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번식기 유부도 일대의 조수 경계부에서는 검은머리물떼 새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성체와 미성체가 한데 모여 복족류 (서해비단고둥, Umbonium thomasi)와 이매패류를 섭식하는 것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성체와 미성체 간의 섭식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해당 먹이원을 섭식하는 개체들의 행동을 영상으로 녹화한 후 성체와 미성체로 구분하여 단위 시간당 걸음수, 먹이원 탐색시도횟수 및 탐색방법 구성비율, 섭식성공횟수, 조작시간, 머리 들어 올리기횟수를 비교하였다. 서해비단고둥을 섭식할 때 먹이원 탐색방법의 구성 비율, 이매패류를 섭식할 때 먹이원 탐색시도횟수와 머리 들어올리기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단위 시간당 걸음수, 탐색시도횟수, 섭식성공횟수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번식기 유부도 일대에 서식 하는 검은머리물떼새 미성체가 성체에 비해 비록 열세이고, 먹이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이 부족하지만, 전반적인 섭식 능력은 성체와 유사한 수준임을 의미한다. 월동기간 동안 고도의 섭식 능력을 갖추어야 섭식이 가능한 이매패류를 지속적으로 섭식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혈통이 확인된 한우 암소의 체중과 월령에 따라 난소에서 난포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체외성숙배양 배지가 채취된 미성숙 난자/난구세포의 배양시 분할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도축장에서 도축된 암소들의 혈통, 생체중, 및 월령을 기준으로 적출된 난소를 분류한 후, 난소 모양, 황체, 백체 및 난포액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고, 개체별 한우 난소에서 18G 주사침이 장착된 5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난자를 채취한 후,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난구세포가 난자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난자를 회수 하였다. 회수한 미성숙난자를 25mM HEPES 와 10% FBS 가 첨가된 TCM-199 으로 옮겨 2~3 회 세정한 후,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Sigma) 0.5 μg/ml, luteinizing hormone(LH, Sigma) 0.5μg/ml, β-estradiol(Sigma)1μg/ml 가 첨가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배지 BO, TCM199, 및 IVMD101 를 각각 사용하여 22 시간 동안 38.5℃, 5% CO2 배양기에서 성숙시켰다. 동결정액은 동일한 보증씨수소 정액을 37.5℃에서 30 초간 융해 하였으며, 최종 정자에는 IVF100 을 첨가하여 각각의 정자 droplet 에 난자들을 38.5℃, 5% CO2 조건의 배양기에 5~6 시간동안 체외수정 하였다. 연구 결과, 무혈통 번식 한우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BO 배양액에서 23.99%였고, TCM199 에서 47.99%, IVMD101 에서 40.04%로, BO 가 가장 낮았고 TCM199 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개체별 체중에 따른 난자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480kg 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72.73%였고, IVMD101 에서 33.77%로 TCM199 이 월등히 높았다. 480-639kg 의 경우, TCM199 에서 50.05%였고, IVMD101 에서 55.11%로 IVMD101 가 높았으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640-699kg 의 경우는 TCM199 에서 65.38 %였고, IVMD101 에서 47.92%로 TCM199 가 높았으며, 700kg 이상의 경우에는 TCM199 에서 61.75%, IVMD101 에서 55.63%로 TCM199 가 더 높게 나타났다. 개체별 월령에 따른 난자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39 개월 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62.41%, IVMD101에서 50.00%로 TCM199 이 높았고, 39-50 개월미만의 경우에는 TCM199 에서 51.22%, IVMD101 에서 49.89%로 TCM199 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50 개월 이상의 경우에는 IVMD101 에서 57.40%로 TCM199 에서 52.25%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체중별로 채취된 난자는 TCM199 에서 분할율이 높았으며, 월령별로 채취된 난자는 50 개월이상의 경우 IVMD101 에서 분할율이 높았으나 39-50 개월미만과 39 개월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분할율이 높아 다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중, 월령 및 배양 배지에 따라서 분할율의 향상과 이때 발현되는 번식형질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n native cattle, Hanwoo, is the most popular breed of beef cattle in Korea. However,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data are limited although reproduction is one of the most economically and biologically important in beef produ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reproductive performance parameters including calving interval, parity for life time production. Data collected from 206,827 calvings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lving interval and gestation days as parity increased from 2nd and 13rd parity cow, from spring to winter. However, we found a dramatic increase in calving interval after year 2000. About 1 month were increased per year ( y = 30.578x + 344.45 R² = 0.9157). Interestingly, we observed that parities for life time can be affected by birth weight. Calves with 23 kg at birth showed highest parities, 3.4±2.0 times. In summary,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data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anwoo and the data presented here can be used as a standard target for optimising and enhancing reproductive performance.
        4,000원
        5.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포유기 사료 급여 기간의 변화가 포유 모돈의 생리적 변화와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256.15 ± 4.39kg의 F1 모돈(Yorkshire × Landrace) 30두를 공 시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법에 따라 3처리구에 배치하였다. 각 처리구는 1) L0-5: 임신기 110일령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2) L0: 분만일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3) L0+5: 분 만 5일 후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하였다. 포유기에는 모돈들에게 사료를 무제한 급여 하였으며, 실험결과 사료의 변화 시기는 모돈의 체중 및 등지방 두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 다. 사료섭취량에 있어서 분만일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돈 사료를 섭취한 모돈이 수치적으로 가장 높았지 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 자돈의 체중 및 유성분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분만 5일전부터 5일후 사이에 포유돈 사료로 교체하는 것은 모돈 의 번식능력 및 포유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성 성숙기의 한우 암송아지 18두(14개월령, 평균체중 251kg)를 이용하여 저 수준의 농후사 료 급여에 따른 성장과 번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시판 한우 번 식우용 배합사료를 체중의 0.8%(T1) 및 1.2%(T2)씩 총 30개월(사양시험 20개월, 번식능력시험 10개월) 동안 섭취하였으며, 처리구당 9두를 2우리에 완전임의 배치를 하였다. 본 시험의 사양시험 결과를 한국 가축사양표준의 영양소 요구량과 비교해 볼 때, T1구에서 성장이 제대로 되지 못한 이유는 에너지 보다 는 단백질 섭취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축의 체형변화에서 저 영양수준으로 인하여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는 흉폭과 체장이었으며 특히, 흉폭은 시험시작시보다도 종료시 측정치가 오히려 3.7% 작았다. 난소의 크기는 T1구가 T2구의 약 63%수준밖에 되지 않았으며, 수태율(33.3% : 77.8%)과 송아지의 생시체중(22.5kg : 29.5kg)도 T1구에서 심각하게 저하되었다. 따라서 한우번식우 사양에 있 어서 성성숙기 이후에도 에너지보다는 단백질 공급수준에 의해 사양성적 및 번식능력에 많은 영향을 끼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 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 소 36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8두씩 공 시하여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수행하였다. 단 태의 비율은 방목구가 31.5%, 사사구가 37.0%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는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 각 1.76과 1.69두로 사육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으며, 이유 시의 두수는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 으로 나타났다(p=0.11). 사육형태에 따른 생시체중은 방목 구가 2.3 kg, 사사구가 2.29 kg 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후 90일 령 이유 시 방목구가 9.97 kg 로 사사 구의 9.45 kg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9), 포 유기간 일당증체량에서도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 으로 나타났다(p=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 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분만형태, 산자수 및 생시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두수 및 자축의 일 당증체량에서는 방목사육 형태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방목이 흑염소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흑염소 생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번식능력과 자축의 발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36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8두씩 공시하여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수행하였다. 단태의 비율은 방목구가 31.5%, 사사구가 37.0%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는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1.76과 1.69두로 사육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유 시의 두수는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1). 사육형태에 따른 생시체중은 방목구가 2.3 kg, 사사구가 2.29 kg 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생후 90일 령 이유 시 방목구가 9.97 kg 로 사사구의 9.45 kg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p=0.09), 포유기간 일당증체량에서도 방목구가 사사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1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분만형태, 산자수 및 생시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두수 및 자축의 일당증체량에서는 방목사육 형태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방목이 흑염소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건강한 흑염소 생산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NPs in the 5'-regions of estrogen receptor-α(ESR-α), and association with calving interval (CI), service per conception (SPC) and 305 days milk yield in Hanwoo and Holstein dairy cattle. The genet-ic improvement was incurred low reproduction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nec-tions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of Estrogen receptor-α (ESR-α) with reproduction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service per conception, and 305 d milk yield) in Hanwoo and Holstein dairy cattle. Hanwoo and Holstei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83 and 124 dam of breeding farms and DNA was extracted. Primer design was based on NCBI GenBank (Accession No. AY340579). The PCR-RFLP method with Bgl I was used to ge-notype the cattle. The result showed two variants of the ESR-α gene. The Bgl I cut the 492 bp amplification pro- duct into 322 bp and 170 bp fragments for allele G, while allele A remained uncut, resulting in two restriction frag-ments for homozygote G/G and three fragments for heterozygote A/G. We found two of different genotypes in the-se breeds, A/G and G/G. In Hanwoo, the A/G genotype frequency was 0.13, and G/G was 0.87. The CI of A/G was 382.18±10.03 days, and G/G was 381.69±5.22 days. The SPC of A/G was 1.62±0.16, and G/G was 1.32±0.04. While CI showed no significance difference, SPC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Holstein cattle, the frequency of genotype A/G was 0.02 and G/G was 0.98. The 305 days milk yield of A/G was 7,253.00±936.00 kg and of G/G was 8,747.51±204.88 kg,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4,000원
        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productive ability by strains and age in weeks of Korean native chicken and to compare the egg weight by body weight of Korean native chicken cock. Six strains (L=black, W=white, O=Ogol chicken, G=gray, R=red, and Y=brown) of Korea native chicke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fertility of strains W and Y were 89.6% and 86.3%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strains (p<0.05). Strains R and W showed high hatchability (90.7%, 89.6%, respectively) and strains L and O showed low rate (78.9%, 87.3%,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weeks in each strain. The fertility was the highest at 28 weeks of age and the hatchability showed the highest value at 26 weeks of age. Egg weights of strains L and R were significantly high (p<0.05) but strains W and G were significantly low (p<0.05). Egg weight was higher in 1.65 ㎏ of Korea native chicken cock than in 2.00 ㎏ of Korea native chicken cock.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ing average weight (1.65 ㎏) of Korea native chicken cocks could have an advantage for the feed cost savings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4,000원
        11.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en on reproductive ability in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 (KNC, 58-wk old). The body weight, volume of semen and concentration of spermatozoa, were 2.96 g, 0.40 ml, 36.58×108/ml, respectively, in KNC. The fertility and hatchability were 94.8% and 78.8% respectively in crossbred KNC. KNC(Y) was high compared to other strains in fertility. The other stra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6 strain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hatchability of (G) was high compared to other strain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vailable to genetic improvement of reproductive traits as a basic reference in KNC strains. To achieve the more effective improvement of reproductive traits, addition research such as genetic parameter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3,000원
        13.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자 내의 phsopholipid hydroxide glutathion peroxidase (PHGPx) mRNA 발현 수준, heparin-binding protein (HBP) mRNA 발현 수준, 수태율 그리고 산자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태율과 산자수 사이에 있어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PHGPx mRNA 발현 수준에 있어 산자수가 10두 이상 군에서 (2,414.7±400.7) 8두 미만 군보다 (1,875.8±311.2)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HBP mRNA 발현 수준에 있어서도 산자수 10두 이상 군에서 (2,255.9±360.8) 8두 미만 군보다 (2,155.4±378.0) 약간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HGPx mRNA 발현 수준과 산자수 사이의 관계는 (r=0.206)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PHGPx와 HBP의 발현수준이 수태율, 산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PHGPx와 HBP가 정자의 수정능력을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
        4,000원
        1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 능력에 따른 번식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과학원 시험우사에서 사육중인 젖소를 이용하여 분만 후 유즙중 P4농도를 분석하였고, 전문경영체농장 22개 소에서 사육중인 젖소에 대한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고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 이상)와 평균 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이하)의 번식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젖소의 분만 후 progesterone peak는 고능력 및 평균 능력우의 경우에 각
        3,000원
        20.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모우의 선발방법으로 난포란을 이용하여 실험실내 정자의 수정능력을 직접 검정하여 평가코자 시도되었다. 즉 본 실험은 후대검정중에 있는 한우 후보종모우 15두의 동결융해정자의 수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액을 고장액(HIS)에 처리한 후 DM에서 6시간 그리고 소 난포액이 20% 첨가된 DM에서 4시간 전배양하여 수정능을 획득시켜 정자의 활력과 첨체 반응율을 조사하였고 전배양된 정자의 체내(토끼 난관) 또는 체외수정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FCS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