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164.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ase of odontogenic ghost cell tumor (OGCT) with clear cell components occurred in the mandible of a 63-yearold man. The tumor revealed ameloblastomatous type epithelial components together with clusters of ghost cells and dentinoid juxtaposed to the odontogenic epithelium. In addition, some areas of the tumor tissue showed sheets and islands of clear, glycogen-rich epithelial cells, separated by a thin fibrous connective tissue stroma. Both ameloblastic and clear cells showed positive immunoreactivities for cytokeratin 19 and AE1/3. It is not known whether this tumor represents a clear cell differentiation of a preexisting OGCT or a separate and distinct neoplasm derived de novo from odontogenic epithelium. This tumor was preferred the term clear cell odontogenic ghost cell tumor, which captures the clear cell components, one of the tumors most prominent distinguishing features
        4,000원
        16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선균은 토양 속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미생물의 일종으로 그람 양성 진정세균으로 이차 대사산물을 생산하는 시기와 포자 착생이 시작되는 세포분화의 시기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 S. griseus는 streptomycin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endopeptidase 및 exopeptidase들을 생산한다. 방선균에서의 protease 생산은 많은 경우에 이차대사산물이 형성되거나 형태분화가 유도되는 시기에 동시에 시작된다는 점에서 protease가 이차대사물질 생산 및 세포분화에 일정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 griseus IFO 13350에서 클로닝한 SGPE protease가 각 strain에서 형태학적으로나 생리적으로 어떠한 gene dosage 효과를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sprD 유전자가 S. lividans를 숙주로 사용한 시스템에서 대량발현이 성공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한 후, 본 유전자를 클로닝한 S. griseus IFOI3350 균주와 이의 A-factor 결손주인 S. griseus HHI에 형질전환하였다. S. griseus HHI과 S. griseus IFO13350 에서는 protease activity가 벡터만 도입된 대조군과 sprD 유전자가 들어간 형질전환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S. griseus IFO13350 및 HHI 모두에서 생리학적·형태학적 분화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Chymotrypsin 계열의 prote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만이 S.griseus에서 발현이 repression 된다는 사실을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sprD 유전자와 동일계열의 chymotrypsin 계열의 유전자들이 공통적으로 S. griseus 에서 repression되는 일반적인 기전이 있을 것으로 판단, chymotrypsin 계열 유전자들의 promoter 부분의 염기 상동성을 조사하였다. 번역개시부위 바로 상부 유전자부터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적어도 상당부분의 염기배열이 잘 보존되는 지역이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향후 이들 발현 기구의 조절기구를 연구함으로서 protease의 기능을 밝히는데 좋은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0.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GF(cellular glass foam)는 폐기된 유리물질을 재가공하여 입자화한 것으로 통기성과 배수성이 뛰어난 펄라이트와 이화학적 성질이 유사하여 칼란코에 영양번식용 배지로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CGF와 펄라이트를 각각 입상암면과 피트모스를 다양한 부피비로 혼합하여 Kalanchoe blossfeldiana ‘Gold Strike’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배지의 입자크기는 CGF 2.0~4.0mm, 펄라이트 1.2~4.0mm를 사용하였다. 평균온도 18.2℃와 상대습도 66.7% 조건의 미스트상에서 전조처리(명기 14h.d-1, 암기 10h.d-1)하여 재배하였다. 초장, 근장, 경경. 엽수, 엽면적, 발근율,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총 엽록소 농도, 그리고 배지의 이화학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율을 보였다. CGF와 펄라이트가 혼합된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은 처리간 유의차가 적었다. 또한 CGF의 혼합배지에서 칼란코에의 생육은 펄라이트의 혼합 배지와 비교해 유사하거나 오히려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칼란코에의 영양번식용 배지로서 CGF의 사용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나 추후 CGf를 이용하기 위해 보다 폭넓은 실증실험과 분석이 필요하며, 높은 pH를 보정할 수 있는 적정 양액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171.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저항성과 방어관련물질 유도에 관련된 salicylate가 담배 미분화세포로부터 분리된 isoperoxidase A3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Fe2+ 의 첨가에 의하여 salicylate에 의한 효소활성 억제가 보호되는 양상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salicylate가 isoperoxidase A3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0.48mM salicylate에 의하여 isoperoxidase A3의
        4,000원
        174.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root initiation ratio of cut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L.) stems was examined in several medium conditions containing different IBA concentration, the higher IBA contration of medium was elucidated superior then lower IBA concentration.
        3,000원
        175.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am.) 의 절단한 줄기를 살균처리한 다음, IBA론 첨가한 농도별로 5종의 배지에 처리별로 각각 20개씩 절단한 줄기를 꽃은 후, 4 암상태에서 40일간 보관하였다가. 실온에 하루동안 둔 다음, 26로 유지되는 생장실에서 배양하며 뿌리가 유도되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생장실에서 배양한 지 1개월째에 뿌리유도 정도를 조사한 결과, MS-0 처리구에서 0.0%, MS-0.5IBA 처리구에서 8.3%,
        3,000원
        176.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팔파 (Medicago sativa L.)의 줄기부분을 절단하여, SH 배지에 IBA를 첨가한 농도별로 뿌리 유도 정도를 조사한 결과, IBA 농도를 1.0~1.5 mg/로 첨가한 처리구에서 뿌리 유도 정도가 70~75%로서 가장 좋았다. 캘러스로부터 shoot를 유도한 다음 줄기를 취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처리 10일째에 1/2 SH-0 배지에서 10개 (50%), SH-0 배지에서 10 (50%), SH-0.5IBA 배지에서 12개 (60%), S
        3,000원
        17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차드그래스의 완숙 종자배양에서 배지 내에 첨가되는 copper의 농도가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캘러스의 유도는 의 2,4-D와 의 copper sulfate를 첨가한 MS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식물체 재분화는 의 NAA, 의 kinetin 및 의 copper sulfate가 첨가된 N6 배지를 이용하였다.그 결과, copper의 첨가는 캘러스 형성능력에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opper가 첨가된 배
        4,000원
        17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파파리반딧불이 (Hotaria papcrinsis), 애반딧불이 (Luciola lateralis) 및 늦반딧 불이 (Pyrocoelia fufa)등 국내 주요 반딧불이 종의 유전적 분화 및 계통분류학적 관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mtDNA의 COI유전자 및 16S rRNA유전자 일부의 염기서열 (각 403bp 및 490bp~504bp)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GenBank에 등록된 일본 반딧불이 29종(반딧불이과 27종, 홍반딧과 1종 및 Rhagophthalmus과 1종)의 16S rRNA유전자의 동일부위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 국내 세 종간의 COI및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 그리고 COI유전자의 아미노산 분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반딧불이아과(Lampyrinae)의 늦반딧불이는 애반딧불이아과(Luciolinae)에 공통적으로 속해있는 애반딧불이 및 파파리반딧불이와 다소 큰 유전적 차이를 나타냄으로 기존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 PAUP과 PHYLIP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우리 나라 애반딧불이는 일본 애반딧불이와 강력한 단일그룹을 형성하였으나 이들간 상당한 유전적 차이 (2.9%의 16S rRNA유전자 염기분화율)를 보였다. 국내 두 지역의 파파리반딧불이는 일본 대마도 고유종인 H. tsushimana와 같은 계통그룹을 형성하였으므로 Hotaria란 속명의 사용이 타당해 보이나 파파리반딧불이는 지역 개체간 자매분류군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늦반딧불이 지역 개체가 일본 늦반딧불이와 강력한 단일 계통그룹을 형성한 점으로 미루어 Pyrocoelia란 속명의 사용은 타당해 보이나 다른 모든 늦반딧불이로부터 큰 유전적 거리론 보인 제주도 개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반딧불이 종들은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반딧불이종 또는 속과 아주 강력한 계통그룹을 형성하였으므로 기존의 계통관련 연구를 지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