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1

        10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감성 의류로 사용되는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 40종의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시료는 1차시료 14개와 2차 시료 26개로 나누어지며 국내와 국외 시료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물성분석은 Blind field test를 이용하여 전문위원단에 의해 주관적인 물성 평가를 실시하여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Blind field test는 촉감(부드러움, 탄력감), 색상(선명도, 심색미), 외관(깨끗함, 자연광택), 비교 선호도 등으로 4개군으로 test는 총 7개의 평가항목으로 나누어 전문평가단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4,000원
        102.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1,933 Korean male and female subjects ranging in age from 10 to 82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atistics about hand dominance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hand in handling diverse products and facilities. The statistics show that 5.6% are left-handed and 7.6% are ambidextrous. The average left-hander has a strong tendency to use his or her left hand more often when taking a forceful action than one that requires accuracy. On the contrary, the average ambidextrous or right-handed person generally uses his or her right hand more with action that requires accuracy than force. Derived from such results, the conclusion is that depending on which hand is the dominant one, people seem to use their hands differently when they handle objects and is a point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hand control devices.
        4,000원
        10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남성용 소모직물의 품질향상을 위해 국외 유명 브랜드 소모직물의 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소모직물을 시생산하여 국외 소모직물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의류소재의 객관적인 평가방법인 KES-FB system과 국내 복지 전문가 등에 의해 평가된 주관적인 평가방법인 Blind field test 방법으로 소모직물의 물성을 평가하여 두 측정 방법 간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태리와 영국 그리고 국내에서 생산된 7개 품종의 14개 소모직물 시료를 사용하였다.
        4,000원
        10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 속성과 정서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동작은 Laban 움직임 분석(LMA)의 하위요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MA의 하위 요소들을 방향성 차원 다섯 조건(수평, 수직, 전후, 흔듦, 원형), 무게감 차원(지속적임, 급박함), 시간감 차원(가벼움, 강력함)의 각 두 조건으로 재구성하여 총 20개의 동작을 선정하였다. 정서어휘는 한덕웅과 강혜자[4]가 수집한 834개의 정서 어휘 중 동작을 통해 표현되고 전달되기 쉬운 어휘 50개를 선택하였다. 또한 연구 참가자들에게 20개의 동작에 대한 50개의 정서 어휘의 적절성 평정을 받아 이 자료를 범주형 주성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각성 수준 차원은 동작의 무게감과 시간감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하고 빠른 동작일수록 각성 수준이 높은 정서가 나타났다. 또한 동작의 방향성 차원은 정서의 종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선 움직임은 높은 각성 수준의 부정적 정서와,흔듦 움직임은 불안 및 초조, 원형 움직임은 즐거운 정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작을 통하여 정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동작과 정서를 연관짓기 위해 방향성 차원과 무게감 차원 그리고 시간감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4,600원
        105.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야차단 유무가 눈-손 협응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Zebris Medical GmbH사의 Winarm software에 의한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해 기능적으로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시각 손상이 없고, 손 기능 장애가 없는 대학생 4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데이터 결손값과 수행 횟수에 오류를 나타낸 19명을 제외한 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동작 분석 결과에 대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시야차단 유무에 따른 x, y, z 좌표의 수치를 SPSS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평균속도와 총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시야차단유무에 따른 오류횟수와 x, y, z 좌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시야차단 유무의 평균차이에 대한 1회와 5회 실시결과 비교시 x 좌표에서 운동감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시야 차단 유무가 협응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손상을 가진 환자에게 치료 적용시 운동감각을 향상시키는 활동을 사용하여 협응력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시각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0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rgonomic factors in designing or selecting the hand tool handle. Electromyogram (EMG) were measured for various wrist postures and handle sizes under two loading conditions. Anthropometric data were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with EMG measurement data were analyzed. Investigations of this study show that wrist posture should be neutral for minimum muscle tension and optimum handle size can be found by measuring the EMG measurement data. It show that hand width and EMG measurement data is greatly correlated also. This study can be a guide of designing or selecting a hand tool, but further study with large sample sizes and various groups is needed for making general conclusion.
        4,000원
        10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물구조인자인 위사밀도와 직물의 조직을 변화시켜 시직한 면직물을 이용하여 역학특성 및 태의 변화를 KES-FB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위사밀도가 증가할수록 굽힘특성 및 전단특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사밀도의 변화에 따른 역학특성치 중 굽힘 및 전단특성의 값은 평직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장특성, 압축특성 그리고 표면특성의 값은 조직 및 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위사밀도 변화에 따른 의복착용성능 중 WC/T, MMD/SMD를 제외한 B/W 및 2HG/G, 2HB/B, 2HB/W, W/T, 그리고 WC/W는 위사밀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사방향의 직축은 굽힘특성, 전단특성, 압축회복도(RC), 표면거칠기(SMD), 태와 의복착용성능에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ightness는 굽힘특성, 전단특성, 압축특성 그리고 표면 마찰계수와 높은 상관을 보였고, 기본태 및 T.H.V., 의복착용성능에도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전화기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손에 손상을 받은 경험이 없는 47명의 인제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후에 Nine Hole Pegboard Test(Smith & Nephew Rehabilitation Division version)와 대상자의 휴대전화기로 일정한 문장을 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문자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t-검정과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과 문자 쓰기 속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문자 쓰기 속도가 더 빨랐다. 성별과 오른손 민첩성과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 보다 민첩성이 더 높았다. 문자 쓰기 속도와 손의 민첩성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손의 손상이 없는 성인에서 휴대전화기의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문자 쓰는 속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오른손 민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능적인 손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와 손 기능에 문제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문자 쓰기 활동이 손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109.
        200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pending on the nature of a product, a design process for an ergonomic product follows a series of simple or complex stages. This paper suggested a rather practical and simple design process consisting of eight stages, i.e. design needs assessment, ergonomic guidelines, anthropometry, brainstorming and idea sketch, preliminary model, drafting and rendering, working prototype, and user trials. The feasibility of this design process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the development of a modified clamping hand tool handle. The case study showed how ergonomics played a role and how ergonomists overcame design difficulties by integrating good ergonomic design practices.
        4,000원
        112.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피부분절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강직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손기능 변화와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 비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11명(남자 9명, 여자 2명)의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경피신경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굽힘근의 피부분절에 20분간 고주파(100Hz)와 가시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저강도로 전기자극을 실시하였다. 측정 시기(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 간 손기능 검사는 Box and Block test로 사용하였고,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비는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 요인 분산분석(repeated 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 Box and Block test의 결과는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과 전기자극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간의 동시수축 비는 측정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피부분절 전기자극 방법은 손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므로 향후 실시되는 연구에서는 피부분절 전기자극과 동시에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기능적인 과제 활동을 병행하여 그 효과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4,000원
        116.
        200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antivibration characteristics of gloves by frequency band while operating light-weighted powered hand grinder. A methodology to estimate vibration isolation effectiveness of gloves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overall R.M.S. transmissibility characteristics. And overall R.M.S. transmissibilities of L-, M- and H-spectra were compared. Electric hand grinder was tested in the laboratory and attenuation performances of 3 different gloves(full finger antivibration glove, open finger antivibration glove, and cotton glove) were considered. Eight healthy male subjects were employed to polish metal plate with a too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tivibration characteristics by frequency bands while operating light-weighted electric hand grinder.
        4,000원
        117.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hand function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in a patient with dystonia. Method: The subject was a 41 year old female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25th to May 24th in 2002. The Jebsen Hand Function Test and Nine Hole Peg Test were used for assessment, and also hand and finger powers were assessed by grip strength, lateral pinch strength and three jaw chuck pinch strength. The scores were obtained during occupational therapy sessions at 4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Modified Ashworth Scale was employed to grade spasticity before the injection, at 4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Results: Among the subtests of Jebsen Hand Function Test, the speed increased in the writing (15.4%), turning cards (64.4%), simulated feeding (92.0%), moving empty large cans (30.0%) and moving weighted large cans (41.6%), however, the speed of other subtests which were checkers(-26.8) and picking up small objects (0.0%) did not increase. The performance on Nine Hole Peg Test did not change (0.0%). Hand power of grip strength increased by 275%. Finger power increased in lateral pinch strength (40.0%) and three jaw chuck pinch strength(150.0%). Based on Modified Ashworth Scale, spasticity decreased from grade 4 before the injection to grade 1 at 4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in wrist and fingers. Conclusi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can improve the hand function in a patient with dystonia.
        4,000원
        11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물의 태는 손으로 만져 보았을 때 느껴지는 감촉, 육안으로 느껴지는 감각, 그리고 직물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 등이 함께 어울어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원형사와 삼각사로 제직된 직물의 태와 온/냉감 및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삼각단면사로 제직된 직물이 원형단면사로 제직된 직물보다 더 좋은 태를 보였으며 열전달계수가 크게 나타나 냉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높은 반사율을 보였다.
        4,000원
        119.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o test appropriateness of writing subtest translated into Korean. Method: Fourty-fiv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ime spent on each sentence was measured for both hand. We performed Repeated Measure as a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hen the averaged time spent on each sentence was compared, the second and the fourth sentences were longer than the first and the third sent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spent to write each sentences with nondominant hand, but not with dominant hand. For the nondominant hand, the result of contrast tes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second, third sentences, but not in the fourth sentence. Conclus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in writing the four sentences. Because equivalent time duration represents the validity of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 modification of the test is recommended.
        4,000원
        120.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reader with a pertinent information and research trends of biomechanics in wheelchair propulsion. Biomechanical studies for wheelchair propulsion mainly focus on the most suitable propulsion performance and methods for preventing upper extremity injuries. Recent issues have concentrated on wheelchair propulsion style and cycle mainly because of the high prevalence of repetitive strain injuries in the upper extremely such as shoulder impingement and carpel tunnel syndrome. Optimizing wheelchair propulsion performances as well as medical reflections are presented throughout the review. Information on the underlying musculoskeletal mechanisms of wheelchair propulsion has been introduced through a combination of data collection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 more fundamental mathematical modelling approach. Through a synchronized analysis of the movement pattern and muscular activity pattern, insight has been gained in the wheelchair propulsion dynamics of people with a different level of disability (various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functional potential). Through mathematical modelling simulation, and optimization (minimizing injury and maximizing performance), underlying musculoskeletal mechanisms during Wheelchair propulsion is investigated.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