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7

        12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done to understand the G x E interaction of rice blast reaction for Japonica high quality rice varieties and to observe blast pattern for high quality varieties. Twenty one percent of the total sum of squares (SST) in blast reaction data of high quality Japonica varieties is attributed to genotype (G) by environment (E) interaction variation. This portion of blast response is higher than 8~12% of G x E effect in blast severity data obtained from various ecotypes of rice varieties. Blast response scores obtained from high quality Japonica varieties group were more severely affected by environment condition than mixed groups with Japonica and Indica varieties. Interac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PCA) scores obtained from AMMI analysis for the leaf blast response implied variation of G x E interaction. Correlation analysis suggested that IPCA1 was associated with latitude, maximum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mean cloud amount. IPCA2 was associated with mean relative humidity, and IPCA3 was associated with precipitation and minimum relative humidity. Pattern analysis generated nine genotype clusters according to blast reaction over 11 regions. Collectively, the A, B, C, and D groups were susceptible to rice blast, where as the E, F, G, H, and I groups were relatively resistant to rice blast through multi-location blast nursery test.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ed genes of high quality varieties and blast scores at each test site in the level of group c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from G x E Interaction analysis.
        12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육성 벼 주요품종 중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벼 과피의 단회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동물체중 당 2.5 g, 5.0 g 및 10.0 g의 용량으로 암수 각각 10마리씩 ICR계 마우스에 1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 실험동물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부검소견 및 혈액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1. 모든 시험물질의 최대 투여가능용량인 10.0 g/kg 투여시 암수 모든 동물군의 사망 예는 관찰되지 않았고, 또한 그 이하의 시료 투여군에서도 사망동물은 없었으며, 시험물질 투여 후 나타내는 외관상의 이상증상도 확인되지 않았다. 2.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는 암수 모두에서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체중 증가가 일시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시험물질 투여군과 대조군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시료투여 14일 후 치사된 동물의 장기를 관찰한 결과, 암수 모든 실험군의 간장, 신장, 비장, 심장, 폐 및 뇌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따른 어떤 육안적 이상 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4.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 ALT와 AST 활성도가 모든시료 투여군에서 정상수치를 나타냈으며, 10.0 g/kg 1회 경구 투여한 모든 실험군의 경우에도 정상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고품질 우리 쌀인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 벼 과피 추출물을 고용량으로 투여 시에도 간 기능에 어떠한 독성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벼 과피 추출물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시험에서 상기의 일반상태,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 등에 별다른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최대투여 가능용량인 10.0 g/kg에서도 사망 예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암수 마우스에 대한 경구 LD50치는 최대 투여가능 용량인 10.0 g/kg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 오봉벼, 일품벼 및 아랑향찰벼 과피 EtOH 추출물은 투여가능 최대용량에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식품임을 확인하였고,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고용량으로도 임상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7.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eaction of 214 lines and varieties to BB korean race K1, resistance and moderately resistance was 33 varieties which were bred before in 1990, susceptible were 5 varieties (Milyang23, Dongjinbyeo, Sinseonchalbyeo, Changseongbyeo and Cheongmyeongbyeo). Among bred after in 1990 resistance appeared 58 varieties, 18 varieties were susceptible. Bred after in 2000 were 50 varieties appeared resistance and 5 varieties were susceptible (Manho, Goun, Jinbong, Josaengheugchal, and Manna). Accordingly most varieties bred in south korea seemed to possession resistance to BB korean race K1. As a result of whether or not having Xa1 gene of rice varieties by SNP marker appeared that 43 varieties and the other 10 lines and varieties have Xa1 gene. Varieties bred before in 1990 have 18 (62.1%) varieties out of 29 varieties possession Xa1 gene to showed resistance to BB korean race K1, 19 (47.5%) varieties bred in 1990~2000, 6 (12.8%) varieties (Boseogchal, Daepyong, Hanareumbyeo, Hopyeongbyeo, Jongnam, Kuman) bred after in 2000 seemed to possession Xa1 gene.
        12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색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현미 색깔이 서로 다른 품종을 재배하여 색도, 일반성분, 지방산,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 주요 화학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미의 색도 L값은 흰색 > 녹색 > 적갈색 > 흑자색의 순으로 낮았고, a값은 적갈색 > 흑자색 > 흰색 > 녹색의 순이었다. 단백질함량은 7.01~10.74% 의 범위를 나타내어 현미색에 따른 차이가 컸고 그 중 흑자색인 C3GHi계통이 가장 높았다. 지방함량은 2.6~3.3% 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1,B2 함량과 식이섬유함량은 흰색에 비하여 녹색에서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흰색은 올레산과 레놀레산의 지방산 조성비율이 비슷하였으나 흑자색은 올레산보다는 리놀레산의 비율이 높았고, 적갈색은 반대로 리놀레산 보다 올레산의 조성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Fe, Zn, Mn을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은 유색미가 흰색 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녹색이 가장 높았다.
        12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육성 흑자색미(흑진주벼, 흑남벼, C3GHi벼)와 일반미(일품벼, 추청벼, 동진벼) 품종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항혈전 항염증활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4 mg/mL농도에서 C3GHi벼와 흑진주벼 추출물이 73.25%, 50.38%의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2. 메탄올추출물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C3GHi 벼는 258.76%, 흑진주벼는 243.52%의 강한 트롬빈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약물로 사용한 아스피린보다(398%) 약하게 나타났다. 3. 공시한 흑자색미와 일반미 품종들은 COX-1과 COX-2에 대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C3GHi벼는 PD2에 대한 항염활성을 보였다. 4. H. pylori균에 의해서 나타나는 AGS cell line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흑자색미 추출물은 250ug 과 500ug 처리군에서 모두 H. pylori균의 AGS cell line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일반미 추출물은 H. pylori 균에 대한 저해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Zone assay에 의한 항균실험결과 흑자색미 추출물은 200ug/mL 의 농도에서 ATCC 43504 및 COO1 균주에 대해서 clear zone이 검출되어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SEO 균주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13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 간 이화학적 특성 및 취반특성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여 취반특성별 품종 군을 분류하고 밥맛이 좋은 품종의 취반특성 요인을 구명하여 고품질 품종이 갖는 미질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고품질 품종육성 및 품종선발의 지표로 삼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도는 대야벼, 호평벼, 고시히까리가 높았고 현미의 경도는 일품벼가 낮았으며 신동진벼가 가장 높았다. 2. 호화점도 특성중 호평벼와 고시히까리는 대야, 호안벼에 비하여 강하점도가 높고 치반점도, 응집점도가 낮았으며 특히 고시히까리는 최고점도, 강하점도가 매우 높은 반면 치반점도와 응집점도가 낮았다. 반면 일품, 운광벼는 다른 품종보다 강하점도는 낮고 치반점도가 높았다. 3. 품종별 물성 요인에서는 밥알의 경도는 호평벼가 다른 품종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응집성이 높았다 반면 점성 및 부착성, 균형도는 고시히까리가 높았다. 4. 밥맛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계적 식미치 검정에서는 대야벼 호안벼가 낮고 일품벼, 운광벼가 높았다.
        131.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assess antioxidant capacity in relation to seed traits of rice (Oryza sativa L.), ninety-six varieties were examin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brown rice grain using superoxide dismutase (SO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thiobarbituric acid (TBA) assays. Overall, average total activities measured by the three methods were of very wide range between 64% and 1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evaluation method. Rice varieties with foreign origin, middle maturity, colored hulls, and colorless aw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otal activity. As for the measurements, tot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D (r=0.29***), DPPH (r=0.80***) and TBA (r=0.76***). Between the three activities, SOD was not positively correlated with DPPH (r=0.15*), while TB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PPH value (r=0.51***). DPPH (55.20%) and TBA (50.36%)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oreign rice, while SOD activity (44.29%)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omestic rice. However, an average tot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oreign rice (47.31%) than in domestic rice (35.92%). SOD, DPPH and TBA activities of middle maturity in maturity time were the highest total activity (44.96%) and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other two groups. Tot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ice with a colorless awn (42.18%) than with a colored awn (35.87%).
        132.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내냉성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 벼 20개 품종을 대상으로 냉수를 수구, 중구, 배수구, 자연구로 구분 처리하여 벼의 생육 및 주요형질간의 상호관계를 검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냉수관개가 수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냉수 처리시 자연구 대비 냉수 유입구인 수구, 중구, 배수구에서 출수지연, 간장단축, 이삭추출억제, 수장단축, 수당립수의 감소 및 임실율이 저하되었고 그 정도는 중생종이 조생종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수수의 경우는 냉수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수량의 경우 수장과 수당립수, 임실율 등 sink의 크기가 감소하여 수량의 감수를 가져왔다. 간장과 이삭 추출도와의 관계를 보면 간장과 이삭 추출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품종에 따른 수량과 타형질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간장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r=0.6954**), 임실비율과도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r=0.5797**). 또한 추출도와도 유의상관이 인정되었으며(r=0.5066*) 출수기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r=-0.4826*). 적고정도는 조생종의 경우 유묘기에는 금오벼를 제외한 모든 품종이 1~3의 범위에 있어 강한 편이었으나 분열기에는 3~5정도로 다소 약해졌으며 중생종의 경우 유묘기에는 약한 경향이었고 분얼기에는 다소 강하게 나타났다. 수량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주요품종이 모두 냉수처리 시 이삭당 영화수, 등숙비율, 천립중이수구〉배수구〉중구〉자연구 순으로 감소하였고, 등숙비율의 경우 타형질에 비해 감소폭이 현저하였다. 수구로부터 거리에 따른 수량의 구성요소와 수량의 감소는 공시품종 모두 수구에서 수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중구와 배수구로 갈수록 감소의 폭은 적은 경향이었다. '소백벼'와 '오대벼'가 '상미벼'와 '조령벼'에 비해서 수량의 감소는 더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냉수처리 시 중산간지 주요 품종의 현미품질은 수구에 가까울수록 청미 발생율이 증가하였으나, 사미 등의 경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13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자포니카 44품종의 쌀과 밥의 향 패턴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미 44품종의 향은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결과 만금, 남평 ,신동진쌀이 한 그룹으로, 대진, 추청쌀이 또 다른 그룹 분류되어 나머지 39품종 쌀의 향과는 구분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밥의 향은 분석결과 44품종들이 제1주성분 값 -8에서 +6사이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며 품종간 구분은 되어지지 않았다. 3. 쌀과 밥의 향 측정에 사용된 12개의 MOS센서가 얻은 값을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쌀의 향과 밥의 향과는 서로 유의성이 없어 전자코를 이용하여 쌀시료로 취반 후 밥의 향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35.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0년대 이후 육성된 우리나라 벼품종들에 대하여 벼흰잎마름병 레이스 K1, K2, K3 및 K3a에 대한 반응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일형인 51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한 결과, 레이스 K1에 저항성 13품종, 레이스 K1과 K2에 저항성 9품종, 레이스 K1, K2, 및 K3에 저항성 1품종, 레이스 K1, K2, K3 및 K3a모두에 저항성을 보인 것은 14품종이었다. 2. 자포니카형인 158품종의 저항성 반응을 살펴 본 결과, 레이스 K1 저항성 31품종, 레이스 K1과 K2에 저항성 1품종, 레이스 K1, K2 및 K3에 저항성 28품종, 레이스 K1, K2, K3 및 K3a모두에 저항성 1품종이었다. 3. 레이스 K1, K2, K3 및 K3a에 저항성인 품종은 통일형 품종이 자포니카형 품종 보다 훨씬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