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0

        151.
        202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risk management, an emerging management discipline, it is natural to go into the teaching field. In the teaching of martial arts courses in higher physical education colleges in China, due to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tial arts courses, the inevitable existence of risk factors in the martial arts teaching process is determined. Using expert interview methods,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literature data methods, field trips and other research methods, explore the potential risks of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in the teaching of martial arts courses, and evaluate the risks and potential risks i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Put forward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physical education risks. In the teaching of martial arts in higher physical education colleges, the occurrence of teaching safety accidents is mainly caused by four factors: teacher factors, student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school management factors. The occurrence of teaching accidents has never been determined by a single factor, so teachers, students and the relevant departments of the school should be strengthened. Finally, the paper puts forward that the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martial arts teaching risk in higher physical education colleges include: scientifically and rationally arranging preparation activities, establishing student health records, strengthening the teaching management of martial arts courses, strengthening the safety knowledge educ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establishing a linkage mechanism for school teaching risk prevention. And establish measures such as diversified insurance mechanisms.
        152.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체육 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지닌 경쟁 성향과 불링 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중고등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경쟁 성향(협 력적 경쟁 성향과 대립적 경쟁 성향)과 불링 행동(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 계, 신뢰도, 타당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가적으로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차이 검증을 진행하였 다. 결과: 분석결과, 성별에서의 경쟁 성향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불링의 가해 경험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급에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대립적 경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링의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도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인 경쟁 성향은 아니지만, 대 립적인 경쟁 성향은 불링의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학생 들이 협력적 경쟁 성향이 아닌 대립적 경쟁 성향을 지닐수록 불링 행동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에게서 불링 경험(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쟁 성향이 불링 행 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불링 행동을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해서 대립적 경쟁 성향이 아닌 협력적 경쟁 성향을 추구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지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가 체육 수업과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경쟁 성향과 불링 행동을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153.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의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 및 지원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 운영 문서, 운영 전문 가 면담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로 진 학하려는 일반 학생들을 위한 고등학교 체육 선택과목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체육특성화학교 운영 유형 중 <과목편성형>에 대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이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체육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체험 중심으로 강화되고, 지역 및 관련 직업 분야와의 연계를 높이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운동기능 측정 및 실기 연습을 위한 장비 및 용기구가 충분히 구비되도록 예산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체육교육과정 특성화학교가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도록 하는 정책 적 노력과 체육특성화학교 운영 현황 파악이 매년 이루어져 이를 근거로 체육계열 진로진학 교육의 내실화에 필요한 정책 개선 및 지원 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154.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로 교내 온라인 체육 한마당이 함의하고 있는 운영 사례와 교육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내 온라인 체육 한마당의 기획·운영·평가에 참여한 교사 3인, 학생 3인 학부모 1인이 협력하여 다양한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교내 온라인 체육 한마당은 교사와 학생의 실태조사를 통해 모든 학생의 참여, 체력증진, 공동체 의식 함양, 자기주도적인 참여 등의 철학을 함께 공유하며 기획되었다. ‘우리’는 코로나 19 상황을 이겨내기 위해 학교 체육수업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교육적 철학을 담은 11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였다. 교내 온라인 체육 한마당은 기존 체육대회와 달리 평가의 어려움이 존재하였지만 구체적인 피드백 제공과 영상 제작을 통해 교육 적인 의미와 가치를 함께 공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내 온라인 체육 한마당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교내 온라인 체육 한마당은 변화는 있었지만 기존 체육 한마당의 특성과 다양한 교육적 의미를 전달하기에는 변함없는 행사였다. 둘째, 자신과 반별 경쟁을 통한 성장의 과정을 거쳐 상호작용을 통한 화합의 결과를 담고 있었다. 셋째,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언택트 시대의 소통 부재로 인한 인간관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끝으로, 이 연구가 새로운 변화의 시대에 변함없는 체육교육의 공감대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해본다.
        155.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격 체육수업을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체육교사들의 어려움과 노력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격 체육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 커뮤니티 소속 체육교사 34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체육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 초반부에 체육교사들은 처음 겪어보는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에 대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거부감을 보였으나 원격수업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둘째, 원격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체육교사들은 수많은 실패를 경험하면서도 집단지성의 힘과 집단 공동체성을 발휘해 원격수업에 도전하면서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셋째, 체육교사들은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며, 또다시 겪게 될지 모르는 미래의 원격수업에 미리 대비하도록 다양한 콘텐츠와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 체육수업을 위한 교육계와 교사들의 다양한 노력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156.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사와 동료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참여와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1,004명의 학생이다.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상황에서 지각하고 있는 교사와 동료의 관계성지지, 심리적 욕구, 학습 참여(학습 목표)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상관 분석과 경로 분석을 진행했다. 결과: 체육교사와 동료의 관계성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참여와 신체활동 의도와 정적 상관 및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엇보다 동료의 관계성지지는 교사의 관계성지지 보다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학습참여와 신체활동 의도와 더 높은 상관 및 예측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만큼이나 동료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 및 심리적 경험을 유도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육수업 및 스포츠 상황에서 교사와 더불어 동료의 영향력에 관한 정보를 교육 현장에 제공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57.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8개 영재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내용과 평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영재학교 특성에 맞는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8개 영재학교의 2019학년도 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영 및 평가에 관한 규정, 체육과 평가계획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각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체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5명의 영재학교 체육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ereday(1964)의 비교방법론과 주제별 부호화 과정을 통해 연구 목적에 맞게 분류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교육 과정 편성에 따른 체육과 운영실태, 체육교과 편제표, 체육과 교과목별 평가내용에 차이를 분석할 수 있었다. 영재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성은 학점제, 현장 교사의 자율성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수업, 수업환경의 최신화로 다양한 수업 가능, P/F 평가시스템 운영으로 분석되었다. 영재학교 특성에 맞는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방안 모색 결과는 P/F 평가 기준의 규격화, 스포츠 교류전을 활용한 체육과 교육과 정 운영, 학생 참여 중심의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평생스포츠 기반을 위한 1인 1기 활동 참여의 권장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158.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시간에 일어나는 따돌림 현상을 근거이론의 구조에 맞추어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결과를 아우르는 일련의 종합적인 상황을 통해서 체육 시간에 일어 나는 학교폭력의 양상이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의 관점에서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피해 학생으로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지역의 19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이 참여하였고 가해 학생의 입장은 체육 시간에 학교폭력 가해 학생을 지도해본 경험이 있는 1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여 개별 면담, 집단 초점 면담, 개인일지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결과: 피해 학생들은 친구들로부터 지속적인 배제 및 공격을 당했고, 이로 인한 많은 고통을 당했으며, 주위로부터 무관심과 적대감이 있었고, 그 결과 감정표출이 어렵고, 피해에 대한 외상적 반응을 보여 자존감이 파괴되고 피해 경험이 확대되었다. 한편 가해 학생들은 과거에도 가해 경험이 있었고, 화가 나있고 장래에 대한 목표가 없었으며, 가정불화를 많이 겪었고, 학교가 싫고, 그래서 학교 성취도도 낮았다. 이들은 공격성이 강하고, 환경에 대한 불평이 많고 부정적 감정처리가 미숙하였다. 이들은 또한 공감 능력이 부족 하고 장래에 대한 기대가 낮았다. 이들은 또한 분노 표출이 더욱 확대되고 인지적 왜곡이 심하여 발달 과정상 더 욱 부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갔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피해자와 가해자를 위한 예방전략이 필요하다.
        159.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사의 자율적⋅통제적 교수행동과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 및 결과 기대가 수업참여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S시와 D시에 재학 중인 중학생 498명(남자=259명, 여자=239명)이며, 측정도구로 체육수업 교수행동, 2×2성취목표성향, 결과기대, 내적동기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체육수업 시 지각된 자율적⋅통제적 교수행동은 성취목표성향, 결과기대,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접근을 제외한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회피 및 결과기대가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수행동은 매개변인인 성취목표성향과 결과기대를 통하여 내적동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수행동은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 결과기대 및 수업참여의 내적 동기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성취목표 성향을 파악하여 다양한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과 결과기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들의 수업참여 내적 동기의 촉진 전략으로 교수행동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교수법 개발 및 교육 환경조성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160.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수업참여를 통해 방과 후 신 체활동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 수준이 수업참여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347명(남학생 197명, 여학생 150명)이며,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체육수업 참여, 자기결정적 동기, 그리고 방과후 신체활동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심리적 욕구만족은 중학생의 수업참여와 방과후 신체활동량을 예측하는 변수로서 수업참여를 통해 신체활동량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회귀분석의 결과, 체육시간에 중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수업참여를 통해 방과후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는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결과는 체육교사가 중학생들의 자율성과 유능성, 그리고 관계성 욕구를 충족 시켜주고 체육수업에 대한 내적 동기를 증진시킬 때 학생들이 체육수업과 방과 후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