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민간회화로서 무화(巫畵)의 예술적 기치-이미지의 미적특질을 중심으로’를 회화사적 입장에서 실증자료를 토대로 성찰하고자 한다. 그 동안 무화에 관한 도상이 지닌 상징적 의미를 민속학적 관점에서 문화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측면이 다수를 이루었다. 신의 형상을 그림으로 나타난 것이기에 불화와 마찬가지로 우리 회화사에 서 충분히 논의가 이루어져야 되는 측면에 있으나, 무(巫)에 대한 부정적 시선 과 특정한 사조 또는 대표적인 작가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는 미술사에서 적극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장르이다. 무명(無名)의 작가에 의 해 그려졌으며 무당이 죽음이 다가오면 자신이 봉안하던 무화를 땅에 묻거나 불태워서 정리하는 관습 때문에 100년 이상 된 무신도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를 꺼린다면 한국 인의 고유한 신에 대한 관념과 미적인 사유체계에 관한 이해를 외면하는 결과를 낳는 것이라 판단한다. 이러한 연유로 본 논문에서는 무화만이 지닌 미 적 특수성을 찾고자 하며, 이는 기층의 미감을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가 될 것 이라 본다. 본인은 무화의 예술적 가치를 미적인 측면에서 논하기 위해서는 방향성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민속학자인 김태곤은 무화는 민간신앙 속에서 전 승된 일종의 원시회화이므로 민화적 측면에서 고찰되어야 하며, 무화를 전형 적인 순수한 민화이고 말하고 있다. 민(民)에 의해 소통된 민간회화라는 점이 민화의 핵심이라면, 무화(巫畵)는 무당의 집인 신당에서 사용되었지만, 그 당 시 대중들의 욕구에 의해 제작되고 소통되어진 측면이 크기에 민화의 하나로 분류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본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무화의 예술적 가치를 민간의 회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통시적 입장에서 사료의 분석과 실제 남아있는 무화의 실견을 통한 검토를 통해 무화라는 이미지가 지닌 본질을 파악하고 그간의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The interlacing technique has a long history of use as a means of creative expression and persists in modern society to satisfy the individual pursuit of pastimes. This method ha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to create new trends in the future. Interlacing techniques (e.g., basketry, plaiting, braiding, and knotting) are closely related to plastic arts fields, architecture, art, and industrial design where the various interlacing practices are applied. This research uses case analysis to study the types of expression found in the formative art field wherein the interlacing technique is applied. Results reveal several expressions, including optical illusion visual type, relief surface type, porous perspective type, and object borrowing type, all of which appeared in fashion bags. The aesthetic formativeness, which appeared in the fashion bags that applied interlacing techniques, was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geometric formative beauty in a process based on rules and order. Nature-friendly formative beauty reflecting handicraft locality and omnidirectional formative beauty by disordered deconstruction and heterogeneous combination were determined. The use of interlacing techniques that show creative, unique combinations and variations is expected to inspi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ag design that suits individual and original modern fashion trends. One limitation of this thesis is that it only studied cases appearing in modern fashion bags.
하소기의 일생은 자칭(嘉庆), 도광(道光), 셴펑(咸丰), 동치(同 治) 4조(朝)를 거쳐 청나라 중·후기에 서예 대혁명의 중요한 시 기였다. 고고학(考古学)의 부흥은 문자학, 금석학 등의 벌전과 부흥을 이끌었고, 새로운 미적 추구를 일으키게 되었다. 이 기 간동안 하소기는 서예의 개척과 연구에 전념하고 하였다. 예를 들면, 그의 미적 추구와 서예 실천은 서예의 학습 방법, 품평, 창작실천에 지대한 공적을 세웠다. 전분고의(篆分古意)의 전서 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이를 제시하였다. 이의 뜻은 하소기가 비(碑)와 첩(帖)을 융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서풍(書風)의 면 모를 보였다. 이는 그가 일생 동안 지향한 미적 추구이다. 본 고에서는 하소기의 “숭고(崇古)”개념을 설명하고, “소원전분(溯 源篆分)”의 추구를 구현하며 후대 서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 여 분석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ole of lines in creative design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using geometric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of works since 2009 to examine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lines together with analysis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ymmography in the formative arts field, and to analyze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design using the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The infinite sense of formativeness and original expression of symmography are used in formative arts such as space design, installation art, and industrial design. Expression types of moder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two-dimensional graphic pattern, relief surface, and threedimensional spatial. First, the two-dimensional graphic pattern type forms an optical pattern, providing individuality and visual interest to the textile design. Second, the relief surface type expresses the plane in various ways, so that the thickness changes according to how lines overlap. Third,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type expands the boundaries of clothing and creates a fantastic spatial beauty. Nex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fashion design using symmography can be classified into repetitive rhythmicity, geometric self-similarity, and optical spatiality. Symmography enables a myriad of geometric patterns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material, color, and the designer’s imagination, and helps inspire a variety of designs in fashion that sculpt a three-dimensional human body.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 관점에서 김환기 예술작품에 나타난 한국인 미적 원형과 치유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융의 관점에서 예술이 가지는 속성을 알아보고 김환기의 대표 작품을 통해 집단무의식의 원형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와 그의 작품이 주목을 받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김환기작품이 주는 치유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김환기작품을 통해 나타난 한국인의 미적 원형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거친 질감(texture)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교류와 관계를 중시하는 정(情)의 문화. 둘째, 무기교와 자연스러움에 대한 가치의 존중. 셋째, 가치지향성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김환기 작품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미술감상의 치유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미적 체험은 개인의 주관적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뿐 만 아니라 집단의 정서적 원형을 공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작품에 나타난 원형적 상징을 경험하는 것은 인간정신의 보편성, 집단의 공동가치를 공유하며 치유적 힘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한 김환기의 미술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인에게 내재한 원형적 심상을 찾을 수 있고 예술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bag design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given the newtro trend pursuing analog sensitivity in modern society. The methods and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data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gs of the West and East. Nex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ssel and fringe decoration in terms of the history of clothing were analyzed. Finally,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bag design shown in the fashion collections since 2010. The bags decorated with the tassels and fringe bring a variety of visual effect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osition, direction and material composition, concentrating the gaze and radiating original style.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rface decoration, shape variability, and object combination. Nex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as decorative elements appeared through the mixture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playfulness through imagination, exaggeration through extension of length and volume, and retro characteristic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ve ideas of modern bag design which requires a global sense, which has been used in various cultures for a long time.
『조각상』 에서 예이츠는 고대 그리스에서 중세 인도를 거쳐 현대 아일랜 드에 이르는 예술의 역사를 형상과 무형상의 변증법이라는 관점에서 추적한다. 그는 피타고라스적인 수, 피디아스의 형상, 불상의 무형상의 형상 그리고 아일랜드의 형상 을 통해 예술의 역사적 변천을 제시한다. 『조각상』 은 형상과 무형상 간의 경쟁의 역사 뿐만 아니라 예술에서 형상의 의미에 대한 예이츠의 사색을 잘 보여준다. 그리스의 조 각상에 걸 맞는 아일랜드의 영웅적 행위를 형상화함으로써 그는 아일랜드인의 꿈을 밝게 비추기를 고대한다.
One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Lewis Mumford’s architectural criticism is the coherent emphasis on symbolism. Such emphasis stems from his understanding of city and humanity in the context of civilization: first, that the architecture symbolizes institutions of urban civilization; second, that the technical aspect of human nature should be balanced with its artistic aspects. Mumford believed that each architectural type requires an appropriate symbolic expression corresponding to its purpose and that a new symbolic expression, in a new cultural context, should replac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He took symbolism for an intuitional expression, and read multi-layered meanings of architecture: ‘practical function’ by way of rational reason and ‘symbolic function’ by way of intuition. He pursued a balance between practicality and beauty to rectify the situation of modern civilization, in which symbolism, the expression of its intuitional aspect, is in crisis. Ultimately, for Mumford, the essential task of architectural critic is of the interpretation of symbolism, aiming at the correspond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rchitect(artist)’s intuition and critic(interpreter)’s via the media of symbol. The critic can play some privileged role of interpreting even symbols unintended by the architect. The ideal architectural critic, after all, would be the one who is able to understand the city,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the perspective of civilization and to interpret the architect’s artistic expression in its highest form through intuition. Mumford established himself as such a critic and evaluated the status of aesthetic accomplishment of his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giving emphasis on the artistic practice in architecture as a solution.
이 연구는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로 지정 된 화성재인청계열의 춤인 살풀이춤를 중심으로 화성 재인청에 대한 내용과 춤의 계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그 춤사위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여 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외형적 구조와 내면에서 표출되는 사상과 가치를 고찰하였다.「재인청(才人廳)」 이란 조선시대부터 1921년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해체되어지기까지 무당들의 반주음악을 담당하 던 무부(巫夫)들의 무속음악뿐만 아니라 그 당시 백성들을 상대로 펼쳤던 재인이나 광대들의 오 락적 예능활동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곳이다. 화성재인청 살풀이춤은 화성재인청의 마지막 예인 인 이동안에서 제1대 예능보유자인 정경파와 현재 제2대 예능보유자인 김복련으로 이어지고 있으 며 경기도지방에서만 전하는 설화를 배경으로 무복과 춤사위가 전승되어지고 있다. 다른 류의 살풀이춤과는 달리 수건 두 개를 들고 추어지기 때문에 수건에 담겨진 스토리텔링의 상징성과 동양적인 정신세계를 담아내는 철학적인 의미가 작품에 내포되어 있어 화성재인청류 살풀이춤만의 특수성을 잘 가지고 있다. 화성재인청의 살풀이춤은 수건을 들고 음악적으로 엄격한 형식을 갖추어 동작에서 나타나는 기교적 형태의 틀과 반복적인 구성으로 추어지기는 하지만 설화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한과 정서를 예술로 담아내어 춤꾼의 사상적 표현을 끊임없이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는 춤이기도 하다. 또한 다른 류파의 살풀이춤과는 달리 그 설화에 철저히 따르고 있으며 그것에 따른 외면적인 것과 내면적인 움직임은 살풀이춤의 기본 특성인 맺힌 한과 살을 소멸시켜 아버지를 살리고자 하는 효(孝)의 정신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위인지학(爲人 之學)이 아니라 자신의 수양을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움직임으로 나타나 경천내효(敬天乃孝) 라는 사상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자사상과 춤과의 유관성을 연구하여 춤의 가치를 재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노자사상의 핵심 키워드인 대교약졸(大巧若拙)에 주목하여 이것이 김수악의 진주교방 굿거 리춤의 미의식과 어떤 식으로 연계되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과 정에서 먼저 노자의 대교약졸(大巧若拙)의 의미파악이 선행될 것이고, 이어 대교약졸의 미적 지향 인 ‘무기교의 기교’와 ‘무언’의 미의식을 학문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런 뒤, 무위자연적인 춤 의 미감을 가진 김수악의 내면을 주시하면서 예인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대교약졸의 근원을 연대 기적으로 밝혀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진주교방 굿거리춤에서 드러나는 노자사상의 특질인 무기교의 기교와 예인의 삶속에서 보이는 ‘무언’과 ‘침묵’이 어떤 식으로 춤에 스며있는지 밝히면서 김수악 춤의 미적지향과 노자사상의 유관성을 정리할 것이다. 춤의 사상성은 몸이란 신 체성의 발현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에서 경험론적 계기를 포착한다. 따라서 춤의 정신성의 근저를 이루는 사상은 춤의 미의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바탕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춤추는 몸의 내 면이 춤의 움직임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그 면면을 주시하면서 춤과 사상의 유관성을 파악하 는데 있다.
동래학춤은 동래 지역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학의 거동과 동래 지역의 독특한 지형 등이 춤으로 반영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래학춤에 영향을 미친 덧배기춤과 한량춤의 몇몇 춤사위를 분석함으로써, 동래학춤의 춤사위에 담긴 미적 특징의 양상들을 분석해 보았다. 동래학춤을 춤의‘형성’과‘연희’의 측면으로 나누어 보면, 전자로부터는 동래 지역 덧배기춤의 동적이고 남성적인 성격이, 후자로부터는 한량춤으로 이어지는 풍류적이고 예술적인 성격이 드 러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론에서는 크게‘덧배기춤’과‘한량춤’의 두 가지 요소들을 통해 동래학춤을 분석하고, 각각의 미적 특징들을 도출해 보았다. 먼저 덧배기춤으로는‘즉흥춤’과‘배김사위’라는 두 가지 특징을 통해 동래학춤의 미적 특징을 분석해 보았고, 한량춤으로는 다시‘소매걷음사위’와‘소쿠리사위’라는 두 가지 특징을 통해 동 래학춤의 미적 특징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 수 있 었다. 첫째, 덧배기춤의‘즉흥춤’적인 성격은 동래학춤에서‘자연미’라는 미적 특징으로 발전되었다. 둘째, 덧배기춤의‘배김사위’는 동래학춤에서‘흥취’라는 미적 특징을 만들어냈는데, 이때 동래 학춤의‘흥취’가 갖는 독특한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한량춤의‘소매 걷음사위’는 동래학춤의‘세련미’에 기여하였다. 넷째, 한량춤의‘소쿠리사위’는 동래학춤의 ‘격조미’를 진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래학춤을 덧배기춤과 한량춤의 요소로 구분하여 그 두 가지 대조적인 성 격이 동래학춤에 함께 반영되어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는 덧배기춤과 한량춤의 요소들을 통해 동래학춤을 분석하여 첫째 자연미, 둘째 흥취, 셋째 세련미, 넷째 격조미라는 미적 특징을 분류 하고 각각의 양상들을 제시하였다.
무용공연에서 무용수의 창조적 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무용작품이 지니고 있는 미적 특성과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와 관련하여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미적 기능이 무 엇이며, 무용수의 창의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 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안무가-무용수-관객이라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무용공연의 미적 의사전달체계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미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공연행위자로서 무용수를 통해 안무가의 안무메시 지가 메시지전달자로서 무용수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되고 전달된 무용표현에 대해 관객이 미적 으로 반응하게 된다는 무용공연의 미적 전달체계는 비공연예술과는 달리 무용수라는 독특한 전 달매개체의 존재로 인해 전달과정에서 안무가-무용수 간의 비평적 이해, 그리고 무용수-관객 간 의 미적 상호작용이라는 두 가지 관계성이 발생된다. 이러한 미적 관계성에 따라 무용공연에서 무용수는 미적 가치의 전달, 미적 가치의 창조, 그리고 미적 표현의 구현이라는 상호 연계된 미 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들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따라 무용공연의 예술적 성공이 결 정된다. 무용공연에서 무용수가 수행하는 세 가지 기능은 무용수의 창조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무용수의 창조적 역량 개발에 대한 교육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무용수의 창조성 개발을 위해서 는 무용규칙 및 관례 등 무용테크닉 습득, 그리고 미적 소양 제고를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 특 히 미적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이러한 개념과 특성을 무용연습을 통해 무용표현으로 구현 함으로써 개발되고 증진된다는 점에서 미적 소양을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진행되는 무용미학 교육은 그 자체가 독립적 분리되어 실시되기보다는 미적 표현을 위한 무용연습과 상호 결합되 어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for this paper i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y media source. Focused on play-instinct visu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adopted media source following the way of communication design. A variety of literatures and online sites for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was studied. The standard of media source is classified as graphic media-source: photography media-source, typography media-source, illustration media-source. With this standard, expressed ways are as followings. First, graphic media-source in play-instinct expressional fashion design is mostly borrowing existed character or using designer’s brand logo. Second, photography media-source in play-instinct expressional fashion design is placed photograph of social issued people in front of shirt. Third, typography media-source in play-instinct expressional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s mostly expressed social messages or designer’s name in brand. Fourth, illustration media-source is the best way to express play-instinct visual expression. Based on thes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raphic factor in contemporary fashion by media source are classified as three: social words, playfulness and information transference. Frequency ratio using media source per aesthetic characteristics is different and these are able to categorize expression way and image feature. In conclusion, expressional way of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ecame diverse as social and cultural changing. Frequency of graphic factor use in contemporary fashion is increased than before. This paper suggested that fashion design is one of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people and should be analyzed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주관적인 미적 경험으로서의 인지적, 감정적 경험에 관여하는 뇌 활성화 과정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검토해 보았다. 우선, 프랙탈 이미지에 대한 미적평가 행동과 제로 보편적인 아름다움의 준거를 확인하였다. 평정 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270개 이미지 중 가장 점수가 높은 50개를 아름다운 이미지로, 점수가 낮은 50개를 아름답지 않은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두 가지 조건을 블록으로 제시한 신경영상 연구 결과, 아름답다고 평가한 이미지에 대해서는 미적 경험에 관여하는 인지적, 정서적 처리에 관여된 부위인 전두엽과 대상회와 뇌섬엽이 활성화되었으며, 아름답지 않다고 평가한 이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정서와 관련된 중후두회와 전설소엽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아름다움 평가에 대한 조건별 접속분석의 결과, 미적평가가 긍정적인 이미지에 대해서는 측두엽의 활성화가,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해서는 두정엽의 활성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의미론적 해석과 추상화 과정과 연결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black dress is the one of having aesthetic value as well as symbolism while delivering specific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which is essential element in forming design of the Stage Costume. This study carried out the theoret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the empir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a case side by side. It analyzed the works and design based on the clothing, which had been performed in Korea with a revival version of Musical 'Chicago'.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ore than two are being shown in one dress. If so,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considered on aesthetics characteristics in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of Musical 'Chicago', which is increasing the theme consciousness through Stage Costume, which is simple and sexy black. First, as emotion of coming to stay in agony and sadness on the basic fact called death, the Stage Costume in black led to being shown sorrow of implying death, fear and murder. Second, the dignity, which corresponds to noble beauty in the aesthetic category, expresses dignity and elegance with flat material in black, and is revealed the aspect of expressing fashion, which emphasized spirit rather than body. Third,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ausing sexual desire, the sensuality was shown, which has the aspect of being expressed through exposure, concealment and emphasis. Fourth, it was expressed with androgyny, which evokes androgynous image. Fifth, black in Musical ‘Chicago’ formed the whole mood with a sense of weight by arranging the whole feeling with color in similar tone,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he harmony of being formed with theme, which is aimed to be indicated in drama.
Drapery costume started with using one fabric to loosely wrap around one's body without using technical skills or needlework. Drapery becomes a beautiful and indeterminate form of pleated costume which determines the costume silhouette and serves as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composition of artistic cost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rapery costume using literature review. The study methods include considerations of the formation process of drapery costume with the analysis of costume in pictures. For modern costume designs, the study analyzed the designer's dress with a focus on drapery forms, which appeared in the collections from 2001 to 2007. First, drapery costume contains the beauty of human body. Drapery costume reveals the smallest movement of the body. The beauty of drapes, which is naturally revealed along the curve of the body, and the pleats which form on the soft cloth create the beauty of body. Second, drapery costume has rhythmical beauty. Drapery pleats feature not only functions, but also unique formativeness that provides rhythmicity and regular or irregular direction effects by line. Third, drapery costume features elegant beauty. Bias cutting by draping can effectively express the elegant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In making a piece of clothing, the composition method can express elegant beauty by covering up the shortcomings of the fitting and by fitting to the body line without cutting the fabric, or fitting it by bias cutting.
The purpose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formative charateristics by analyzing aesthetic charateristics of Egypt costume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The result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as a primative-retro characteristics, and a erotic-retro characteristics and a decorative-retro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trends, this study analyzed formative charateristics in an aspect of form, color, material, and decoration. In the modern fashion, unlike the H-line silhouette given by a natural fit in the primitive retro, the erotic retro was characterized in the shape by a tight H-line silhouette. For the color, peach, yellow green, gold, light blue, red, and black were used as the main color. For the material, see-through, gauze, mesh, organdy, and tight vinyl were utilized to emphasize an erotic image and expose a body secretly. For the decoration, the characteristic of erotic retro using the simple or same colors frequently was the use of similar accessories colors matched with material colors. The decorative retro was characterized in the shape by a H-line silhouette connected as a part of clothing which applied passium and a greatly modified silhouette from an Egyptian simple style which was well-matched with splendid accessories. For the color, the broadest range of color changes was found from light pastel such as white, yellow, light pink, burnt orange, blue, purple, silver, gold, and red to strong vivid tones. For the material, modern materials such as organdy, tulle, leather, and furs were often used. For the decoration, passium, an eagle pattern, scarab earrings, a crown, a sneak-shaped coronet, and pictograph printed on the fabric were frequently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