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10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southern Kyushu, dwarf variety of late-heading type (DL) napier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ach) has utilized for the rotational grazing in 4 months of hot summer period by Japanese-Black (JB) beef cows for 6 years in 2002-2007.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of feeding system of DL napiergrass with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 grazed by the standard herd of JB beef cows in breeding beef farmers. Grazing DL napiergrass pasture was established totally at 0.66 ㏊ with 5 paddocks (0.132 ㏊ each) in 2006. Oversowing of IR was imposed into the inter-row of DL napiergrass on December 8, 2007. Grazing for IR and DL napiergrass pastures was carried out in 30 and 71 days, respectively. Daily gain of beef cows for the grazing on DL napiergrass was averaged at 0.23 ㎏ head?¹ day?¹, and carrying capacity was calculated at 891 CD ㏊?¹. The results revealed that DL napiergrass with IR pasture should fit to the rotational grazing with maintaining the liveweight of grazing beef cows for 4.5 months, and it can be proposed for the sustainable and low-cost feeding system to smallholder farmers in this area.
        10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alking distance and eating time of Holstein (HF) and Brown-Swiss (BS) cows on the temperate pasture were measured on two dairy farms (A and B) in June, August and October to compare the foraging activit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 and voice recorder. The cows on A farm were supplemented concentrate and com silage about 43% of daily dry matter intake and the cows on B farm were supplemented concentrate about 23% of daily dry matter intake. The cows in both farms were grazed in daytime and night except for October in the A farm when the cows were kept in the bam during the n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distance between HF and BS in the A farm, however the walking distance of BS tended to be longer than HF in the B farm. Eating and ruminating time of the cows in the A farm did not differ between HF and BS. However, eating time of the cows in the B farm was higher in BS than in HF.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aging activity of dairy cows on the temperate pasture differ between HF and BS, and is also affected by amount of supplement.
        10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ws parity and calving seasons on the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e herd of Korean native cows raised under the same condition. With the parity of the cows ranged 1 to 4 (mean: 1.9),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parity and calving interval (p<0.05). Calving interval of the primiparous cows group was 395.0 16.5 days, which was the longest calving interval among the four groups. On the other hand, calving interval of the second parity group was 333.7 3.6 days. The primiparous cows had tendencies that long interval from calving to conception and small number of service per conception rela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multiparous cows. In the case of calving season, the interval from calving to first service was short in summer and winter relatively. The interval from calving to conception in summer was the shortest in four seasons. The number of service per conception was larger in spring and winter and smaller in summer and autumn. Calving in spring showed delayed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calving in summer showed desirable reproductive performance.
        3,000원
        10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능력 유우 공란우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체내 수정란 생산을 위한 다배란 처리의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다배란 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란우의 다배란 처리는 발정 주기 일째 POLLTROPIN-V(Vetrepharm, Canada) 400mg NIH-FSH-P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감량법에 따라서 주사를 하였다. 호르몬 주사 6, 7회 째 황체 융해 및 발정 유도를 위하여 (
        4,000원
        10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위 보호 choline의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기초사료 첨가구(T1), 기초사료 +23 g/일 보호처리를 하지 않은 choline과 부형제 첨가구(T2) 및 기초사료+ 25.56 g/일 보호 choline 첨가구(T3)의 3처리로 하였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in vitro 배양액의 pH에 미치는 영향은 3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4,000원
        10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ult that in-vivo or in-vitro embryos of Hanwoo cows were transferred to Holstein cows. Seventeen Hanwoo cows were used as donors for production of in-vivo embryos and fresh hanwoo in-vivo embryos were transferred to 1,150 Holsteins. And 2 embryos were transferred to 188 Holstein recipients to produce twin calves. Diagnosis on pregnancy was performed by rectal palpation at days after transfer. The pregnancy rate of Holstein recipients was 55.8% after transfer with Hanwoo in-vivo embryos and 38.2% after transfer with Hanwoo in-vitro embryos. The delivery rate of pregnant Holstein recipients was 88.4% after transfer with Hanwoo in-vivo embryos and 75.6% after transfer with Hanwoo in-vitro embryos. The rate of delivery of Holstein recipients transferred with two Hanwoo embryos was 36.2% and the rate of twin production was 25.9%. The rate of twin production by embryo transfer with in-vivo embryos was 30.4%, whereas the fate with in-vitro embryos was 15.6%. The pregnancy rate according to the grade of corpus luteum of Holstein recipients transferred with Hanwoo in-vitro embryos was 41.5 and 36.0% for A and B grade,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 according to the transfer in site in the uterine lumen of recipients was 40.9 and 32.7% for anterior and middle site,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 according to day of embryo transfer after estrus of recipients was 45.5, 38.8 and 39.7% for day 6, day 7 and day 8, respectively. There was difference of pregnancy rate according embryo transfer technician () individual dairy farm (). These results are supposed to indicate that the rate of pregnancy after transfer with Hanwoo embryos to Holstein recipients was similar to that within the same breed, and consequently that this method would be beneficial to enhance the productivity in Hanwoo reproduction.
        4,000원
        10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ity and region on the live body charateristics of Hanwoo cows. The data used were logissimus muscle area (LMAU), back fat thickness (BFTU), marbling score (MSU), and p8 point fat thickness (P8 FTU), by ultrasound from 1,239 heads of hi-lok branded Hanwoo cows. Based upon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LMAU, BFTU, MSU and P8 FTU were significantly high in Hanwoo cows in Hwacheon area. Live body characteristics were increased with the parity, however estimated value tended to decreased after sixth parturition. Also, comparative of pre or after parturiti- on on the live body characteristics, pre parturition value showed little lower than after parturition
        4,000원
        10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을 병용 투여하거나 progesterone을 단독 투여하는 경우에 처리기간별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 CIDR에 estradiol 캡슐을 부착시킨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투여군(PE군) 및 CIDR에서 estradiol 캡슐을 제거한 progesterone 단독 투여군(P군)로 구분하여, 인공수정 후 14일째에
        3,000원
        10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 경산우와 미경산우의 다양한 발정 행동 특성과 배란 시간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된 89두 중 73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61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다양한 발정 행동은 투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시험)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경산우의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새 맡기, 턱 비빔, 승가 및 승가 허용에서 각각 81%, 78%, 78% 및 56%로 나타
        4,000원
        11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Holstein 유우 78두로부터 분만 후 9주까지 1주 간격으로 혈액과 우유를 채취하여 cholesterol, glucose, 광물질(selenium, Ca, p), vitamin E 및 혈장내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이들 성분의 변화와 성분간의 상관 관계 및 변화 요인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 후 9주까지의 각 성분별 평균 수준은 혈액에서 cholesterol, glucose, selenium,
        4,000원
        11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번식 효율 증진을 위해 BCS, BUN과 발정 발현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공시된 홀스타인 젖소 51두 중 37두에서 배란 및 28두에서 발정 발현을 확인하였다. 발정 유기율에서 BCS 와 인 우군에서는 각각 78.9% 및 73.9%인 반면 2.0 미만인 우군에서는 55.6%로 유의적인(p<0.05)차이를 보였으며, 발정 발현율과 승가 허용율에서도 BCS 인 우군에서 각각 73.3% 및 46.7%이고 BCS 인 우군은 각각 88.2% 및 6
        4,000원
        11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의 발정 행동 징후에 따라 배란 시간을 예측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발정의 다양한 행동 징후(승가, 승가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시된 51두 중 37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28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발정 행동 징후는 주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
        4,000원
        11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50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및 대조구 각각 25두씩을 공시하였고 분만후 20일째에 1회에 한하여 Bacteroids helcogenes와 Fusobacterium varium으로부터 분리한 LPS 을 PBS 용액 35 ml에 희석하여 수정란 이식용
        4,000원
        11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자궁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와 전문 경영체 농장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중 분만 후 12시간이 경과하여도 태반이 배출되지 않았던 후산정체우 33두를 대상으로 LPS 구, LPS 구 및 대조구 각각 11두씩을 공시하였으며 분만 후 20일째에 대조구는 PBS를, 처치구는 LPS를 자궁내에 주입하여 분만 후 4
        4,000원
        115.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우 사육 농가에서 배란동기화법(OVSYNCH)의 활용시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우의 정상 번식우(15/23, 65%)와 번식 장애우(5/10, 50%)의 수태율 비교에서는 정상번식우가 수태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우 경산우의 산유량에 따른 수태율 비교에서는 1일 산유량이 30~35 kg 이상인 유우군에서 배란동기화 처리시 20~25kg인 유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다(p<0.05). 또한 유우 경산우의 산차수에 따른 수태율 비교에서는 1산차의 시험우군이 3산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지만(p<0.05) 산차수 증가에 따른 수태율은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배란동기화 방법을 유우의 다두사육 농가에서 실제로 이용할 경우, 우유 생산이 가능한 정상번식우에서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1일 산유량이 많은 유우에서 높은 수태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개선된 배란동기화법을 이용한다면 호르몬 불균형으로 초래된 번식 장애우의 번식 능력 회복과 함께 향상된 수태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농가에서도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3,000원
        116.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의 이상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1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Ⅰ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Ⅱ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를 가진 개체와 비교해 보면, 황체기가 연장된 소들의 분만 후 100일 이내의 인공수정 공시율, 수태율과 임신율은 더 낮고(각각 84.2 대 40.0%; p<0.01, 24.0 대 21.4%, 20.2 대 11.1%) 분만 후 첫 수정 일수와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2.79 대 105.7±7.48일; p<0.01, 105.1±7.16 대 133.7±11.17일). 정상우와 무배란우를 비교해 보면, 100일 이내의 수태율과 임신율이 낮고(각각 24.0 대 20.0%, 20.2 대 16.3%) 분만 후 첫 수정 일수과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2.79 대 72.6±4.45일, 105.1±7.16 대 120.8±12.33일). 결론적으로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인 난소 주기는 인공수정 공시율, 임신율, 첫 수정 일수와 공태 기간을 포함하는 번식 성적의 저하를 유발시킨다.
        4,000원
        117.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 난소 주기 재개와 PUN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
        4,000원
        118.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LPS)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12시간이 경과하여도 후산이 배출되지 않은 홀스타인 개체 33두 및 대조구 12두에 대하여 분만후 20일째에 LPS 100 g을 자궁 내에 주입한 다음 7일후에 발정이 발현되었을 때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첫 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대조구의 경우 공시한 12두가 모두 첫 수정에 의해 수태가 되지 않았고 처리구는 33두중 11두가 수태되어 33.3%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분만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각각 149.6±34.3일 및 53.0±12.5일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태당 종부 횟수는 각각 3.6±0.8회 및 2.1±0.3회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