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12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 육을 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인식, 언어와 인지의 관 계, 생태학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문제를 바라 보았다. 언어 인식의 측면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이 외국인 학습 자의 언어 인식을 고려하여 계획과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 기하였다. 비판적 언어 인식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은 단순히 어휘 의미의 해독과 이해를 넘어 사회적․문화적․이데올로기적 실천을 견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언급하였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는 인지 내용과 인지, 언어와의 관계 고찰 을 통해 지식과 정보, 현상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의 인지 활동을 들여다보았다. 외국인 학습자는 자신들의 모국어로 사고하고, 사고한 내용에 대해 한국어 표현을 찾고, 한국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이 언어 발달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함을 제기하 였다. 생태학적 관점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학습이 어휘력 신 장의 미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언어적 환경에 적응하는 데 기여할 것을 주문하였다. 한자․한자어 교육이 학습자의 실제의 삶에 얼마나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는지 근접하여 들여다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한자․한자어 교육 은 외국인이 한국에서 언어생활을 영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재설계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5,500원
        12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新撰字鏡≫為一部日本的古辭書, 此書一本均保有有字書․韻書․類書的特徵, 於是具有非常獨特的體例. 而且此書本身就是俗體的寶藏 因為作 者會集了≪玉篇≫․≪一切經音義≫․≪切韻≫․≪干祿字書≫․≪正命要 錄≫以及當時在日本文人的文獻力的漢字, 并按照自己的原則類聚大量的異 體字, 附加適當的註釋. ≪新撰字鏡≫的體例受到≪干祿字書≫之類字樣書的影響, 有關異體字 均集中排列在一處當字頭, 其下用‘形‘‘形作‘, ‘同作‘, ‘同‘; 若干形同‘等的術 語, 解釋其字形之間的關係, 在下列了字釋和其他信息. "如䒫, 二形七矢 反. 上. 生山, 其味甚苦, 人能食尓, 古多. 又云加乃尓介.", "溲, 三形 作.正所牛反. 平.", " 篘, 三同. 楚尤反. 平. 篘酒. 或作醔."等. 第二個特徵就是, 字頭之間活躍性相對來強, 上下字頭緊緊聯繫的情況 頗多. 比如‘上個字頭是正字, 下面的字頭就是俗字, 再下面的字就是其古文 ‘之類的例子不難查到. 更顯著的用‘上’‘上字’‘上同作’, ‘上古文‘等的定形術語 來說明字頭間的關係. 如: "年, 奴田反. 平. 秊, 二上同字.", "河, 故歌反. 水名, 出稽山; , 上字.", , 除殄反. 止也. 履也. 趁也.; 跈, 上正作.", " , 上字俗作.", "曝, 補木反. 入. 日乾也. 曬.; , 上古文.“ 最後就是在陳述的註釋裏面, 提示字頭的不同屬性的異體字, 如正字, 俗 字, 古字, 今字等. 並且用‘上通下正‘, ‘上俗下正’等的格式闡明某字的正俗辨 認. 如: "謌, 葛羅反. 歌哥二字同.", " , 祖到反. 躁趮二形同. 不安靜也."," , 張流二反. 平. 狂也. 相欺惑也. 嚋同作.", " , 鞀鞉皷三形同作.徒刀 反. 跳如鼓而小, 持其柄搖捋之者也.", "防, 坊字同. 扶方反. 俻也. 當也."," 氣, 亦作炁. 去既反. 去. 欝也. 息也.", "㦣, 亦作寱讏二形. 于劌魚祭二反. 眠內不覺. 妄言也."," , 去玄反. 麥莖也. 槀也. 或作䅌.", ", 都礼反. 又 作觝. 抵也. 角觸也.", "蹎, 又作二形.", "劖, 躬字正字.", "矟, 所角反. 鉾也. 長一丈八尺. 槊, 上俗作.", "叨, 他榮吐高二反. 平. 食也. 殘也. 貪也. 俗作饕.", "召, 上俗作, 二正作.", "若苦, 上通, 下正.", " , 上通作."
        6,800원
        123.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에서 多義語의 의미항목 분별은 각 개념의미의 차이와 문맥을 통해 드러나 는 용법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확한 독해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습 요소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고등학교 한문Ⅰ 5종 교과서를 검토해 본 바에 의하면, 모두 다의어를 중시하여 이를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지만 다의어 한자 선정이 수의적인 경향이 있으며 다의어의 의미 항 목 용례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 ‘언어생활 한자 어휘’여서 한문독해력 신장과는 일 정한 거리가 있었다. 이러한 실태의 주요 원인은 다의어 한자 선정에 대한 일정한 기준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1) 異音異詞의 경우 2) 동일한 한자가 실사, 허사를 모두 표기하는 경우 3) 의미의 유연성이 희박한 경우 4) 빈도수가 높은 경우 등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근거로 하 여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서 다의어 한자를 선정하여 그 목록을 제시하고 다의어의 분별된 의미항목에 따른 한문 용례도 제시하였다.
        7,800원
        124.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는 세계에서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핵 심에 한자가 있다. 한자교육은 줄곧 중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 되어 왔으며, 얼마 전까지 “어문일체(語文一體)”가 주요 교육 모델로, 종합적이면 서도 기능적인 교육을 결합하여 실시함으로써 교육 중에 한자의 특성이나 말하기 중국어와 쓰기 중국어를 구분하지 않았다. 이러한 교육법의 폐단은 초기 학습단게 에서 한자학습과 말하기 듣기 교육을 함께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은 한자를 배우는 데 힘을 쏟아 말하기 듣기 교육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다. 동시에 읽고 쓰기 교육을 하는 것은 한자의 특성이나 규칙에 따라 진행되기 어렵다. 학생들의 한자습득량은 부족하여 이후에 있을 대량의 독서를 위한 기초를 쌓는 것은 불가능하다. 학생들의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장애가 되며, 그 교육 효과도 높지 않다. 본문은 초급 중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중국어와 한자의 특징을 살려, 말하기, 듣기 교육과 읽기, 쓰기 교육을 분리시켜, 말하기 듣기 교육은 그 규칙성에 따라 교육함 으로써 그 언어 상호 교제로서의 기능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두고, 한자와 어휘, 구와 편을 분리하지 않고 서로 밀접하게 연관시켜 학생들의 독해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삼아, 결국 두 영역이 상호 간의 학습에 영향을 주도록 하자는 것이다.
        4,600원
        125.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 천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자는 중화문화의 중요한 전수 매개체이자 중 화 역사문화의 살아있는 화석이요, 중화 문화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동서문화교류에 있어 한자의 사용 빈도는 날이 갈수록 더해가고 있다. 한자의 세계적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그 장점 또한 점점 더 확실해지 고 있다. 그러나 여러 복잡한 요인의 영향으로 중국인 스스로에게조차 한자 사용 의 과정 속에서 일련의 긍정적이지 않거나, 표준화되지 않거나, 잘못된 표기와 사 용들 등으로 인해 곳곳에서 이런 일들이 나타나 언어문자의 표준성과 순수성에 매우 큰 타격을 입혀 건강한 언어 문자 생활을 파괴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어 떻게 한자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사용하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한자의 우수함을 밝힐 수 있을까 하는 점은 이미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는 소재이다.
        4,500원
        126.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오픈소스 통계프로그램 중 하나인 R 중 “다중분류 변항의 논리 회귀분 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광동어 성조가 어떻게 중고 음을 거치면서 변화하여 왔는가를 살피고자하였다. 우선 열 개항의 중고음 자료 (反切上字, 反切下字, 字母, 清濁, 全次, 攝, 韻, 等, 呼, 洪細, 平水韻目, 四聲, 平仄)와 광동어 성조를 가진 한자 코퍼스 자료를 구축한 후, “다중분류 변항의 논 리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어떤 중고음 자료가 현재의 광동어 성조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중고음에서부터 현재의 광동어까지 이르는 성조의 변화 조건과 규칙을 발견 해 내었다. 분석 결과 1.중고음의 사성은 광동어 성조의 사성의 구별을 결정하였으며, 2.중 고음의 청탁음은 광동어 성조의 음양의 구분을 결정하였고, 3.중고음의 섭(攝)은 광동어의 음입(陰入)과 중입(中入)의 구분을 결정하였고, 4.중고음의 전차(全次)는 광동어 성조의 양상(陽上)과 양거(陽去)의 구분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조건의 예측 능력은 도합 0.86, 곧 이 네 항이 고자료에서 유효한 예측을 가지는 것은 86%였다. 개별 한자의 광동어 성조를 살펴았을 때, 이 네가지 항목이 가지 는 예측능력은 四聲 > 清濁 > 攝 > 全次. 순으로 강하였다. 이 연구의 가치는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전통적인 광동어 성조에 대한 견해 곧 1, 2, 4항에 대해 과학적인 실증 자료를 제공하였다. 2.섭(攝)의 광동어의 음입과 중입의 구분의 조건이 됨을 증명하였다. 3.위의 네가지 항목이 각기 다른 조건에서 서로 다른 영향의 깊이 순서를 가짐을 알아내었고, 4.R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학자들이 반복적으로 응용하여 중 고음과 성조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5.통계학연구가 어떻 게 중국어 연구에 응용될 수 있는가를 보임으로써, 현대과학의 의의에 맞는 한자 통계학이라는 분야를 구축하는데 한 걸음을 보탰다.
        10,400원
        127.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語와 漢字 語彙는 한국어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이런 漢字語와 漢字語彙는 대부분 『표준국어대사전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고, 또 여기에 수록된 어휘는 공인된 우리의 漢字語와 漢字 語彙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한국 한자어에 대한 위상이 많이 달라졌고 한자어에 대한 인식 도 변화가 있어왔다. 특히 고전번역원에서 번역한 우리 고전은 ‘고전번역DB’를 통 해 접할 수 있어 이전에는 생각할 수도 없는 양의 한자 어휘를 접할 수 있다. 대부 분 한자어를 번역하여 놓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지만 종종 한자 어휘를 그대로 노출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가 容易롭지 않을 때가 있다. 이 경우 일반인 들은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 하게 되는데, 이 사전을 통하여 충분한 해답을 구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성경에 있는 단어로 창세기 같은 어휘를 수록하고 있고, ‘愛惜’ 같은 한자어는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예문까지 소개하여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고전의 중요 어휘인 ‘創新’과 ‘情量’ 같은 어휘는 수록되어 있지 못하 다. 또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輪廓’의 의미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되지 않 았다. 이처럼 표제어가 없거나 있어도 그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문제는 바로 이런 어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져야 된다고 본다. 이를 위해 한자 어와 한자 어휘의 경계도 검토되어야 한다. 한자어와 한자 어휘의 범위와 경계, 그 세밀한 의미 같은 것은 많은 학자들이 참여하여 공론을 거치는 과정이 필요하 다고 본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으로는 먼저 중국의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중에 서 우리도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를 뽑아서 비교한다. 뽑은 한자어를 한국 한자어는 『표준국어대사전』을 통하여 살펴보고, 중국 한자어는 『漢語大詞典』, 『辭海』 『現代漢語詞典』같은 사전을 참고하여 비교 한다. 그리고 한자어의 예문은 고전번역원 의 ‘고전번역DB’에 있는 예문을 사용한다.
        6,600원
        128.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현재의 漢字 字源 교육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또한 한자 자원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자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제 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美’와 ‘力’, 두 개의 한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문 교과서와 한자 학습 서에서 제시한 자원 해설 내용을 검토하고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 현재 문자학계에서 대체적으로 인정되는 자원 해설을 따르는 경 우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美’의 자원 설명에서 현재 대체적으로 인정받는 해설인 ‘사람의 머리 위를 아름답게 장식한 것’을 제시 한 교과서나 학습서는 없었으며, 또 ‘力’의 자원 설명에서 ‘가래와 같은 농기구의 모양을 상형한 것’을 제시한 것은 몇 개 교과서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예를 통해, 한문 교과서와 한자 학습서가 여전히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를 채택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더 나아가 한자 자원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주요 문자학자들이 제시한 자원 설명의 내용을 수집하여 정리하고 또 이에 대한 현재 문자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를 요약하여 제시한 자료 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가 제작된다면, 한자 자원 교수․학 습 뿐 아니라 다방면의 한자 자원 연구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한자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한자 자원에 대한 甲骨文․金文․小篆 등의 고문자 자형 및 주요 문자학 연구자들의 견해를 수집 하고 정리한다. 둘째, 수집하고 정리한 자원 해설을 국문으로 번역하여 제시한다. 이는 특히 한 자 자원 교수․학습에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셋째, 이상에서 정리하고 번역한 기존 학자들의 해설에 대해, 현재 문자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종합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즉 기존의 여러 해설 중에서 일반 적으로 인정되는 것이 무엇인지, 한자의 形․音․義 연구와 교육에 어떠한 부분 이 필요한지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넷째, 이상의 작업을 통해 얻어진 최종 성과물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한 다. 이는 한자 자원 연구 성과를 다방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완성될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한자 자원에 대한 교수․학습, 한자학 각 분야의 연구, 經書 등 고문헌의 해석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6,900원
        129.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論文은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과 實行 方案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기 존의 漢字 語彙의 敎授․學習 方法에서 벗어나, 해당 어휘의 성격에 적합한 敎授․學習 方法을 개발할 것을 밝혔다. 言語 生活의 漢字 語彙는 주로 文法的 짜임 關係를 갖고 있는 關係語彙(構造語)를 위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漢字 語彙 敎育의 목적은 ‘文識性’을 높이 는 것이다. 이에 대한 敎授․學習 方法으로 그동안 ‘造語 活用 敎授 方法’, ‘한자 카드 놀이법’,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모두 漢字 語彙 의 짜임을 이용한 敎授․學習의 方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漢字 語彙는 類義語 群(word family)을 가장 많이 갖고 있다. 類義語 群은 어휘의 활용이나 조어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휘를 認知하는 과정과도 관련 이 있다. 따라서 類義語 群을 활용한 敎授․學習의 方法 모색과 방안이 필요하다. 한문에 사용되는 漢字 語彙는 日常 言語 生活의 語彙와 다르다. 이에는 單音節 語彙와 多音節 語彙가 있다. 일부 多音節 語彙는 일상 생활의 어휘와 일치하 나, 그 외의 경우에는 한문의 특성에서 발생한 것이 많다. 單音節 語彙는 기본뜻 과 함께 派生意, 擴張意, 引伸意 등이 있다. 이러한 것에 대한 敎授․學習의 方法으로는 六書의 字源을 위주로 한 학습으로 ‘部首 中心 指導’, ‘構造 分析’, ‘字源 活用法’, ‘字典 活用 學習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등이 있다. 言語 生活의 漢字 語彙에 대한 敎授․學習 方法에 비해서는 매우 여러 가 지 敎授․學習 方法이 개발되어 있다. 多音節 語彙에 가면 故事成語, 典故語, 假借語 등 여러 가지 어휘가 있다. 이 들 어휘의 경우는 아직 敎授․學習의 方法的인 측면에서 개발된 것이 없다. 成語, 典故, 假借의 語彙는 어휘의 형성 과정이 독특하다. 따라서 그 형성 과정에 알맞은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多音節 語彙 중 ‘壓縮性 語彙’는 ‘이야기 → 압축’을 통해서 어휘가 형성되고, 학습자는 ‘어휘 확인 → 어휘의 압축과 비유의 과정 이해 → 의미 파악’의 원리를 통해서 해당 어휘를 학습한다. ‘隱語性 語彙’는 ‘문장에서 漢字語句 截取 → 意味 變容’의 과정을 통해서 어휘가 형성되고, 학습 자는 ‘語彙 認識 → 變容 過程 理解 → 意味 把握’의 원리를 통해서 학습한다. ‘形容 語彙’는 ‘事物의 狀態 → 狀態 確認 → 口語로 표현 → 비슷한 한자의 음 으로 假借’의 과정을 통해서 어휘가 형성되고, 학습자는 ‘語彙 確認 → 語彙의 假借 過程 理解 → 대체되는 우리말의 擬聲語 또는 擬態語 確認 → 意味 把握’의 原理를 통해서 학습한다. 따라서 이러한 어휘의 형성 과정과 인식 과정에 적합한 敎授․學習 方法의 모색이 필요하다.
        6,300원
        138.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글쓰기 행위는 인간의 생리적 활동 중 하나이며, 심리 가 투사된 활동 중 하나이다. 이러한 투사활동의 생리적 기초는 글쓰기 지도라는 객관적 이유를 동반한다. 본고는 글쓰기와 생리에 관련된 신경조직, 시지각, 손의 생리, 정서생리, 응용 생리, 글쓰기의 생리적 연구 방법 등, 6개항의 문제를 본격적 으로 탐구하여 보았다.
        5,800원
        139.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룬드대학은 중국어 교육의 주요 기지이며, 중문과 전공의 초급 단계 학 생들은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10년이 넘게 『初級漢語』라는 자신들이 편찬한 교 재를 사용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스웨덴어와 중국어를 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갑급 단어와 비교해 본 결 과, 약 41%의 갑급 단어가 『初級漢語』에 보이지 않는다. 『初級漢語』의 단어가 이렇게 된 이유는 한자의 출현 순서에 따라 본문의 내용을 따라갈 뿐,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단어 등급과 한자 등급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 도 전문적인 한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한자의 규칙을 학습하 는데 매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 는데 일정 정도의 어려움이 있다. 본고는 비한자문화권 초급 단계 학생들에게 어휘와 한자를 교육하는 방법을 제 시함으로써, 향후 비한자문화권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어휘와 한자 교육에 대해 토의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5,100원
        140.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외 한자교육은 대외한어(중국어)교육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이다. 역사적인 문화적 공통성으로 인해 대외한자교육 중 일본, 한국과 같은 한자문화권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과는 다른 교육 관점과 방법을 가지고 있다. 본문은 상형 이론을 적당 히 응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하고, 형성 이론을 이용하여 한자 교육의 효율 을 증대함으로써, 공통 문화를 매개로 삼아 한자 배후에 숨겨져 있는 세 개 방면 을 분석함으로써 한자학에서 이미 이루었던 연구 성과와 대외 한자교육이 서로 결합되는 원칙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한자학의 연구 이론과 대외한자교육을 연결 시키는 과정 중에 “適度教學聯繫”을 전제로 한 것은 대외한자교재 개발에 있어 유효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대외한자교육 교재의 단점을 분석함에 있어 그 역 사와 현실적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개발될 교재 편찬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였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