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6

        14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고속도로건설현장(37개), 인천공항건설현장(12개), 철도건설현장(10개), 광역지자체건설현장(14개), 국도건설현장(2개) 등 75개 건설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현장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630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622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 조직시민행동과 종업원몰입과 정(+)의 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과 종업원몰입과 정(+)의 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현장소장의 진성리더십과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 사이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조직후원인식은 현장직원들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에 영향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내에서 절대적 권한을 갖고 있는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의 영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과 매개변수로써 조직후원인식의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800원
        14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 surroundings of Fire have rapidly changed and citizens need for Fire have been demanding very high. Under these situations, in order for satisfaction to all these demands,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have made improvements as the core fire operational center in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so many problems happening in the middle of receiving calls from malice citizens of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current operations focused on fire fighters in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and to cope with how to overcome these problem by using AMOS 21 & SPSS Statistics 21.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how we can find to be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running well. And This study is applied to seoul fire policies or helped to setting them up.
        4,500원
        143.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리더십 유형이 그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문화에 따라 선호되는 내재적 리더십 이론(culturally endorsed implicit leadership theory)을 기반으로 문화적 차이에 따른 리더십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하나의 새로운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Bass(1985)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리더십 유형 사이에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House(1996)는 종업원들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에 거래적 리더십은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제안하 며 Bass(1985)의 주장에 반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 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 종업원 315명과 미국 종업원 181명을 그들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도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네 집단 중 자신의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높다고 느끼는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미국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은 높고 거래적 리더십이 낮다고 느끼는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좀 더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 십의 다양한 하위차원들 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 종업원들에 대한 분석결과는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도에 대해 그러한 하위차원들은 대부분이 상호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미국 종업원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하위차원들 간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이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라 관리자들이 어떻 게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7,700원
        14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술의 급속한 발전, 글로벌화된 시장 및 사회환경은 기업들에게 전통적 관료제에서 강조해 온 효율성 뿐만 아니라 혁신과 품질에 대한 경쟁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료제를 넘어서 참여, 평등, 협동의 원리가 강조되는 공동체주의적(communitarian) 기업모델이 등장하면서 인사관리 또한 통제중심에서 몰 입지향 인사관리(commitment oriented HRM)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체주의적 기 업의 구조적 특성 파악의 일환으로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장패널조사(WPS2011) 자료를 토대로 하여 우 리나라의 인사관리 및 노사관계에서 사업장내 인사이슈에 대한 근로자참여(즉,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조 직의사소통 (참여)의 관계와 이들 활동이 혁신에 어떻게 영향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첫째 몰입 지향 인사관리특성을 갖춘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소통이 모두 활발히 이루어지는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혁신활동 및 성과의 관계는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 소통 모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는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의 주요 목적이자 가치인 사회적 효용(social utility)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향 및 하향의 조직의사소통 방향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근로자간 (수평) 의사소통의 질이 모두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회, 기업 및 사업장 차원(단위)에서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가 토착화되기 위하여 향후연 구에서는 인사 및 노사이슈에 대한 인사부서와 근로자대표기구 및 근로자의 (모범적인) 역할관계의 정립 과 그에 관한 다양한 실증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5,500원
        14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경영에 있어 관리자의 리더십은 경영성과 달성과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 및 효율적 활용 가능성 으로 가름할 수 있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태도와 능동적 대응을 통한 기업경영의 경쟁력 향상은 관리자의 경영능력과 리더십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 은 기업경영에 있어 관리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간이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가능성을 경기지역 중소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4년 5월 9일부터 27일까지 300부의 설문조사에서 유효자료 256부를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첫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둘째, 카리스마, 분발고취, 상황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는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 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5,400원
        14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공정성의 인식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윤옥경(2006), 김응분(2010), 최은하(2013) 등 연구에 따르면 여성교도관은 남성교도관보다 조직 내 제한된 범위내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주장에 따라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두었으며 실제 여성교정공무원이 생각하는 조직 내 공정성을 파악하고, 조직 내 공정성(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9일부터 28일까지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유효한 설문지 107부를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들은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몰입을 위해서는 조직 내의 공정한 절차보다는 결과 측면의 보상과 관련된 분배공정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교정공무원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상, 근무환경, 직무와 관련된 승진 등의 내재적 만족도를 높이는 등 인적자원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6,100원
        14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spelling errors in English stories written by 206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mplementing Korean/English immersion education. Errors were analyzed using crosstab and MANCOVA. Findings are as follows. Spelling errors occurred in 4 categories in order from the most frequent to the least: substitution, omission, addition, and transposition. The error occurrences differed depending on grade level changes: lower grades (Grades 1-3) vs. higher grades (Grades 4-6). The students in both grade levels made more errors in substitution and omission: these error typ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y progressed to the higher grade levels. Errors in addition and transposition showed much fewer occurrences for both grade levels, and these err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because of their rarer occurrences. Overall, the students’ spelling ability increased remarkably as they progressed in grade levels in the immersion environment.
        6,300원
        1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examines how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ontributed to expla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256 individuals in employe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t Jinju, Changwon, Gimhae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positively related. Finally,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4,000원
        149.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외국기업과 한국기업 간에 형성된 합작투자기업을 대상으로, 합작 파트너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이 합작투자기업의 역지식이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을 독립변수(파트너 기업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와 종속변수(합작투자기업의 역지식이전역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요인으로 상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내 형성된 98개의 합작투자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작투자 파트너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은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은 지식공유수준과 역지식이전역량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관계몰입수준과 역지식이전역량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합작투자 파트너 기업 간 지식공유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관계몰입수준이 높을수록 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이 증대되며, 이러한 역량을 통해서 새롭게 창출된 지식의 역지식이전역량도 증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국제합작투자기업의 지식창출역량을 높인다면 합작투자기업이 창출한 지식의 본사적용 역시 촉진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6,100원
        150.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대이론, 강화이론, 목표설정이론과 상대적 박탈이론 등에 근거하여 한국 제조기업의 성과급 수준이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에게 차등적으로 지급되는 개인성과급 수준은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팀, 사업부, 전사적으로 지급되는 집단성과급 수준은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 지분 보유가 성과급 수준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의 방향으로 조절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국내 200개 제조기업에 근무 중인 4,531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상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6,400원
        15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사회적기업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론적 배경을 통한 가설을 설정했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과 울산 지역의 (예비)사회적기업 75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했다. 최종 174부의 자료를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했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변수의 타당성을 확인했으며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일반적인 기준을 만족시켰다. 연구결과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들에 관해서 논의했다.
        4,900원
        15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금피크제(wage peak system) 도입에 관한 구성원 인식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임금피크제는 최근 들어 학계와 실무현장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인사제도로서, 본 논문에서 임금피크제의 중요성과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임금피크제 도입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이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상황요인으로 작용하는 조직시민행동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정하였다. 편의표본추출 방식을 통하여 국내 19개 기업의 구성원 200명을 설문조사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첫째 임금피크제 도입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인 인식은 직무몰입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임금피크제 긍정적 인식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은 조직시민행동이 높은 구성원일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결과들을 기초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토론하였다.
        5,500원
        15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과 가정의 상호관계 관련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일과 가정 강 부정적 관계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일-가정 갈등으로 개념화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일과 가정 간 긍정적 상호작용인 일가정확충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뿐 아니라 일-가정확충에도 주목하여, 가족친화문화인식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직무태도 형성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A광역시에 소재한 민간 사회복지시설ㆍ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621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952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889부를 중심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 문화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은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문화인식과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과 관련한 사회복지시설ㆍ기관 운영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6,300원
        15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연구대상을 좀 더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어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철도여행인솔자 28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을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으로 구분하여 부정적결과인 감정부조화와 긍정적 결과인 직무만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의 관계에서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철도여행인솔자의 내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부(-)의 영향을, 표면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면행동은 정(+)의 영향을, 표면행동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 모두 감정부조화를 부분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표현규범몰입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규범몰입은 내면행동으로 인한 감정부조화에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면행동으로 인한 감정부조화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155.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이용정도와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둘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참여 프로그램유형과 주요 관심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셋째, 청소년의 생활권 수련시설의 만족도와 불만요인을 파악하여 생활권 수련시설의 활용도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생활권 청소년수련관 이용자인 중․고․ 청소년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련시설 이용도, 희망하는 수련시설 프로그램,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1200명의 응답 중 응답이 부실한 29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9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50%가 수련시설을 이용하고, 학교CA연계프로그램이나 수련활동프로그램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학교를 통한 이용이 많고, 이용의 용이성이나 시설의 편리성 등을 중요한 이용 이유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많이 하는 신체활동이나 희망하는 수련활동으로는 수영을 가장 많이 꼽았고, 절반 이상이 수련시설의 동아리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시설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이 갖는 일상적인 필요성과 교육수준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반면,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이나 시설 및 이용도구의 부족, 지도자의 전문성 부족에 대해 가장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상의 결과들은 항목에 따라 응답자의 성별, 지역별, 학교급별, 청소년단체 가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들이 있었다.
        6,600원
        15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low channel is a game design aspect that has been widely used by experienced game designers. A psychologist named Mihaly Csikszentmihalyi found that a person's skill and the difficulty of a task would interact to result in different cognitive and emotional states. When a person’s skill and the difficulty of the task are roughly balanced, he or she enters the flow state. Otherwise, the person becomes bored or frustrated, and switches to another activity[3]. Unfortunately, for game designers, this is the point where the flow theory stops helping. While a designer strive to keep players in the flow channel for as long as possible, he or she has to figure out how to implement the flow channel in the game by oneself.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d to bridge or narrow the gap between game flow and psychology theories. We showed how the whole game flow mechanics work and how several major psychological elements operate dynamically and interactively on the game play. The challenges and skills should be balanced and should work together to create game flow experiences.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aper was used to teach university students in game design and media psychology cours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show that our media psychology education could be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a creative design philosophy.
        4,000원
        157.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의 게임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측면에서 스마트폰 게임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심리적인 측면에서 스마트폰 게임 이용동기와 게임특성이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스마트폰 게임 이용동기는 현실도피, 기분전환, 즐거움, 몰입, 성취 등으로 나타났고, 이 중 현실도피를 제외한 기분전환, 즐거움, 몰입, 성취가 스마트폰 게임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게임 이용자들이 기분전환, 즐거움, 몰입, 성취동기를 추구할수록 게임몰입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게임특성 중 게임구성, 조작용이성을 제외하고 게임의 생동감은 게임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게임을 통해 생동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게임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몰입 자체가 건전한 심리작용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여가시간을 즐겁게 보내는데 일정 부분 기여함을 전제로 한다면, 스마트폰 게임 이용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여가시간을 보다 즐겁고 재미있게 보내는데 있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일정부분 여가문화 차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6,700원
        15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노사관계에서 중요한 현상으로 제기되는 이중몰입에 관해서는 크게 영향, 원인, 방법론적 이슈 등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중몰입의 영향이 다양하다는 것은 기존연구에서 알려졌으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되지 않았다. 또한 이중몰입에 대한 설명력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조합원의 중요한 성격과 태도인 권위주의성격과 그들과우리태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중몰입관련 조절효과에 관한 기존연구의 결과가 별로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exploratory study)이다. 이중몰입이 노조관련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권위주의성격과 그들과우리태도가 조절하는가를 보기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여 개념과 연구동향을 정리하는 개념적 연구를 바탕으로 경험적 연구로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로서, 부산지역의 민주노총 조합원 425부를 대상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로서, 이중몰입이 높을수록 노조관련행동지향성이 높게 나타난 가운데, 이중몰입이 노조관련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권위주의성격은 부(-)적으로 조절하고 그들과우리태도는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을 들자면, 첫째,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가 탐색적으로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더 많은 개인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권위주의성격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높은 조합원이 바람직하고 노조의 입장에서는 그 반대임을 시사하므로, 채용과 민주관련 운영ㆍ교육ㆍ기회제공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들과우리태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낮은 조합원이 바람직함을 시사하며 노조의 입장에서는 그 반대임을 시사하므로 회사나 노조에서의 초기사회화, 교육 및 경험에 의한 지각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5,500원
        15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2013 Korean Gaming White Paper suggested that the mobile gaming market has a potential for the future value realization. The market of mobile games exploded by 89.1% compared to 2011 and the market share almost doubled. With higher infiltration and performance enhancement of the mobile devices, accompanied by the growth in the mobile advertisement market, fueled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infrastructure and the business model, which is the basis of our anticipation on the gaming industry to grow further. Unlike the weight it carries in our society, the literatures in the field of mobile games are scarce, which is why we conducted this study.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characterizing factors of the mobile gam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immersion in order to identify with proofs the intent of their users for continued, repeated usage of the mobile games using statis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zing factors of the mobile games that affect the intent for repeated usage and immersion, with a view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games and the mobile gaming industry. The result of the evidentiary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mobile games did have positive impacts on immersion into them, and the immersion into the game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 for repeated usag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terms of the influence from the characterizing factors onto immersion, which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and was reflected in our consideration 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4,500원
        16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근무여건의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해양경찰 함정의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해 함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 함정승조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다섯 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사용하여 연구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자극이 조직몰입의 조직목적(t=6.664, p=0.000)과 근속몰입(t=4.057, p=0.000)에서 해양경찰 함정 일반 승조원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영향력이 클 것으로 생각하는 개별배려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