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141.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duce fermented soy-powder milk (FSP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and to evaluate its anti-obesity activity. Isoflavon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f unfermented soy-powder milk (UFSPM) and FSPM and were analyzed via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GC).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were assayed. Their anti-obesity activitie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ir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and the expression of mRNAs associated with adipogenesis and lipid metabolism were analyzed via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quantitative PCR (qPCR). FSPM with L. plantarum P1201 increased the isoflavone aglycones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content and produced CLA in soy-powder milk (SPM), both of which possessed bio-activity. Both UFSPM and FSPM showed dose-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for α-glucosidase, α-amylase, and pancreatic lipase. FSPM, but not UFSPM, suppresse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reduced their triglyceride content by 23.1% after treatment with 1,000 μg/mL of FSPM,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can be attributed to CLA and isoflavone aglycones, which target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down-regulated lipoprotein lipase (LPL), adiponectin,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etyl CoA carboxylase (ACC) mRNA. Furthermore, FSPM enhanc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glucosidase and pancreatic enzymes and anti-obesity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nti-obesity effect of FSPM persists in an in vivo mous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
        142.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used as a starter in the manufacture of Meju,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the soup products can be improved. In this study, we isolated Lactobacillus strain having possible safety and food-industrial benefits as a starter. Four hundred and seven isolates were screened from Meju, and chemically characterized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non-productivity of biogenic amine, and hemolysis. Eight of the isolates were selected upon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their antioxidant and β-glucosidase activity was measured. Finally, we selected, and measured its enzyme activity and antibiotic resistance. Next, we investigated its cell growth, showed maximum biomass of 3.5 g/L after 28 h of culture. The ingredients of the medium to improve biomass were selected using the Plackett-Burman design (PBD) and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results obtained using PBD revealed molasses, yeast extract, and maltose to be significant factors determining the biomass of the L. brevis SCML 432 strain. The CCD was then applied with three variables found from PBD and the optimum values were predicted to be 5.5% molasses, 1.5% yeast extract, and 2.0% maltose, and the maximum biomass was predicted to be 11.2 g/L. Through model verification, we confirmed that the predicted and actual results were similar, with about 3.2-fold improvement in the biomass from 3.5 g/L to 11.3 g/L when compared to that obtained in basal med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ML 432 has high potential in the food industry as a starter.
        143.
        201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of Cheonggukjang with added Chaga mushroom by secondary fermentation at 40 for 48 h with or without a starter,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925. Cheonggukjang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unsterilized Cheonggukjang fermented without a starter), NS (unsterilized Cheonggukjang inoculated with L. acidophilus KCTC 3925), and YS (heat-sterilized Cheonggukjang inoculated with L. acidophilus KCTC 3925).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the three types of Cheonggukjang was 49.79-51.44% moisture, 4.54-4.72% crude ash, 43.21-44.37% crude protein, 11.58-13.65% crude fat, 37.41-40.07% carbohydrate, 31.92-33.82% dietary fiber. The mineral content included 5.43– 9.64 mg% Na, 1,792.86–1,824.39 mg% K, 253.69–326.09 mg% Ca, 619.37–691.20 mg% P, 92.59–110.59 mg% Fe, and 0.01–0.02 mg%C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NS (2,520.92 mg%) and YS (2,421.94 m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2,236.76 mg%). Amino-type nitrogen content for the three types of Cheonggukjang ranged from 837.20-920.27 mg%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monia-type nitrogen content ranged from 137.09-169.36 mg%. Supplement of Cheonggukjang with L. acidophilus KCTC 3925 increased production of aglycone isoflavon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Therefore, our results show that fermenting Chaga Cheonggukjang with L. acidophilus KCTC 3925 leads to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ncreased isoflavone aglycone content.
        144.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oy-powder yogurt (SPY) with enhanced level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 aglycone was produced from sprouting high-protein soybeans (HPSs). The fermented steam-HPS sprouts (0 to 4 cm) were fermented (72 h)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s (FAAs) of the formed mixtures were determined to be 79.53, 489.93, 877.55, 780.53, and 979.97 mg/100 mL in the fermented HPS (FHPS), and the fermented steam-HPS with 0 cm (FSHPS-0), 1 cm (FSHPS-1), 2 cm (FSHPS-2), and 4 cm sprouting lengths (FSHPS-4), respectively. The levels of glutamic acid (GA) and GABA were observed to be the highest, 100.31 and 101.60 mg/100 mL, respectively, in the unfermented HPS (UFSHPS-1, 1 cm) and FSHPS-1 sprouts, respectively. Moreover, the total contents of the isoflavone glycoside form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increasing total levels of isoflavone aglycones after fermentation in FSHPS-0, FSHPS-1, FSHPS-2, and FSHPS-4. The levels of isoflavone aglycones were detected as 350.34, 289.15, 361.61, 445.05, and 491.25 μg/g in FHPS, FSHPS-0, FSHPS-1, FSHPS-2, and FSHPS-4, respectively. While FSHPS-1 exhibited the highest DPPH (63.28%) and ABTS (73.28%)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HPS-4 contained the highest isoflavone aglycone ratio (81.63%). All in all, the FSHPS-1 mixture prepared in this study exhibited high GABA content and functional prosperity,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soy-dairy industry.
        145.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ochujang, a traditional Korean food, is fermented by mixing red pepper powder, various grain, meju and salt. Changes in the kind of ingredients and fermentation method could increase health functionalities. In this study, in vivo anti-colitis effects of gochujang prepared with mixed grains, bamboo salt baked 3 times and meju starters on DSS-induced colitis in C57BL/6 mice were studied. We prepared gochujang prepared with mixed grains (MG), bamboo salt, and Aspergillus oryzae (A) and Baccillus subtilis (B) mixed starters (MG-AB) and gochujang prepared with MG, bamboo salt and A, B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 mixed starters (MG-ABL). MG-AB and MG-ABL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and colon length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MG-ABL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nterleukin-6 (IL-6) expression in serum compared to the control and MG-AB group (p<0.05). MG-ABL also regulated mRNA and protein levels of pro-apoptotic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and anti-apoptotic B-cell lymphoma-2 (Bcl-2) in the mice colon tissue (p<0.05). Therefore, MG-ABL exhibited the increased anticolitis effects by inhibiting damage of colon tissue, probably by regulating a pro-inflammatory cytokine of IL-6 and regulated apoptosis related gen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ochujang changed with good ingredients and starters had colitis preventive effects and might be due to active compounds in mixed grain and bamboo salt, and produced by L during the fermentation of gochujang.
        14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70% 에탄올 추출물과 발효균주 Lactobacillus pentosu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담쟁이덩굴 줄기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SC50)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이 각각 42.3 및 34.5 μ g/mL로 발효 후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약 18.4% 더 높게 나타났다. Lumi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OSC50) 평가에서도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은 각각 2.6 및 2.5 μ g/mL로 발효 후가 약 4.2% 정도 더 높은 총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1O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τ50)는 50 μ g/mL에서 각각 126.4 및 173.0 min을 나타 내어 발효 후 세포 보호 효과가 약 34.0%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추출물은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α -tocopherol (43.4 min)보다도 3.9배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보여주었다. 사람 섬유아세포인 Hs68을 대상으로 elast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IC50)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에서 각각 873.6 및 687.8 μ g/mL로 발효 후에 elastase 저해 활성이 약 21.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발효추출물이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 이 있음을 시사한다.
        148.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젖산발효를 통해서 얻어진 목이버섯과 녹각 추출액 혼합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녹각 추출액의 GABA생성 최적조건에서 probiotics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목이버섯을 2.5% 첨가하여 30℃에서 7일간 젖산발효를 하였다. 발효 7일 pH 5.06, 산도 0.77%로 나타났으며 1.3×108 CFU/mL로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고 GABA를 1.4%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을 첨가했을 때 젖산균 발효물의 물성이 개선되며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각 추출액의 젖산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실험한 목이버섯 2.5% 조건에서 발효 전 6 mg/mL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나 발효 후 독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6 mg/mL 농도에서는 5.58 μM로 발효 후 NO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각 추출액과 목이버섯 혼합물의 젖산균을 이용한 정치배양을 통해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젖산 발효물은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물은 GABA, probiotic,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4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Constip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bility of water extract of fermented (FRC) and non-fermented (NFRC) roasted Cassia tora to improve intestinal function and reduce constipation in a rat constipation model.Methods and Results:Different concentration of FRC and NFRC were orally administered loperamide (5 ㎎/㎏; LOP) reduced the number, weight, and water content of feces, as well as intestinal transit motility. However, 24 h-(24 hour fermented roasted-Cassia tora) 300 ㎎/㎏ FRC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number, weight, and water concent of feces, compared to that seen in the LOP group, and also improve intestinal transit mitility and, the thickness of distal colon and mucous fluid.Conclusions: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LOP-induced constipation was improved by treatment with FRC. Therefore FRC could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or natural medicine for constipation.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clarify how fermentation improves the medicinal properties of roasted C. tora.
        150.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ocolat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K10 were investigated. The pH level decreased from 5.26±0.02 to 3.98±0.06 during fermentation whil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5.36±0.19 to 13.31±0.34.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ligh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it was numerically negligible. Slight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hocolate, against DPPH-, ABTS-, and alkyl- radical, were observed during 32 hr of fermentation, but the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relevant. Composition ratios (% area by GC analysis) of lactic acid, xanthosine, and theobromine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while hydroxymethylfurfural (HMF) and caffeine decreased after 32 hr of fermentation, in the order of xanthine (22.7%), theobrome (20.0%), lactic acid (14.9%), HMF (9.1%) and caffeine (9.0%). However,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s in theobromine and caffeine contents in chocolate during fermentation.
        15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basic resources for the industrial us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upernatant obtained from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was tested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KCCM 11234, Salmonella enteritidis KCCM 3313,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and Salmonella typhimurium KCCM 40253. The supernatant of L. bulgaricus SP5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ested pathogenic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examined after adjusting pH and heat treatment of supernatant. Heat treatment of supernatant h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t all temperature. However, pH changes showed no antibacterial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upernatant was confirmed to be due to organic acids (lactic, acetic, phosphoric, succinic, pyroglutamic, citric, malic, and formic acid).
        152.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 열매를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를 강화시 킨 오미자 젖산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오미자 열 매 추출액을 젖산 발효시킨 경우 발효 2일 동안 생균수 4.0×107 CFU/mL수준을 유지하면서 젖산균 증식이 미비하 였지만 영양성분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경우 50배 정도 증가된 2.2×109 CFU/mL생균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젖산발 효 3일 동안에 대조군, MSG, YE를 각각 첨가군에서 초기 pH 3-4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반면에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발효물은 pH가 증가되면서 pH 5.0 이상을 나타내었 으며, 초기 산도 1.74%에서 발효 3일에 0.5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물인 대조군과 2% MSG 또는 0.5% YE만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GABA로 소량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SG와 YE를 함께 첨가한 경우 젖산발효 1일째부터 GABA가 생성되면서 3일째에는 MSG 2%를 거의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PLC 정량분석 으로 0.92% GABA 생성이 확인되었다. MSG와 YE함께 첨가한 발효조건에서는 젖산발효 1일째부터 발효물은 붉 은 색이 퇴색되면서 황색으로 변화하였으며, 발효 초기에 적색을 나타내는 a값이 15.74에서 발효 후에 5.39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맛, 향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 오미자 착즙 원액과 발효물 100%인 실험군에서 점수가 각각 4.50, 4.33을 기록하여 상 대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에 발효물 50% 첨가한 실험군이 6.33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에 오미자 발효물을 50% 첨가함으로서 기호성이 우수하며 고농도 GABA와 probiotic을 함유한 오 미자 발효음료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15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성의 손으로부터 분리한 두 유산균의 co-culture에 의한 향장 활성에 대한 것이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L. paracasei)를 함께 배양하는 것은 최초이며, co-culture를 이용한 유산균은 tyrosinase 저해율이 L. paracasei와 L. rhamnosus에 비해 20.6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co-culture 유산균은 melanin 생성 저해율에서도 63.5%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주름개선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MMP-1의 생성량이 3726.3 pg/mL로 확인되었다. 반면 단일 유산균 배양시 얻어지는 MMP-1 생성량은 각각 L. rhamnosus가 13613.5 pg/mL, L. paracasei는 13012.0 pg/mL이 확인되었다. Collagen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co-culture 유산균이 380.7 ng/mL로 323.4 ng/mL의 양이 확인된 L. paracasei와 304.1 ng/mL의 양이 확인된 L. rhamnosus보다 많은 양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유산균의 co-culture가 향장 활성 증진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향장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유산균 배양을 통한 결과보다 co-culture 유산균의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54.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을 제공하고자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유산균을 포집한 미분을 제조하였으며 유산균포집 미분의 품질특성 및 유산균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제조는 미분을 24시간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 대비 각각 10%, 20%, 30% 및 50%(w/v)을 첨가하여 분무건조하였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아밀로오즈함량 및 손상전분함량은 각각 14.18~17.75% 및 24.65~34.08%이었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입자크기는 82.28~131.17 μm로 미세캡슐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구형의 모양을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함량의 경우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미분(3.34%)에 비하여 유산균포집 미분이 2.32~2.62%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수지수 및 수분용해지수 측정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제조시 흡습성이 낮고 용해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호화특성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포집 미분에서 호화에 필요한 호화엔탈피가 높아 취반 특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 포집특성을 확인한 결과, 미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60.02~73.85%로 유의적으로 높은 유산균 생존율을 보여주어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50% 미분을 첨가한 유산균포집 미분의 유산균수, pH 및 산도는 각각 7.11 log CFU/g, pH 4.11 및 0.31%이었으며, 이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유산균포집 미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유산균포집 미분은 쌀 가공제품 개발시 기능성 및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분의 제조가 가능하고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55.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적 유산균 배양의 가격대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질소원, 탄소원 및 무기염물을 기본량으로 기본배지를 제조하고, 효율적인 고농도 유산균체를 수득하기 위하여 pH조절제로서 따로 첨가되어지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신하여 미역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미역의 최적의 첨가 방법을 찾고자 추출, 착즙, 분말의 형태로 배지를 제조하여 유산균증식능 평가한 결과, 착즙의 형태에서 유산균 증식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폐기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식부 외 미역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착즙형태로 첨가함으로서 종래 pH 조절을 위해 완충액으로 첨가되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역첨가 기본배지 선정에 따른 배지 단가를 절감하면서 높은 균체 수율을 얻는 등 충분한 경제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역을 이용함
        15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주름개선제 성분을 찾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 콜라겐 생합성, matrix metalloproteinase-I (MMP-1) 및 elastase 저해활성에 대한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된 오미자 발효액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오미자 추출물은 L. rhamnosus으로 37℃에서 1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물의 세포독성은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콜라겐 생합성에 대한 발효물의 영향은 procollagen type-IC peptide EIA kit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I(MMP-1)에 대한 발효물의 영향은 Matrix Metalloproteinase-1 Biotrack activity Assay Kit에 의해 평가하였다. Elastase inhibition assay는 기질로써 N-Suc-(Ala)3-nitroanilide을 사용하여 기질 반응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로써 오미자 발효물은 사람 피부 섬유아 세포에 대해 100μ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오미자 발효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켰으며, MMP-1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05). Elastase inhibition assay에서 오미자 발효물의 IC50은 36.4μg/mL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오미자 발효물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피부의 주름개선을 위해 사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159.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with added colored barely flour was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Chem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crude protein, starch, ash and β-glucan contents was measured. pH, acidity, brix, Hunter color value and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yogurt was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by L. acidophilus,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mixed culture. Crude protein contents of Daeanchal and Boseokchal was 16.16 and 12.17%, respectively. Starch contents of daeanchal were shown lower score. The pH of yogurt by addition of barley flour (Daeanchal) addition 0 and 20% were 6.66 and 6.40, respectively. The pH of yogurt supplemented with barley flour tended to be lower than before control which was not added barely flours and oligosaccharide in yogurt. Titratable acidity of yogurt added barley flour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Brix of yogurt wa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Lightness of yogurt added barley flour (Daeanchal) addition 0 and 20% were 83.25 and 69.83, respectively. The original microbial population of the yogurt during 0, 5, 8, and 15 hr fermentation were 7.48, 7.79, 8.15, and 8.71 Log CFU/g, respectively. Moreover, the addition of colored barley flour was to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yogurt. In our research, addition of colored barley flours added into the yogurt may also have contributed to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16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소염, 항염 작용이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황금을 유산균인 Lactobacillus rhamnosus를이용해 발효를 통한 황금의 추출물에 대한 추출공정별 항염증 효과 증진을 측정하였다. 추출 공정으로는 일반열수추출(WE), 일반 70% 에탄올 추출(EE), L. rhamnosus 발효 열수 추출(FWE), L. rhamnosus 발효 70%에탄올 추출(FEE)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각의 추출 공정별 수율 측정결과 발효 70% 에탄올 추출이 25.9%로최대 수율을 얻었으며, 발효 열수 추출, 일반 70% 에탄올 추출, 일반 열수 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얻었다.추출 공정별 세포독성 측정에서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 mg/mL일때 9.8%로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반 에탄올 추출의 경우 22.6%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을 가졌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는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 mg/mL에서 최대 46.8%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NO 생성량 및 PGE2 생성량 측정도 1.0 mg/mL 농도의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6%의 최대 NO 생성량 감소 및 810 pg/mL의 낮은 PGE2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황금의 항염증 관련 효과를 위한 최적 추출 공정으로는 발효를 통한 황금의 70% 에탄올 추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에 따라 항염증 관련 생리활성 물질이보다 더 많이 용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