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4

        12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health care condition aggressively to urban and semi-urban seniors an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prior to treatment for better old age. A total of 200 seniors who were over the age of 65 and lived specific area of Seoul and Daeboo-island Ansan-city, from 7 September to 4 October 2012, and used self-develope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relevance analysis for oral health care demands shows that seniors from Ansan-city had higher dental prosthesis demands(the average 4.43) than seniors from Seoul(3.96)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items represented positive(+) relation in all items and same age distribution. Dental prosthesis has high correlation in every items, but fluorine treatment has low correlation relatively.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as slightly high, R=0.356(35.6%). However daily activity, oral heath care and anxiety tim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ban area and semi-urban area. Therefore, authorities need to offer oral health education.
        4,300원
        12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목적은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유교 담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작품에 나타난 유학자들의 담론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유학 담론은 외세의 부당한 개입에 맞서 물리적 대결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작품에 나타난 가장 대표적 인물은 김 훈장이다. 『토지』는 김 훈장을 통해 일제에 대해 물리적 대결을 하려는 당대 유학자들의 진정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한계를 비판하고 있다. 두 번째 유학 담론은 현실의 부정성을 비판하면서 맞서 싸우지 않고 도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학의 도(道)를 미래에까지 계승하기 위해서는 의미없는 죽음보다는 비겁하지만 목숨을 부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유학 담론은 시류에 편승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바탕으로 시류에 편승하여 엘리트로서의 역사적 과제를 무시하고 사적 이익을 취하였다. 조준구로 대표되는 이 유형의 인물들은 『토지』에서 가장 크게 비판을 받는다.
        6,100원
        12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auguration of the collective Reality and Utterance (Hyŏnsil kwa Parŏn) in 1979 and 1980 marked a watershed moment in Korean art.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collective gave birth to the politically-engaged art movement that would come to be labeled “Minjung Art” by the middle of the 80s, but also because it enthusiastically embraced a wide range of images from the urban culture.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mbers’ early work, my research explores an issue largely neglected in the dominant narrative of Minjung art as a form of activism against the authoritarian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80s. The issue is what was at stake in Reality and Utterance’s exploration of contemporary urban visual cultur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recognize the engagement with the urban visual culture as central to the group’s early project and to consider it at some distance from the anti-urban and anti-mass culture perspective which was endorsed by the Minjung narrative. Focusing on members’ turn to urban visual culture, this essay instead argues that this turn was by no means merely a means to making art as social cri-tique, but more importantly, it was an experiment with the shared image world, as opposed to the rarefid visual vocabularies of abstract modernism. Visual produc-tions such as advertisements, billboards, posters, and kitsch paintings, which come from outside the narrow confins of fin art, were definitly ominous signs of the colonization of everyday life in the capitalist city,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an-ticipated to be a catalyst for redefiningKorean art in a more communicative, acces-sible, and democratized way. In this regard, in the early 1980s—in particular 1980 and 1982—the members’ gesture oscillated between critique and embrace, which allowed the group to occupy a unique domain in the realm of Korean art production.
        6,900원
        12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3년 현재 대한민국의 교도소는 다인종. 다문화. 다양화된 교도소문화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시대의 한국사회의 구성원 및 외국인 범죄의 증가는 질적인 측면에서 외국인범죄는 국내인 범죄 못지않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제 한국은 순수단일민족이 아니며 여러 민족과 인종이 때로는 용광로처럼 한국의 문화에 동화되고 샐러드그릇처럼 민족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어울리는 다문화주의 사회이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과 더불어 외국인범죄도 사회 환경 등의 이유로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문화 시대에 부합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문화적 수용성, 수용생활만족도, 의사소통만족도와 학력변인의 조절효과 등을 측정하여 외국인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이 수용생활만족도와 사회복귀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교정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가 필요하고, 내국인수용자와 마찬가지로 외국인수용자도 한국어의 능력수준에 따라 한국인수용자에게 실시하는 검정고시제도와 방송통신고등학교 및 방송통신대학프로그램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9,300원
        126.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壯族是中國人口最多的少數民族,主要聚居在廣西、雲南和廣東。壯族傳統上使用一種以漢字為基礎的文字,民間稱為「生字」(拉丁壯文:Sawndip),學界則稱之為「方塊壯字」或「古壯字」。雖然中國政府在1955年頒佈了拉丁壯文方案,但民間一直有繼續使用方塊壯字。本文以壯族人口比較最高的廣西德保縣、靖西縣為對象,從2003年至今定期到當地進行調查,考察方塊壯字在當代壯族社會的應用範圍。本文指出方塊壯字的主要用來記錄詩歌、壯劇、宗教儀式唱詞、諺語、電影壯語配音稿等,這些範圍都與壯語口頭文化有非常密切的關係。相反,凡是與口語關係不直接的讀寫活動,當地人民幾乎都只會以漢字漢文記錄,方塊壯字與漢字之間的功能分工非常清楚。
        127.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越南接壤中国并曾受其直接统治达千年之久(111 BC – 939 AD),中国文化对越南影响巨大。其中汉字的传播及其影响十分重要,在较长的时间内,还是越南政府与民间的主要文字,是用来深入地了解儒家、道家、佛教,接受地区的精华,建设政府的制度,创造大越文化特色的工具。17 世纪,国语字出现,慢慢地替代汉字的地位。如今在越南现代社会中认汉字、通汉文的人越来越少。汉字的使用可以分成民间圈与学术圈两部分。其中民间圈包含书法、对联等越南传统习俗;而学术圈指的是研究者、教师与学习者对汉字的学习和使用。近年来在越南汉语、汉字日益增热。越南的汉语教育难题之一便是汉字的教学,据目前情况,激发学习者对汉字的兴趣,提高其汉字学习效率是关键所在。
        128.
        201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n Church is well-known as the Church which conducts missionary works. Despite the short church-history, the Korean Church has not only considerate passions and dedicated attitudes toward Mission, but also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needed to the missionary works. Thu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Korean Church stands on the rank of countri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World Mission. The Korean Church’s Mission has several distinct features, which are church-centered, Denominational Mission Department-centered sending-missionaries and then not setting up enough infra-structure. Upright Mission is accompanied by administrating and caring missionaries as well as gathering and choosing suitable people, sending and supporting them as missionaries, and making them settle in the mission field and grasping their missionary works. However, the Korean Church’s Mission is, so to speak, to be doing ‘Sending-centered Mission.’ Mission is recognized only to send missionaries and supporting their living expenses. Because of these reasons, Denominational Mission Department or Missionary Society beyond the Denomination don’t consider setting up intra-structure as the principal assignment. Currently, the Korean Church’s missionary model seems the Church-centered Mission model but, in fact, sending missionaries is carried on each church-centered events, for which primary structures and systems needed in conducting the missionary works are not equipped. Each church-centered sending-missionaries and Mission on the basis of sponsorship structure causes various problems in the choice of missionaries and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many cases, to choose missionaries and to support them is done impromptu rather than designedly. There is no long-term missionary policy to supervise, manage, and take care of missionaries. The responsibility of all the missionary works is left to the missionaries alone. In order to perform the right Mission continuously, it is not sending many missionaries but establishing and operating frames and structures to support the working missionaries systematically that is the most urgent task.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real alternative by recognizing the problems of Mission and realizing heartfelt the need of the infrastructure on Mission. After seizing pros and cons between each church-centered Mission model and Mission Society-centered Mission model, it is to search for solutions on structural problems which have been revealed in each church-centered Mission system in Korea Church now.
        8,300원
        129.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 the time of the Confederation in 1867 when Canada became a country the government made English and French the official languages, ignoring the aboriginal languages altogether, both at the federal level and in the province of Quebec. Later, when it joined the Confederation, Manitoba gave French official language status as well. But in most parts of Canada French eventually began to lose ground; Manitoba rescinded its French language policy, Ontario abolished French schools in 1912, and other provinces put restrictions on the use of French. Most immigrants learned English, especially in the western parts of Canada. More recently Canadian bilingualism has not only adopted English and French as the nation's official languages, but also allowed ethnic minorities to maintain native-language and choose English or French as second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ual language French- English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Canada.
        4,000원
        130.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문헌고찰은 지역사회의 트랜드의 변화를 IT도입의 배경과 거시적 행정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의 역동성의 나아갈 방향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헌고찰은 IT도입은 우리들의 지역사회에 관한 어떠한 대안을 내놓고 있는가? 우리는 어떠한 관점으로 이를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에 관하여 Managing IT and e-Government:the Korean Case, Moon Sinyong(2009)의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현대는 내부 및 외부적(internal & external) 개혁이 모두 필요한 시대이다. 따라서 현대의 지역사회 소비자는 단순소비자가 아니며 생산과 소비에 기여하는 프로슈머들이다. 이는 사회적비용(social cost)을 재배치하는 것이며 지역사회나 국가적 차원에서도 적극 도입되어야할 부분으로 평가받고 있는 부분이며 현대사회는 분권화(decentralization)가 중요한 사회이기도 하다. 이것은 과거의 표준화 전문화 중앙집권화에서 보다 발달된 형태로 시대의 욕구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현대사회는 탈집중화 탈대중화 되는 시기로써 더욱 개별화된 서비스가 늘어갈 것이며, 위탁의 효율성이 극대화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있어서 어떠한 점이 고려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개발과 통합 및 관리적 차원에서는 어떠한 점에 관한 논의가 선행되어 필요할 것인가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지역사회 차원의 합의도출이 필요하리라 보여진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의 역동성은 우리사회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며, 그것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있기도 하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지역의 분권화와 정보화의 개념 속에서 상기와 같은 자원들이 어떻게 수렴되고 발전해 나갈 것인가는 바로 우리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성숙도를 의미하기도 할 것이라 보여진다. 한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지방분권의 출범이, 지역사회의 고유한 비젼을 통한 변모과정과 발전에 있어 행정의 변화과정과 시대적 조류 그리고 IT도입에 관한 문제에 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며 그 안에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정보화 사회의 한 가운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사회가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다루어보았다. 따라서 향후 에는 다양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시대적 역동성이 우리 지역사회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역동성을 지니고 발전하고 있는지에 관한 보다 세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5,100원
        132.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year 2012 is the 20th anniversary year since Korea forme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China. Though Korea and China, China and Korea have exchanged their friendly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over thousands of years, the exchanges have been performed the most actively for the recent ten years. Active exchanges which are performed in the economical, cultural, and academic level beyond the field of the politic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result in the result to make both countries’ societies abundant. Furthermore such relationships between two countries are expected to play a big role in realizing the peace among Northeast Asian regions.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describe how important the meanings and roles of religions are in the societies where secularistic values dominate the society, atheistic tendencies become widespread, and the necessity of religions become weakening. The second purpose is to correct the distorted faith that the existing Christianity and the Church free the scope of their faith from the worldly or social level and reduce the faith and responsibility of the Christianity within individuals and the Church and to recover those responsibilities of the Christianity and the Church’s. In this article, the positive aspects connoted within the religions are discussed in the missionary level in the time when negative viewpoints on the social positions and roles of the religions are becoming widespread after the modern society. In the text of this article, the social roles which religions have performed are presented in three perspectives. Three perspectives are roles of the social integration, generation of the morality norms, and the recovery of the social community that contribute to maintenance of the social stability and order. Some encourage is needed to express religions in modernism and postmodern era which claims uselessness and unnecessary of the religion. To mention the meanings and roles of the religion and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missionrestricted areas, this article focuses on attempting conversations about the meanings and roles of Christianity with people who expect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society whether they are religious people or not by trying roundabout approach.
        6,300원
        13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게재된 31편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이들 논문을 연구 방법의 내용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수는 행동변화가 가장 많았고, 상지기능, 시지각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아동과 성인 및 노인이 비슷하였다. 아동 대상자는 뇌성마비와 자폐증이 가장 많았고, 성인 및 노인 대상자는 뇌졸중이 가장 많았다. 설계 형태는 반전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유지 및 일반화보고 비율은 높지 않았다.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31편의 논문 중 4편이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기술, 독립 변수에 대한 조작적정의, 분석 시 표준적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었고, 종속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설계 방법에 대한 기술과 정확한적용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재 블라인드를 수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측정자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각 구간의 적절한 수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와 중재 효과의 적절한 반복을 시행한 연구, 적절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작업치료 분야의 단일대상연구를 통한 근거 기반의 접근을 위해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134.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프라 환경이 구현되 면서 더욱 더 유연하고 빠른 적응성에 대한 요구가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IT 기술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것 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의 개막은 관련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삶에도 큰 변화 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더욱 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 대 응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즈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고령화 사회를 정의하고 변화를 분석하고 클라우드 산업 비즈니 스 모델 구성요소를 찾기 위한 시장 다이나믹스 분석을 통해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 에 영향을 주는 시니어 마켓 변화 동인을 확인하고 시니어 마켓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령층의 니즈를 분류한다. 그리고 고객니즈 변화 분석과 가치사슬분석을 하여 나온 고객니즈와 제공하는 기능을 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시니어 마켓 변 화 동인에 따른 환경변화 속에서 성장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비즈니스 모델 진화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 여 기업 상황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두고자 한다.
        4,000원
        135.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정한 사회란 사회 공동체 내에서 규범과 법칙이 존중되므로써, 사회적 정의가 실현되는 사회를 말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공정성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첫째, 우리 사회의 소득불균형이 문제되고 있다. 즉, 국민들의 소득상승은 저조하고, 가파른 물가상승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소비풍조가 증가되고 개인저축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소득균형을 위해서는 소득증대를 위한 성장정책과 복지중심의 분배정책이 동시에 필요하다. 그러므로, 도시지역의 소득증대방안과 농촌지역 및 도시빈곤층을 위한 복지중심의 분배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향후 여성 및 노인․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의 증대가 예상되므로 이들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차원에서의 보건․의료서비스, 최저생계비 지급 등 사회적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둘째, 최근 고위공직자들의 부정부패와 연이은 저축은행 비리사건으로 많은 정관계 인사들이 연루되어 구속됨으로써 국민들의 분노와 비판적 분위기가 고조되어 있다.따라서, 부정부패는 강력한 정부의 의지와 엄격한 법집행이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즉 부정부패 관련 공직자에게는 국가와 국민 전체의 입장에서 용납되어서는 아니되고, 사필규정에 의한 엄정한 처벌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셋째, 전관예우가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전직 판·검사가 새로이 변호사 개업을 하는 경우 현직판사가 그들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판결상 특혜를 베푸는 전관예우가 문제되고 있다.따라서, 전관예우 방지를 위하여는 우선적으로 전관예우 위반 자에 대하여 징계를 강화시켜야 하고, 정부공직자도 퇴임후 공직과 관련된 업무를 제한하므로써 부당한 이득을 얻는 경우, 엄정한 법적 제재는 물론 형사처벌도 고려해야 한다.넷째, 청년실업이 문제가 되고 있다. 청년실업 문제는 경기침체로 인하여 소득이 감소하고 인력 수요가 감소하게 되어 사회의 양극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청년층 실업대책은 장기적으로 신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지역산업 특성화, 교육정책의 전환으로 청년층의 노동공급을 유인하여 고용률을 제고시키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특히, 공정한 사회는 공정한 법제도의 운영과 부패없는 사회가 유지되어야 한다. 법치와 절차에 대한 존중, 편법과 변칙․탈법의 배제 등 공정한 사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엄정하고 공평한 법의 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공권력 작용의 객관성과 투명성이 요구된다.실질적 법치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 법은 국회에 의해 제정되고, 독립된 법원에 의하여 적용되며, 또 모든 행정도 법에 근거하여 집행되어야 하는 것이다.그러나, 실질적 법치주의 실현에 있어서 입법작용, 집행작용, 사법작용 등에 있어서 실질화 내지 신뢰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의회가 입법기능에 대한 역기능 문제, 법치행정의 형식적 적용문제, 및 공정하고 신속한 사법작용의 신뢰성에 다소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입법작용의 법적 절차 준수, 법치행정의 실질적 적용 및 사법작용의 신뢰성 확보 방안이 요구된다.첫째, 법률상 입법절차로써 헌법상 법치주의원리, 민주주의원리 내지 입법권의 보장과 입법의무의 준수 등이 요구된다.둘째, 법치행정의 정당성 확보를 위하여 통치행위의 축소 방안, 특별권력관계에 대한 법률유보와 기본권 보장 및 사법적 구제 방안, 행정입법의 법률유보 및 구체성, 명확성, 예견가능성 확보 등 유지, 그리고 행정계획과 행정지도에 대한 법률유보 및 사법적 구제방안 제시 등이 요구된다.셋째, 공정하고 신속한 재판권 확보 및 사면권 남용 방지 등이 요구된다. 사법절차의 적정성 확보와 국민에게 신뢰받는 사법작용의 실현이 중요하다.결국, 공정한 사회는 법과 절차에 대한 존중, 편법과 변칙․탈법의 배제 등 엄정하고 공정한 법의 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공권력 작용의 객관성과 투명성이 요구된다. 즉, 법치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국민이 주권자로서 제정한 자유민주주의 헌법이 존재하고 권력분립제도하에서 입법작용과 행정작용, 그리고 사법작용의 절차적 민주화로 인하여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민주주의에로의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36.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n Churches have reached today’s phase with joining the pain of the people and leading the Korean society. Then it has to be join today’s Korean society, it is required the answer for solve the problems of the society. In this regard, I think the Missiological Approaching for the problems of stress that they are a big problem on mental health is very necessary situation in today’s Korean Society. The Korean Churches had tried to approach through Pastoral Counseling so far but this trying was negligible. The Korean Churches could not answer about the problems of stress comparable with various another society groups in Korea. So we need to try the formated character of the Korean Churches from the early days of mission in Korea, connect with the stress treatments. If we investigated deeply about the stress treatments are exhibi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e can find that the Korean Churches have a lot of possibilities which could approach to the stress treatments. Actually, the Korean Churches have possibilities on a lot of parts. So I arrange the ‘linkage possibilities’ of the character of the Korean Churches and the treatment of stress. As follows; 1. Tradition of ‘Faith which emphasizes the Church’ and ‘Regular Lifestyle’ 2. Tradition of ‘Biblical Christianity’ and ‘Actively and troubleshooting type Response’ 3. Tradition of ‘Spiritual Movement for example prayer movement’ and ‘Relaxation therapy’ 4. Tradition of ‘Independent – Faith’ and ‘Time Management’ If we would missional approach to these linkage possibilities, we could contribute for treatment for stress which is a big problem in Korean society. Actually, the Korean Churches have lead for solve the problems of the Korean society, have concluded fruition of various healing ministry through the ability of the Holy Spirit. Now the Korean Churches have to approach with concern about the way of heal for the problems of stress, and if would approach through the tradition of the Korean Churches we can expect a lot of good fruits from this approaching.
        6,400원
        13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SAE) celebrates its First 50 years history this year, 2011. It began in the year 1962, as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rotection (KSPP) to discuss all aspects of plant protection including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At that time it was one of the earliest scientific ones among agricultural societies in Korea. Befor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re were a few scientific societies for Japanese scientists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It seemed that there was a single exception, in medical field, formed by and operated for Korean ethnics. Right after the liberation, Korean scientists rushed to form new scientific societies in the fields of mechanical engineering, architecture, textile, internal medicine, biology, etc. in 1945, mathematics, chemistry, metallurgy, etc. in 1946, and so on. But agricultural scientists had to wait for more time before setting up their own scientific society, Korean Agricultural Society(韓國農學會), comprising all agricultural subfields, in 1954. They had annual meetings and published their own journal every year until 1962. Then those working in the plant protection field established their own KSPP, right after their section meeting in 1962. At that time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for KSPP were only around 50. KSPP scientists were interested in plant pathology, agricultural chemicals, weed science, or bioclimate, besides entomology. They had annual meetings once or twice a year until 1987 and published their own journal, Korean Journal of Plant Protection (KJPP), once a year at the earlier years but soon gradually increasing the frequency to four times a year later. Articles on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occupied about 40% each, but the number of oral or posters were a little bit higher on plant pathology than entomology, with the rest on nematology, agricultural chemicals, or soil microarthropods. There also had a number of symposia and special lectures. The presidentship lasted for two years and most of president served only one term, except for the first two. The current president should be 28<, SUP>, th<, /SUP>, .
        5,500원
        138.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들은 대체적으로 어떤 사상이 그의 의식영역에 주입되었느냐에 따라서 그 사상에 의해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들의 의식영역에 어떤 사상이 선점해 있음으로 해서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는 기독교가 들어온 지 약 200년쯤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유일신 사상으로 인해 타 종교와의 많은 종교적 갈등을 가져왔다. 적은 범위로는 각 가정에서 제사나 장례절차 등에 있어서 가족 간 종교차이로 많은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으며 아울러 사회적으로는 타 종교를 음해하는 사건들이 비일 비재하다. 본인은 지금까지 본인 스스로 관심을 가져온 인간들의 의식영역의 관념적 선점권과 진실·진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독교가 중세 유럽의 중심사상이 된 역사적 과정, 기독교가 내세 중심사상으로 흐르면서 유럽 문화에 끼친 영향, 중세 기독교사상의 분열과정과 근대사회의 출현문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중세 기독교 교리 타파 과정이 바로 근대화로 가는 지름길이었음을 음미함으로서 인간들에게 지배하는 진리관은 단지 그것이 절대적 진리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진리라고 믿는 착시현상에서 오는 것임을 밝히고, 아울러 본인이 믿는 종교를 강조하다보니 타 종교와의 갈등관계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함으로서, 나아가 집안에서나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종교적 갈등관계를 줄여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을 쓰는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서양에서 기독교가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AD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과 AD392년 데우도시우스 왕의 기독교를 국교화했기 때문이었다. 기독교는 중세에 이르러서는 내세중심사상으로 흘렀으며 그러다 보니 아이러니 하게도 중세는 암흑세계가 되었던 것이다. 암흑세계에서 탈출하여 근대 민주주의나 자본주의로 흐를 수 있었던 것은 단지 기독교 교리 타파에 의해서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재음미해 볼 때 인간들은 어떤 종교나 사상이 절대적인 것이라고 믿는 것은 그 종교나 진리가 옳아서 라기 보다는 단지 그것이 도그마화 하여 자신의 의식 영역을 선점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다시 한 번 숙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랬을 때 타인의 종교를 인정하게 되고 그럴 때 이 사회는 종교 분쟁과 같은 사회적 갈등을 가져오지 않고 더 밝은 사회가 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
        5,400원
        13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wadays, our industries and occupation are increased under the economy development of government. So, this paper introduce to compare with coefficient's of correlation on the time series of the education and the qualification in our country. For this reason, the decision making to qualifications' foresight which will be change to the education category-prospective on the time series. The qualification has claasified 5 degrees-master craftsman, professional engineer, engineer, technician(or industrial engineer), craftsman - and 516 qualification items. Education has classified to 4 degrees(7 degrees) - elementary, middle, high, high scholastic level school(college, university, graduation). This paper has matched to educational classification and qualification classification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We defined the same level betwee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after analysed correlation under the time series, so the craftsman equals high school graduation people, technician equals college graduation people, engineer quals university graduation people, now we could not analyse master and professional levels. This paper will suggest to the qualification's future policy direction and improve the education policy direction.
        4,000원
        14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영문 주제어 분석을 통해 MeSH 용어와의 일치도를 알아보고 다빈도 영문 주제어와 MeSH 용어와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MeSH 용어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창간호인 1993년 1권 1호에서부터 2010년 18권 4호까지의 논문 346편의 영문 주제어 1,225개를 대상으로 영문 주제어의 특성과 MeSH 용어와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일치도는 완전일치, 부분일치(입력용어, 단복수 오류, 전후방일치, 약어사용), 불일치로 분류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 MeSH 용어와 완전히 일치한 영문 주제어는 평균 20.8%, 부분일치한 경우는 30.8%, MeSH 용어와 불일치한 영문 주제어는 48.4%로 나타났다. MeSH 용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영문 주제어는‘Stroke’, ‘Occupational therapy’,‘ Cerebral palsy’순으로나타났으며, 부분일치의한형태인입력용어(entry term) 중가 장 많이 사용한 주제어는 Dysphagia와 Assistive technology였다. MeSH 용어와 완전 불일치 영문 주제어 중 가장많이사용된것은‘Occupational therapist’‘, Hand function’‘, Unilateral neglect’로나타났다. 결론 : 대한작업치료학회지가 유명 MEDLINE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하며, 근거중심의 체계적 논문고찰을 위해서도 영문 주제어를 선택할 때 MeSH 용어의 사용을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논문 투고시 논문저자들이 MeSH 용어를 사용하여 영문 주제어를 선택, 확인하도록 투고규정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하여 MeSH 용어를 기본으로 한 작업치료 용어들에 대한 주제어집을 발간할 필요가 있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