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pecimen geometry and notch on the hydrogen embrittlement of an SA372 steel for pressure vessel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 slow strain-rate tensile (SSRT) test after the electrochemical hydrogen charging method was conducted on four types of tensile specimens with different directions, shapes (plate, round), and notches. The plate-type specim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owing to its large surface-to-volume ratio, compared to the round-type specimen. It is well established that most of the hydrogen distributes over the specimen surface when it is electrochemically charged. For the round-type specimens, the notched specimen showed increased hydrogen susceptibility compared with the unnotched one. A notch causes stress concentration and thus generates lots of dislocations in the locally deformed regions during the SSRT test. The solute hydrogen weaken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dislocations by promoting the shielding effect of stress fields, which is called hydrogen-enhanced localized plasticity mechanisms. These results provide crucial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men geometry and hydrogen embrittlement resistance.
향신료로 널리 사용되는 후춧가루를 비가열 살균 방법 중 하나인 광펄스 살균 처리를 하는데 있어서 처리용기에 따른 사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처리용기의 형태는 정치형, 회전 원통형, recycling fluidized bed형의 3가지 처리용기를 사용하였다. 전압1000 V, 펄스수 5 pps, 시료와의 거리 4 cm의 조건에서 10분간 처리하였을 경우 정치형 처리용기의 경우에는 흑후추 80%, 백후추는 84%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치형 처리용기 내부에 거울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같은 처리조건에서 흑후추는 86%, 백후추는 85%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회전 원통형 처리용기에서는 전압 1000 V, 8 pps, 시료와의 거리 4 cm에서 10분간 처리하였을 경우 일반세균은 흑후추 75%, 백후추 79%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B. cereus는 흑후추 74%, 백후추 76%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Recycling fluidized bed형 처리용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흑후추는 일반세균 71%, B. cereus 60%, 백후추는 일반세균 73%, B. cereus 52%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광펄스 처리 후 후추의 수분함량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색도에 있어서는 흑후추의 경우 광펄스 처리 후 명도와 적색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황색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후추의 지표물질인 piperin은 흑후추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백후추의 경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중국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기초 화장품 용기디자인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여대생 라이프스타일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군집1은 용기 가운데의 폭이 넓은 형태로 단골점포 신뢰의 독립적 성향과 관련성이 있다. 군집2는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용기형태를 선호하며 적극적 투자, 외국어 중시, 인터넷 쇼핑을 선호하는 성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3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의 유기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큰 점포 신뢰, 점포구경취향, 자기취향에 맞는 제품을 추구의 성향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4는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가 내려갈수록 날씬해지지만 하단부에서 다시 넓은 형태를 선호하며 가정의지, 브랜드와 디자인 중시하는 성향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소비자들은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 다양하고 소비자들은 용기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감성이미지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디자인에 있어서 이러한 세분화된 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세분화된 제품 형태에 대한 연구 들이 서로 상관요소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소비자 시장의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도 보다 세분화된 분석방법들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설양묘 용기에서 직근성 수종인 찰피나무 유묘의 생육상황 및 뿌리발달 형태를 탐구하기 위하여 5개월 간 플라스틱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용기묘의 수고생장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근원경 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에 영향을 끼쳐 묘목의 뿌리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전체 지하부의 건물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묘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플라스틱망 용기는 찰피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 용기에서 생산된 묘목은 다양한 식재지 환경에서 식재될 경우 활착율 증가는 물론 생장율 증가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우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효율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하는 난소의 형태와 배양 용기로서 straw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의 형태에 따른 수정율은 전 군에서 70.3∼84.1%로서 비슷한 경향이었다. 8세포기 및 배반포기 발달율은 황체와 난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배반포의 inner cell mass(ICM), trophectoderm(TE), total cell number(TCN) 및 ICM/TCN 비율은 낭종군과 퇴행황체군이 다른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에 이용하는 배양용기에 따른 수정율은 0.5 ㎖ straw 군이, 8세포기 발달율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나, 배반포기 발달율은 23.1∼30.7%로서 각 군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각각의 배양 용기에서 유래된 배반포의 ICM, TE, TCN 및 ICM/TCN 비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원자력발전소의 1차 계통에서 오염된 장비들을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운반용기는 내부의 방사성 물질에 대한 방사능 평가에 의하여 방사성물질 A형 운반용기로 분류된다. 방사성물질 A형 운반용기는 IAEA Safety Standard Series No. ST-1 및 국내 원자력법 등 관련규정의 기술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운반용기는 중량에 따라 0.31.2m의 높이에서 소성이 일어나지 않는 단단한 바닥면으로 가장 심각한 손상을 주는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정상운반조건(normal transport conditions)에 대하여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ABAQUS/Explicit 코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형태의 A형 운반용기에 대하여 최대손상이 야기되는 0.9m 경사낙하조건에 대한 3차원 충격해석을 수행하고 구조적 건전성을 평가하였는데, 운반용기는 경사낙하시 코너피팅(corner fitting)의 분쇄(crush)에 의하여 대부분의 충격을 흡수하였으며 운반용기의 격납경계는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media kinds and container forms for urban agriculture on the growth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that could be used in construction of urban greenery and landscape gardens.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icient culture soil and container form for four herbaceous and one woody plant species.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species were examined on three different media kinds [horticultural substrate (HS), decomposed granite (DG), and horticultural substrate + decomposed granite (HS + DG)] with two different container forms [vinyl pot (Ø7.5 cm) and plug tray (20 ce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 values of media of HS and HS + DG were 5.8 and 5.9, respectively while DG was 6.5. HS had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0.90 dS・m -1 while HS + DG and DG had 0.39 and 0.08 dS・m -1 , respectively. Especially, most of the species experimented on HS tended to have the highest growth rate in the plant height, the root length, the number of leaves and fresh biomass weight compared to other soil kinds (P<0.05). The growth rate on HS + DG was much higher than DG. Therefore, our results support that HS + DG could be possible to replace with HS. In addition, there had no differences on growth rates between container forms (P>0.05). The use of plug tray could be more applicable than the use of vinyl pot containers, considering growth rates of plants and convenient of shipment on plant production.
하나의 신제품이 시장에 나오려면 많은 시간과 개발비용, 광고 및 판촉비용 등이 든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 끝에 나오게 된 신제품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은 10~20%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에서는 브랜드확장을 통해 신제품을 출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브랜드확장이란 소비자들의 기존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및 지식, 선호도 등을 확장브랜드에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Kimani, Sood, and Bridge, 1999).
샴푸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 무수히 많은 제품이 존재하며 브랜드확장을 통해 제품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에 샴푸의 브랜드확장 시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의 패키지디자인의 여러 그래픽적 요소들인 네이밍(naming), 브랜드로고(brand logo), 색채(color system), 캐릭터(character),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레이아웃(layout),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의 등도 브랜드를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그래픽적인 요소들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용기의 형태 또한 브랜드를 인지할 수 있다고 보고, 용기라는 것이 단순히 무엇을 담는다는 의미에서 확장되어 브랜드를 인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