 배분과 대국민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향후 국가식품안전관리체 계 평가에 대한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국제적인 조화와 전문가·예산의 확보도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평가도구 조사·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으로는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 논의의 국제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식품 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국내 식품안전관리체 계를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식품안전관리 체계 평가결과는 수출입 안전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보이며, 이러한 국제흐름에 따라 향후에는 우리나라 자체 국가식품안전관리체계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15.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운영 중 사고로 인한 방사선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 중 발생 가능한 사고 에 대한 타당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처분시설의 운영 중 사고분석 체계를 처분시설의 구성요소에 대한 안전 기능분석, 잠재위험요소분석, 위험도분석, 그리고 향후 조치대안으로 사고평가체계를 개선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험도분석 에 필요한 설계대안과 관리대안을 추가하여 설계-운영-평가가 연계되도록 하였다. 또한 운영 중 사고의 발생확률과 평가결 과의 심각성에 따라 운영중 사고에 대한 분류기준을 제안하여 처분시설 운영 중 대표 사고시나리오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 하였다. 본 논문의 개선된 평가체계를 우리나라의 2단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에 대한 처분시설 운영 중 사고분석의 사례에 대해 적용하였다.
        4,300원
        11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피적 방사선 위루술(percutaneous radiologic gastrotomy, PRG)에서 위고정(gastropexy)을 위해 사용되는 T-fastener에 대해 자기장에 의한 수평인력, 회전력을 표준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돼지고기 모델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사용되었을 때의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T-fastener는 Cope(Cook, Bloomington, USA)와 Saf-T-Pexy(Kimberly-Clark, Roswell, USA)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길이는 각각 21 mm, 10 mm이다. MRI장치는 1.5 T(Avanto MRI, Siemens, Germany)와 3.0 T(Ingeni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을 사용하였다. T-fastener에 대한 자기유도 수평인력은 주자장이 가장 큰 지점인 96cm지점에 측정장치를 위치하여 최대 변위각을 3회씩 측정하였고, 회전력은 원형용기 내부의 45°간격의 실선 위에 놓았 을 때 나타난 회전형태를 정성적 평가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돼지고기 삽겹살에 T-fastener를 설치하여 본원의 복부 MRI sequence로 1.5 T와 3.0 T에서 scan 후 움직임 또는 회전상태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자기유도 수평인력의 측정결과 변위각의 평균값은 Cope 제품의 경우 1.5 T와 3.0 T에서 각각 139.3°, 145.8°로 나타났고, Saf-T-pexy제품은 각각 131.3°, 141.7°로 나타났다. 자기유도 회전력의 평가결과 회전력은 두 제품 모두 1.5 T와 3.0 T에서 +4 (very strong torque), 즉 주자장에 대해 매우 빠르게 정렬되었다. 돼지고기 모델에서 1.5 T와 3.0 T에서 Scan 후 움직임 또는 회전상태는 scan 전과 후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는 T-fastener에 대한 1.5 T와 3.0 T에서의 MR 안전성을 수평인력과 회전력을 통해 평가했으며, 두 제품 모두 변위각 130° 이상, 회전력 +4 이상 나타났다. 하지만 돼지고기 모델을 이용한 시험에서 충분한 유지력이 평가되어 MR환경에 사용되어도 환자안전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dealt with passenger safety assessment of roadside barrier structures using high anti-corrosion steels, which are called hot-dip zinc-aluminium-magnesium alloy-coated steels. We performed a simulation with high anti-corrosion barriers capable of absorbing impacts and calculated the breakage stress to assess passenger safety. Passenger safety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THIV (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and PHD (Post-Impact Head Deceleration). This process compares normal steel materials and high anti-corrosion steel materials. The simulation test results for the roadside barriers built with high strength anti-corrosion steels with reduced sectional thickness meet the safety evaluation criteria, hence the proposed roadside barrier made by high strength and high anti-corrosion hot-dip zinc-aluminium-magnesium alloy-coated steel will be a good solution to serve passenger safety as well as save maintenance cost and better structural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