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6

        10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동결지수와 동결깊이 산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LTPP-SPS(Long Term Pavement Performance- Specific Pavement Study)구간의 대기온도와 포장체 깊이별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결지수와 동결깊이를 산정하였으며, 기존 계산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동결깊이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 구간들의 인근 측후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도별 동결지수 추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지구온난화에 의해 1987년 이후에는 동결지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현재 도로설계 시 적용되고 있는 동결지수가 과하게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동결지수 산정 시 현행 30년 데이터를 토대로 산정하기보다 기후가 변화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추이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LTPP-SPS 구간에서 측정된 포장체 깊이별 온도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동상방지층이 설계되어 있는 3개구간에서 대체적으로 보조기층까지만 동결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동상방지층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측정된 동결깊이와 계산식을 통해 산정된 동결깊이를 비교한 결과, 노상동결관입허용법을 이용한 설계방법이 실제 측정된 동결깊이와 가장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08.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now melting system by electric heating wires which is adopted in this research is a part of road facilities to keep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ad higher than freezing point of water for melting the snow accumulated on it. The electric heating wires are buried under paved road at a certain depth and operated automatically and manually. Design theory, amount of heating, and installation standard vary according to economic situation, weather condition, installation place and each country applying the system. A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ing out the appropriate range of required heat capacity and installation depth and pitch for solving snowdrifts and freezing problems with minimum electric power consump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under the ambient air temperature(-2℃, -5℃), the pitches of the electric heating wires(200 mm, 300 mm), heating value(250 W/m2, 300 W/m2, 350 W/m2).
        4,000원
        11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previous studies, we reported that sow which was transferred OPS-freezing embryos not able to deliver a piglet (Kim et al, 200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gilt as recipients which produce piglets after transfer of OPS-freezing embryos. All transferred embryos were prepared by in vitro production (IVP) system. In vitro culture (IVC) medium used glucose-free NCSU23 supplemented with 5mM sodium pyruvate, 0.5 mM sodium lactate and 4 mg/ml bovine serum albumin for 2 days at . From day 3 of IVC, 10% fetal bovine serum albumi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In preparing of freezing embryos, embryos were treated with 7.5 cytochalasin-B for 30 min and centrifuged at for 13 min. And then, embryos were exposed sequentially to an ethylene glycol (EG) solution, aspirated into open pulled straw (OPS), and plunged or thawed into the liquid nitrogen. In embryo transfer (ET), we used two kinds of type (surgical method vs. non-surgical method). In surgical method of embryo transfer, embryo were transferred in both uterine horn of two recipient gilts by plastic straw. Non-surgical method which is like artificial insemination was performed on three gilts. Each 140 frozen embryos were transferred to two gilts and 40 fresh embryos to one gilt. Pregnancy establishment was shown one recipient at 45 days after ET. However, the one recipient was also aborted at 58 days after 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lts can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of recipients for OPS-freezing embryo transfer.
        4,000원
        11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slow freezing with that of vitrification method for the cryopreservation of human embryos. Human embryos were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o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and the mixed solution of propanedial (1.5, 1.0, 0.5M PROH) and sucrose (0.1M), ethylene glycol (7.5, 15%), dimethyl sulfoxide (7.5, 15% DMSO), sucrose (0.5, 1.0M) and SPS (Serum Protein Substitute) was used for a cryoprotectant for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solution, respectively. Rates of recovery after thawing, morphological normality, post-thaw viability, arrest, morphological abnormality and preimplantation development were compared between two protocols. After freezing-thawing, recovery and survial rate of slow freezing was (88.6% and 73.4%), whereas vitrification was (99.2% and 96.2%) (p<0.05). The arrest rate of slow freezing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vitrification(8.7% vs 29.9%) (p<0.05). Preimplantation development to the 2-cell (83.8% vs 67.7%), 4-cell (69.0% vs 47.2%) and 8-cell (62.4% vs 37.8%) stages 24, 48 and 72 h after thawing, respectively, were higher in the slow freezing than the vitrification. After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of human embryo at 2-8cell stage, the rate of recovery rate, survival rate and partial damage rate were 92.0% vs 100%, 80.4% vs 96.2% and 52.2% vs 19.0%, respectively. And partial damag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low freezing method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 slow freezing using PROH is more efficient than a vitrification for cryopreserving the human zygotes, although the vitrification yielded better recovery, survival and partial damage of frozen-thawed 2-8 cell stage embryos than slow freezing method.
        4,000원
        11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on developmental competence of Hanwoo embryos cultured in vitro according to culture conditions and freezing methods. The in vitro developmental competence to blastocyst stage at Day 8 of culture in SOF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CR1aa (30.3% vs. 18.4%). The in vitro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s cultured in group cultur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individual culture (41.4% and 36.0% vs. 21.1% and 10.5%, respectively). The cell number of Day 8 blastocysts in group cultur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the individual culture (,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balstocysts that were exposed in 1.5 M ethylene glycol or 1.5 M ethylene glycol containing 0.1 M sucrose were 77.5% and 78.7%,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of blastocysts cultured for 48 h in slow freezing and vitrif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73.3 and 74.0%). In conclusion, in vitro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embryos was influenced on the culture medium (SOF) and culture method (Group culture).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of bovine embryos was not influenced on freezing solutions and freezing methods.
        4,000원
        11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나무의 휴면 정도에 따른 내동성을 비교하고자 '부유', '상서조생', '서촌조생', 갑주백목', '청도반시' 등의 1년생 가지를 1월 20일, 2월 20일, 3월 20일에 각각 채취하여 -5, -10, -15, -20, -25 및 -30℃ 등으로 처리한 후 전해질 누출률, TTC 검정 및 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전해질 누출률은 1월 20일의 가지에서 가장 낮았고, 3월 20일의 가지에서 가장 높았다. '부유'라 '청도반시' 가지의 전해질 누출률은 1월 20일에서 높았고 2월 20일에는 낮았으며, '상서조생'과 '서촌조생'은 반대의 경향이었고, '갑주백목'은 중간 정도 수준이었다. TTC 검정을 통한 흡광률은 1월 20일의 가지에서 가장 높았고, 2월 20일과 3월 20일의 가지에서는 낮았다. '부유'와 '상서조생' 가지의 흡광률은 1월 20일과 3월 20일에서 낮고 2월 20일에서는 높은 경향이었다. '서촌조생'과 '갑주백목'의 가지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높은 수준이었다. 눈의 발아율은 2월 20일의 가지에서 가장 높았고 3월 20일의 가지에서 낮았다. 그리고 대부분 품종의 발아율은 휴면정도에 관계없이 -20℃ 처리에서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부유', '서촌조생' 및 '청도반시'의 가지는 휴면정도에 관계없이 비교적 높았지만 '상서조생'의 가지는 낮았다. '갑주백목'의 가지는 1월 20일에만 높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감나무의 내동성은 휴면 타파 후 가장 약하며, 떫은감과 단감 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17.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SOF(modified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와 배양 소적에서 일본 흑우의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구세포가 부착된 미성숙 난자는 각각 단독 배양조건( 소적) 및 그룹 배양 조건 ( 소적)에서 실시하였고 배양액은 TCM-199의 기본 배지에 10% FCS, 0.02IU/ml FSH와 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반포 단계로 발육한 수정란은 1.5M ethylene
        4,000원
        119.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정액의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동결시킬 수 있은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돼지정액은 3시간에 걸쳐 5℃까지 냉각 후 Straw에 봉입하고 다양한 방법 및 step에 의해 스티로폼 용기 내에 들어있는 LN2 중에서 동결하였다. 정자의 생존성은 LN2 표면으로부터 10 cm 위에서 10분간 정치 후 침적할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54.0%). Straw를 -102℃에서 10분간 정치시킨 처리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생존성이 얻어졌다(74.0%, P<0.05). 응해 방법에 따른 동결정액의 생존성 실험에서는 37℃의 융해구가 52℃ 융해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1단계 동결 방법과 3단계 동결방법으로 돼지 정액을 동결시킨 결과 정액의 일반적 특성 및 첨체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 CTC 검사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동결정액을 이용한 체외수정 결과에서는 상실배기 이상 발육율에서 1-step이 3-step보다 높은 발육율을 나타내었다(27.5 vs 14.7%, P<0.05). 본 실험의 결과 돼지정액 동결 시 -102℃에서 10분간 정치시키는 1단계 동결방법이 간편하면서 유리한 동결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120.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정자 동결시 taurine과 a-tocopherol의 첨가가 융해후 정자 성상과 정자 기능 활성산소계(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 정도 및 지질 산화(lipid peroxidation, LPO)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1차 및 2차 희석액내 taurine과 a-tocopherol이 첨가된 돼지 동결정액의 융해 후 정자 운동성 양상, 정자 생존성, 정자 기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aurine(25mM, 50mM), a-tocopherol(500㎛, 1,000㎛) 단일처리군 그리고 taurine과 a-tocopherol의 혼합처리군(25mM~500㎛, 50mM~1,000㎛)은 동결ㆍ융해 후 대조군과 비해 정자 운동성과 생존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aurine과 a-tocopherol의 혼합처리군 50mM~1,000㎛에서 HOST, 점체 반응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다. 동결ㆍ융해 정자의 ROS 발생 억제를 위한 taurine과 a-tocopherol의 모든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ㆍO₂- 발생을 유의적으로 완화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taurine 단일처리군(25mM), a-tocopherol 단일처리군(50mM,1,000㎛)과 혼합처리군(25mM~50mM,50mM~1,000㎛)은 H₂O₂의 발생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완화시켰다(P<0.05). 동결ㆍ융해 정자의 malondialdehyde의 생산은 taurine과 a-tocopherol의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돼지 정액의 동결보존시 taurine와 a-tocopherol 같은 항산화제의 처리는 ROS 발생과 LPO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에 따라 돼지 정액의 동결보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