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6

        10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Flammulina velutipes var. lupinicola의 laccase 유전자를 동정하고 최적 활성 pH, 온도, 시간을 분석하고 하였다. F. velutipes var. lupinicola 유전체에서 선별된 laccase 유전자 서열을 바탕으로 구리 결합 부위 및 신호 펩타이드 분석을 수행한 결과 5종의 laccase 유전자(g1934, g1937, g2415, g2539, g5858)를 동정하였다. 5종의 선별된 laccase 유전자 크기는 1,488~1,662 bp로 확인되었고, c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14~17개의 인트론이 확인되었다. Laccase 유전자의 신호펩타이드로 예측된 절단 부위는 N-말단으로부터 20~34 bp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 velutipes var. lupinicola laccase의 활성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분리 정제를 수행하였으며, Zymogram을 수행하여 0.2 M 및 0.3 M NaCl과 1.6 M 및 1.7 M의 ammonium sulfate로 정제된 단백질에서 5개의 laccsae 활성 밴드를 확인하였다. pH, 온도 및 시간별로 분리 정제된 단백질의 최적 활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의 최적 pH는 5.5이고 최적 온도는 40 ̊C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F. velutipes var. lupinicola 유전체의 laccase 유전자 구조 및 활성에 대한 특성은 laccase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추가 연구를 통하여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eral nurses's experiences of missing patient identific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12 nurses who experienced missing patient identification in general wards in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128 statements, 4 themes and 13 sub-theme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derived were ‘Situations that we had not to check patient identification properly’, ‘Fear and pressure from the result of missing patient identification’, ‘Feeling guilty to the results of missing patient identification’and ‘Efforts to reassuring patient identificatio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the failure of patient identification, we need specialized programs to cultivate patient safety culture not only for nurses, also patients and caregivers, and all departments of hospital. We also need institutional efforts and effective hospital investment and supports for accomplishing the goal.
        4,600원
        11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study to investigate the phytochemicals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 bark of Betula schmidtii. The studies consisted of the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the isolation of phenolic components 1~3 from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Betula schmidtii Bark.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arbutin (1), ρ-coumaric acid (2) and ferulic acid (3) using Ultraviolet-Visible (UV-Vis) Spectrophotometer,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negative ion mode),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13C-NMR, 1H-1H Correlation Spectroscopy (COSY) and 1H-13C Hetero Nuclear Multiple Quantum Correlation (HMQC) spectral data. Compounds 1~3 shows the anti-oxidant effect with IC50 values of 29.74±1.52, 21.32±1.07 and 34.41±1.24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Also, compounds 1~3 exhibit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31.14±1.07, 42.54±1.46 and 69.22±1.43 μM, respectively.
        4,000원
        11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utilize Malus pruniforia Borkh. as a functional material, cold-water (CW), hot-water (HW), and 70% ethanol (EtOH) extracts were prepared,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HW extract evaluated b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HW extract was also higher by 15.5±0.7 mg GAE/g extract compared to other extracts. The EtOH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TNF-α (39.8%), IL-6 (65.5%), and NO (34.9%) levels in RAW 264.7 cells compared to the LPS-induced control group. The levels of IL-6 (21.1%) and IL-8 (19.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EtOH extract in HaCaT keratinocytes induced with TNF-α and IFN-γ. The UHPLC-M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tOH extract might have chlorogenic acid and phlorizin as the major compounds. This was validated using HPLC-DAD, which showed that the EtOH extract had higher levels of chlorogenic acid and phlorizin (1,185±58 and 470±10 μg/g extract,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OH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W and HW extracts, and chlorogenic acid and phlorizin could be used as indicator compounds and functional substances.
        4,000원
        11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혈통 정보가 검증된 송아지의 경우 부모로부터 전달받은 유전능력을 통해 비육 후 출하 시에 우수한 도체 성적을 나타낼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고, 이를 근거로 경매 시장에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친자확인 사업을 통해 과학적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경남 ‘ㄱ’지역 송아지를 대상으로 친자확인을 실시한 결과와 송아지의 경매 낙찰가 자료를 활용하여, 친자확인이 송아지 경매 낙찰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4년 친자 일치율이 64.6%였으나 6년간 지속적인 친자확인을 통해 2019년도에는 91.4%로 친자 일치율이 26.8%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경남 ‘ㄱ’지역 농가의 혈통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한우의 자연적 개량이 이루어지는데 친자확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또한 친자확인 일치 여부에 따른 송아지 경매 낙찰가의 경우 친자 일치된 송아지가 불일치된 송아지에 비해 경매 낙찰가가 약 34만원 높게 낙찰 되었고, 친자 일치된 송아지 내 성별에 따라 수송아지와 암송아지가 친자 불일치된 송아지 보다 각각 약 37만원, 22만원 높은 가격에 낙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와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추후 농장별 계획 교배와 정확한 혈통관리를 통한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수익에 긍정적인 효과와 지역 단위로 지속적인 친자확인의 관리가 한우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