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eju was home to the Hwanghae-do Provincial Office and a hub for supporting the northwestern regions of Korea. Local commerce expanded in Haej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based on its abundant resources and regional products, leading it to evolve into a large city. King Seonjo temporarily resided in Haeju while seeking refuge from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Yi Yi (sobriquet: Yulgok) secluded himself in Seokdam in Haeju in his later years. King Seonjo’s residence in Haeju and Yi Yi’s retirement there boosted interest in the city among the literati and influenced its places of scenic beauty. The development of its local history and literary achievements were documented in a wide variety of historical records and visual materials. Eight scenic views in Haeju became famous through a poem written by Seong Su-ik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round the mid-eighteenth century, eight new scenic views became popular. Local officials and travelers from other regions produced a vast body of prose and poetry focusing on the landscape and society of Haeju, playing a crucial role in raising awareness of its scenic attractions. Most surviving visual materials related to Haeju were created in and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Many of them illustrate both landscapes and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Among them, paintings of scenic spots created by Jeong Seon (sobriquet: Gyeomjae), who never actually visited Haeju in person, raises some of the issues posed by relying on indirect materials. In contrast, Eight Scenic Views of Haeju,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local painter, appears to have accurately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enic spot. Moreover, Haejudo, a folding screen presenting a panoramic view of Haeju, incorporates content from paintings depicting eight scenic views, in this case Eight Scenic views of Haeju. This practice can be observed in visual materials of other provincial cities.
보행전용 고가도로의 경관특성 파악을 위해, 시각적 선호도 및 심리적 변수와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경관파악모델을 토대로 경관변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도시 내에서 보행전용 고가도로 조성 시 경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요소가 대부분의 경관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자연요소를 포함한 경관이 주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된 특이성·심미성·개방성·친숙성 등 4개 인자군 중 특이성이 선호 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고가보행로라는 대상지의 특성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음 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경관요소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고가 내 식재된 수목이 주대상으로 분석된 사진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주대상이 건축물로 분석된 경우 선호도가 낮게 나타나 도심의 고가보행로에서 자연요소가 중요한 경관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행전용 고가도로 경관특성을 선호도, 경관이미지뿐만 아니라 경관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경관파 악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조성 시 고려되어야 하는 경관 요소에 대한 기초 데이터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분지구조의 초입부를 가로막는 도로를 신설함에 있어, 일대 마을에 생활기반을 둔 지역주민의 시점에서 도로형식을 결정하는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토형 도로와 교량형 도로에 대한 선호도 및 선호도 결정요인에 대해 집중하였다. 대상지인 영암군 금정면 안노리 안노마을은 서측을 제외한 동, 남, 북측은 농암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토형도로가 계획 중에 있다. 조망권 관련 지역민의 피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경관, 성토형 도로, 교량형 도로 등 총 3개의 경관을 대상으로 9개의 경관형용사쌍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경관은 교량형 도로경관과 성토형 도로경관에 비해 경관적 가치가 높게 느껴지며, 교량형 도로경관에 비해 성토형 도로경관에서 더 큰 위압감과 답 답함이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인과 외부인을 나누어 유형별 특징을 검토한 결과, 외부인은 목적이 되는 대상물 중심으로, 내부인은 목적이 되는 대상물과 더불어 그 주변 환 경과의 관계성을 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분지형 마을 입구를 가로지르는 도로의 신설은 지역 주민들에게 심리적 압박감과 불안감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분지형 지형구조의 지역에서 도로의 신설이 불가피한 경우, 교량형 도로와 성토형 도로 중 교량형 도로로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평가요소에서 네덜란드, 일본 경관은 긍정적인 결과였으나 우리나라 경관은 다소 부정적으로 분석되어 비닐하우스는 일본을 유리온실은 네덜란드 경관으로 개선방향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경관창출을 고려한 친환경 온실단지 조성을 제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규모 간척지 개발 사업에도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스톡홀름 Saltsjon 해변가와 보존지역, 신도시에 영향을 주는 색채마감의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사실 상 환경에 영향을 주는 색채디자인은 보존지역뿐만 아니라 신도시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칼라디자인 맵을 이용해 서 지역별로 건축물 색채의 시각적인 평가 및 선호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해변가 및 신도시뿐만 아니라 역사적 인 보존지역에도 색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도구가 된다. 색상, 명도, 채도는 색채 측정기와 색채 팔레트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체크 부분은 주로 건축물 외관 및 지붕으로 하였다. 시각적 평가 제안인 색채경관은 해안가 및 도시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중요한 목표가 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색채이미지 축은 색채 전이로 인해 경향을 분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분석 결과 도시 색채에 있어서 태양복사의 양에 따라 다양한 색채 구성표가 만들어져 많고 화려한 색채 구성이 이루 어졌다. 도시의 색에 있어서 건물 벽보다는 지붕과 관련된 변수가 도시경관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현대 건물의 재료 는 빛의 산란에 의해 색의 범위가 확대되어 색채의 전이 축이 넓게 나타났다. 젊은 세대는 새로운 지역에서는 무겁고 밝은 색채계획을 함께 선호하였으며 보전지역에서는 자연스러운 색채를 선호하였다. 스톡홀롬 가치 결정 요인분석에 있어서 색채의 고유한 특성은 스톡홀롬의 도시경관의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후 건물 개조 및 신축에 있어서 적용해야 할 것이다.
PURPOSES: Daejeon is basically divided into an old downtown and a new downtown, and the recent relocation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from the old downtown and the opening of governmental buildings in the new downtown as well have made this new downtown only densely populated with industrial and business facilities. Such changes in the downtowns have promoted the conditions of the new downtown while, consequently, dragging down the old downtown. Out of concern for those unbalanced developments of the two downtowns, Daejeon is now carrying out several city projects to revive the old downtown. In the light of that, as a part of the project to promote the old downtown,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evaluation on landscape of the culture and arts street in Daeheungdong which was built upon those ideas of a theme street project by Daejeon. METHOD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naire not only on the components that would design the streetscape of the culture and arts street but also on the public satisfaction with the streetscape, the study defined how those changes in the components affect emotional factors of the pedestria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made changes in D/H ratio of the street structural components as well as the roadside trees. In terms of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study used the SD scale, and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ose three factors, such as the openness, the comfortable sensation and the safety, the openness followed by the comfortable sensation and the safety was determined to have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the total satisfaction.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reported that the D/H and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roadside trees and plant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image, and this emotional image also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total satisfaction. CONCLUSIONS :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changes in the street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culture and arts street in Daeheungdong would affect the satisfaction with the streetscape, and finally confirmed that the D/H and the planting are wha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is satisfaction. What has been learned from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to figure out how to promote and improve the culture and arts street in Daeheung-dong as this data will also help designing and developing of those specialized streets in other regions.
최근 증가하는 경관에 대한 관심에 따라 도시경관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도시경관을 객관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며 그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월미은하레일 이 월미도 경관이 끼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여 월미도 환경과 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월미도의 입지여건, 월미은하레일의 현황 및 관광객·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만든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든 연령층으로 폭넓게 조사하였다. 대상지의 사진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4가지 변화를 주어, 기존 사진을 포함 총 5가지 사진을 통한 시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월미은하레일을 철거하는 방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지만, 공사와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두 번째로 선호도가 높았던 색을 변경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월미도의 경관개선에 가장 효율적인 경관개선 방법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최대한을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군산시라는 자연적 고유환경과 산업도시와 해양도시라는 지역특수성을 찾는 과정으로 인문, 자연, 인공 환경의 특징을 조사하여 군산시 환경색채를 분석하여 군산시의 고유색을 체계화하고 도시의 아이덴티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관 및 건축, 공공시설물, 도시상징물의 특성을 분석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군산시의 도시아이덴티티 부재와 환경적·경관적 문제인식,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을 제시하고 도시아이덴티티의 개념과 환경색채의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 기존연구의 동향을 통해 도시환경색채계획의 일반적인 특성과 경관색채 조사방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선행사례를 통하여 도시환경색채계획의 특징 및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군산시의 무형적 도시색채이미지와 유형적 도시색채이미지를 각 권역별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며 도시경관 색채 디자인 요소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색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권역별로는 아파트 밀집지역, 시가지, 산업단지, 해안연안 및 시설물 경관으로 구분해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존색채의 경향과 선호하는 배색을 추출하여 조사분석 하였다.
아름다운 교량은 교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며 야간경관조명을 활용하여 교량 자체와 주위의 경관요소들 을 밝게 비춰주고 쾌적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랜드마크로서 도시경관 향상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강에조성된 교량 중 야간경관조명이 설치되어진 교량 중 거더교를 대상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각 교량의 야간 경관에 대한이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단색으로 이루어진원효대교와 한남대교, 영동대교의 경우 2가지 이상의 색이 조합되어있는 반포대교와 청담대교에 비해 정적이고 단순한교량의 이미지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 "안정성" "조형성" "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 "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 "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 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주인이 될 현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통주거 ‘한옥’ 교육에 기여하고자,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옥 경관의 이미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옥 경관 이미지는 문헌에 사용된 형용사 어휘와 청소년이 사용하는 어휘를통해 추출하였다. 청소년의 한옥 경관 이미지 평가는 쌍극 형용사를 5점 리커르트(Likert)척도로 평가하는 SD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한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김동수 한옥 사진을 보조적으로 제시하였다. 청소년 조사대상은 전주시의 4개 중학교의 남녀학생 각 120명씩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미비한 자료를제외한 23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헌과 청소년 조사에서 추출한 한옥 경관 이미지는 41쌍의 쌍극 형용사였으며 그 속성은 자연미,절제미, 공간감, 정서감, 기능성, 외형성,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30쌍의형용사로 한옥경관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 속성은 심미성, 기능성, 정서감, 공간감, 수수함, 조화성, 안정감, 사회문화성,시민성의 9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의미분별척도법에 의한 청소년의 한옥 경관이미지 평가결과, 심미성, 기능성,정서감, 공간감은 명확한 이미지였으나 수수함, 안정감, 사회문화성, 시민성에 관한 한옥 경관이미지는 다소 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한옥의 경관이미지 속성은 전통이라고 하는 시대적 특성을 담는 이미지와더불어 평범한 인간미를 갖는 수수함, 정서감, 시민성의 특성으로 현대 주택과 차별화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연성 정도를 달리한 산악조망경관에 있어 각 공간별 형태적 특성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및 시각 선호도를 구명하여 차후 공원관리 및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상에서 촬영한 사진자료를 평가매체로 하여 자연도에 따른 이미지와 선호도를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호도 평가치는 자연성 정도 및 포장의 재료특성 등의 영향으로 정상부로 향할수록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변 이미지 평가는 아름답고 매력 있으며, 깨끗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인자분석 결과 4개의 인자군은 각각 「경관매력도인자」, 「공간스케일인자」, 「자연성인자」, 「지형지세 인자」라고 명명 분류되었으며 전체 변량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57.6%이었다. 자연도와 명명 인자별 관계에서 각 공간별 인자점수의 평균치 변화 결과 자연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점수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미적 인 감각과 시설물의 수에 상관성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각선호도 모형 분석 결과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가 시각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삼림경관, 삼림 시설물 경관, 집단시설지구 경관, 사찰경관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이 지닌 환경적 질을 계량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이용개발 및 보전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심리량 분석을 취해 S.D.Scale을 측정하고 인자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의 공간 이미지 구조를 밝혔으묘, 시각적 선호도를 측정하여 결정인자를 추출하였으며 각 인자 상호간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은 종합평가적 차원, 공간적 차원, 자연성 차원 및 물리적 차원, 호감성 차원 등 5개 인자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평가적 차워, 공간적 차원 및 호감성 차원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주요 설명변수는 계곡물의 깨끗함과 상쾌함, 지형지세의 특이성, 등산로 설치의 자연스러움 및 사찰건물 외관과 주변 인공식생과의 어울림 등이 시각적 선호도 결정의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A well-maintained landscape can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a city. Gyeongju which is the famous ancient capital of Korea, has numerous historical resources. However, the disharmony between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weaken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At present, most landscape analysis methods mainly focus on plans, photos, and animation, which have certain limitations in the expression of landscape spatial scale and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use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to take the Wolseong District of Gyeongju historical areas as the object in order to evaluate the landscape visually. Compared with planar landscape analysis methods, such as photos and videos,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is more immersive and intuitive to experience the spatial scale. The study results revealed images, visual characteristics, and visual influence factors of the landscape, which provide essential data for th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landscapes in similar historical area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cape preference and landscape images of the Agricultural Aqueduct Bridges(AAB) by several different criteria. Semantic Differential Scale(SD scale) with landscape adjectives and landscape preference are used to estimate the alternatives of the AAB. The statistic method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cluster analysis, are operated. The landscape preference of the alternatives is generally positive, 3.977 out of 7.000. The gate type is the most preferred, but the road-along type is the worst, by the location types. The simple repair type is the worst preferred, but total remodeling is the most, by the repair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AB are analyzed and 4 factors of visual landscape are contracted; interest, orderliness, naturality and spatiality. Cumulative factor loading of these factors is about 65%, which is quite high. The higher and bigger AAB's are preferred, and the advanced finishing materials are also preferred, such as aluminum or wood panels. The long span is also preferred and the high repair cost would be preferred. But in this study, the cost-benefit analysis is not included, so it is recommended to research further, considering the cost variable with the visual factors.
최근 해양레저스포츠에 대한 욕구 증대와 마리나 시설 확충에 따라 해양레저스포츠의 거점공간이 되는 마리나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도 점차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마리나와 관련된 해양관광분야의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에 이른다. 본 연구는 해양관광매력물로서 마리나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마리나 경관디자인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연구대상지로는 수영만 요트경기장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마리나 경관의 인지적 이미지에 대하여 경관디자인의 기능성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징성은 인지적 정서적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나를 비롯한 해안경관의 경관디자인에 관한 해당 지방자치단체나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경관조례 제정시 구체적인 기본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townscape of Daegu based on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cognition and images captured by citizens.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data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is study methods were deals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landmark landscape, visual preference landscape, imag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orders of cognition landscapes were estimated Apple〉Weather〉Texture〉Mt.Palgong〉Daegu Tower〉Pretty Girl〉Mt. Apsan〉Dalsung Park〉Conservative〉Dongsung Road, etc. That is constructed Nonphysical elements(62.0%) and Physical elements(38.0%)
2.The orders of representative landscape(Landmark) in city were estimated Mt.Palgong〉Daegu Tower〉Gat Rock〉Mt.Apsan〉Dalsung Park, etc. As a whole middle and old people(over 30gen) preferenced as a history landscape or natural landscape, but youth people(10-20gen) preferenced as visible and interesting artifical places.
3.While the positive attitudes for the image of city were traditional(3.30), intimacy(3.58), and rest(2.90), the negative attitudes were unnewly(2.34), closing(2.37) and narrow(2.40). Also total satisfaction for that was estimated 5.51.
4.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image of city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individuality character, pleasure character, amenity character, formation character. And the presumption formula of satisfaction was: Satisfaction = 5.477 + 0.752(Individuality) + 0.470(Pleasure) +0.413(Amenity) +0.241(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