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전남도 교육감 선거의 결과에 주목하여 통계자료 분석과 후보자의 교육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후보자의 선거전략, 선거공약과 선거 득표 결과에 대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통계자료와 신문 기사의 보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남도 교 육감 선거의 공약에서 공통적인 교육정책은 사회 환경적 변화 속에서 미래 혁 신교육과 교육의 대전환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남도 교육 감 선거 통계분석 결과, 선거인 수가 가장 많은 목포시에서 김대중 후보가 가장 많은 득표수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선거 결과는 후보의 선거전략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전남도 교육감 선거는 전략적인 측면에서 김대중 후보는 동명이인의 강점 최대화, 민주당 지지 세력의 확보, 세대와 지역을 초월 한 조직력 강화, 그리고 장석웅 후보는 기존 지지기반과의 갈등, 인사 문제 등 으로 인한 조직의 재정비 시간 부족 등으로 제대로 된 조직력을 발휘할 수 없 었다. 넷째, 전남도 교육감 세 후보의 공약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세 후 보자 모두 진보성향의 후보로 정책공약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적으로 전남도 교육감 후보의 교육정책은 큰 틀에서 미래 교육, 혁신 교육을 통 한 핵심역량 강화, 교육 대전환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당면 문제인 다문화 교 육정책 등 핵심 정책이 배제된 정책적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인 지석묘를 검토하여 시기별 전개와 전환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 시대 전기에 무덤이 출현한다. 지석묘와 석곽묘, 토광묘가 축조되며, 단독 혹은 군집 내 독립되어 있 거나 군집 내 위치한다. 지석묘의 경우 개석식이며, 개별 묘역시설을 갖추고 있다. 유물은 상징성을 가진 비파형동검, 석검, 부장용 토기류, 삼각만입촉, 일단경식석촉, 옥류가 출토된다. 중기에는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다양한 평면 형태를 가진 묘역시설이 있다. 한 묘역 에 1기 석실만 있는 묘역, 한 묘역에 4~6기 석실이 있는 묘역, 2개 혹은 그 이상의 각 묘역이 서로 잇대어 조성된다. 더불어 지석묘가 군집화된다. 수십 기 또는 백여 기가 넘는 대군집을 이루는 지석묘 가 확인된다. 유물 부장에 있어서도 전기 전통을 계승하지만 동시에 차별성을 보인다. 후기에는 지석묘 석실에서 초기철기시대 유물이 부장된다. 거대한 묘역 내 1기 혹은 2기 이상의 석실이 있거나 다단 토광으로 축조된다. 초기철기시대와 상당 기간 공존하며, 청동기시대 문화가 쇠 퇴하는 과정에서도 일정 기간은 묘제로써 권위를 유지하였다. 청동기시대 이후 새로운 무덤인 토광묘는 전남지역에서 기원전 3세기 무렵에 출현한다. 토광묘에 는 청동 유물이 수습되며, 철기 유물이 등장한다. 이를 통하여 지석묘 사회가 완전히 종착된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글로벌게임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한국의 게임산업 경쟁력 제고 와 수도권 중심의 산업 구조를 탈피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남지역 게임산업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전남 게임 콘텐츠 산업 및 인재 양성의 현황 을 분석하여 타시·도 대비 전남지역만의 게임콘텐츠 혁신 역량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전남정보 문화산업진흥원 수혜기업 지원 현황과 실태파악을 위해 유선전화 및 서면조사 및 전문가 인터 뷰를 통한 실증 연구를 도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 게임 산업 트렌드와 정부의 게임 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고려한 전남지역만의 게임콘텐츠 지원 방향과 육성 전략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경험과 제작 능력을 갖춘 게임 개발사의 국내외 시장 진출 강화, 도내 IP를 활용한 지역 특화 서브컬처 게임 제작 지원, 지역 대학과의 산학협력을 통한 인재양성 등의 전략을 제언하 였다.
연구의 목적은 청년이 지각하는 청년정책 인지도와 정책태도와의 관계 에 있어 정책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정책인지도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 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책인지도가 정책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 년인지도가 정책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정책효능감은 긍정적인 청년태도 를 갖게 한다. 둘째, 전남지역 청년정책의 인지도를 파악한 결과, 청년의 정책인지도는 낮은 수준이며, 그중 참여·권리분야의 인지도가 가장 낮았 다. 연구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정책의 실시할 때 정책효능 감 향상을 위한 방법들이 효과적이며, 청년이 긍정적인 정책태도를 갖게 하기 위하여 정책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청년의 정책인지도가 정책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인지도와 정책효능감을 향상시켜 정 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 년정책의 효과적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특정 정책 영역과 특정 청년 집 단을 고려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효능감 강화를 위해 구체적인 지 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공연장 규모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관람만족의 차이 분 석, 그리고 서비스품질과 관람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연장 서비스품질(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에 대한 공연장 규모 별 차이, 그리고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공연장 서비스품질 요인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한 후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소재에 있는 문화예술공연장(소극장, 중극장, 대극장)을 찾아온 관람객 을 대상으로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총 313부를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공연장 규모에 따른 서비스품질 차이분석 결과 응답성, 확신성, 공감 성에서 소극장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공연장 규모에 따른 관람만족 차이 분석 결과 소극장에서 관람만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연장 서비 스품질의 공감성, 유형성, 응답성, 확신성은 관람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의 문화예술공연장 규모에 따른 서비스품질 중요요인을 추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현장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전남지역에서 발굴조사 된 상징 지석묘에 대해 상석의 특징, 입지, 성격 등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상징 지석묘는 지연집단이나 혈연집단들이 그들의 상징적인 기념물로 축조된 지석묘로 제단 또는 묘표석이라 부르던 것을 포함하는 지석묘의 총칭이다. 외형상 웅장하고 주위 지석묘와는 뚜렷이 차별화된 상석을 가지고 있으면서 석실이 발견되지 않는 지석묘로 보았다. 이러한 지석묘는 기반식 지석묘와 함께 탁자식 지석묘가 있다. 전남지역에서 발굴조사 된 탁자식 지석묘는 상석이 100cm 이하로 얇은 편으로 단독입지보다는 군 집에 포함되어 존재한다. 이러한 탁자식 지석묘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채 무덤 기능을 하였음을 하 부구조 존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형지석을 포함한 기반식 지석묘로 제작된 상징 지석묘는 수십 톤에 이르는 거대한 상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상징 지석묘의 상석은 단면형태로 볼 때 방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구분된다. 또한, 외형상 두께가 강조된 것, 너비를 강조한 형태, 길이· 너비·두께 모든 요소를 강조한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상징 지석묘는 단독으로 있는 것도 있지만 군집 묘역 어느 한쪽에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거나 묘역 중앙에 위치한다. 지형적으로는 다른 군집보다 상대적으로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한다. 군집보다 위쪽에 있을 경우는 상징적 의미, 군집보다 아래쪽에 있을 경우는 묘표석 의미가 좀 더 강하게 부여된 된 것으로 보았다. 단독입지는 구릉 또는 평지에서 주변을 관망하기 좋은 곳에 위치한다. 묘표석 또는 제단적 성격이 강하며, 일부 매장주체부가 확인되는 경우는 가매장 시설일 여지가 있다. 군집 중앙은 지석묘 군집배치가 열상일 때 많이 확인된다. 군집 중앙에는 유력자 또는 상징적 인물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묘역이 조성되었을 때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독립입지는 열상배치와 군집화된 지석묘에서 볼 수 있다. 다른 지석묘군과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위치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지석묘는 묘역 을 상징하며, 의례적 성격이 짙다. 지석묘 군집에서 가장 먼저 축조되며, 혈연집단과 더불어 다른 집 단이 공동으로 묘역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청사 및 남악호수 일원에 도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녹색문화숲 확충을 목표로 전라남도와 무안군이 함께 진행한 것이다. 2005년 조성 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되었으나 공공청사에 부설되어 있는 녹지라는 이미지로 인해 도청방문객 및 지역주민들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에 한계가 있어 방치되어왔다. 이에 청사 전면부와 청사 내 주변 공간을 도민을 위한 공공공간 즉 공원으로 조성하여 개방하였다. 청사 앞 광장과 청사 주변 공간은 기능을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도청 내 호수 주변 녹지는 도민을 위한 개방된 공공공간인 공원, 즉 열린 숲으로 계획했다. 청사 내 기존자원 즉 남악 호수 및 숲 등을 활용하여 지역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특화된 산책로를 계획했으며, 모두가 원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아울러 지금까지는 편하게 이용되지 못한 장소를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아 공유마당 즉 쉐어링 가든으로 조성하여 도민 모두에게 공여하는 장소로 쓰이도록 계획했다. 2022년 정원페스티벌이 개최되는 도청사 전면녹지는 효율적 이용 및 상징성 부여를 위해 전라남도를 상징하는 상징 정원광장으로 계획했다.
이 논문은 2022년 6월 1일 윤석열정부에서 치러진 민선8기 지방선거 결과 광주·전남지역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호남지역은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으로 민주당의 핵심축으로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2022년 3월 대선에서 패배하였으며, 6월 지방선거에서도 참패를 당했다. 이러한 참패는 더불어민주당의 독주체제와 오만, 국민들의 민심 이반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광주투표율은 37.7% 로 전국 최하위로써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대선패배와 더불어 민주당에 대한 실망감으로 보인다. 반면 전남은 투표율 58.5%로 전국 최고치를 나타냈는데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불공정에 대한 반발로 무소속 후보에 대한 적극적인 투표효과로 보인다. 민선8기 광주·전남 국 민의힘 시·도지사 후보 득표율은 15% 이상으로 선거비용 보전이 가능하 게 되었다. 이러한 득표결과는 국민의힘의 지속적인 호남지역에 대한 서 진정책(西進政策)효과라고 분석된다.
본 연구는 전남 보성군 일림산(664m)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의 분포와 유용 산림자원을 발굴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장조사는 2020년 3월 31일부터 2021년 9월 22일까지 총 27차례가 수행되어, 101과 304속 444종 11아종 42변종 3품종으로 총 500분류군, 853점의 식물표본이 수집되었다. 조사된 식물을 동정한 결과, 산림청 지정 한국특산식물 16분류군, 희귀식물 7분류군, 환경부 지정 적색식물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69분류군으로 Ⅰ등급 49분류군, Ⅱ 등급 7분류군, Ⅲ 등급 11분류군, Ⅳ 등급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159 분류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래식물은 총 49분류군으로 귀화율이 5.6%, 도시화지수는 7.9%이다. 외국으로부터 인위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 균형을 교란시킬 우려가 있는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Interviews and boarding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usage of octopus pot in the coastal composite fishery in Jeollanam-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conduced by visiting the areas (Goheung, Yeosu and Wando), the number of octopus pots per nine-ton vessel were 30,000-80,000, and the number of daily usage pots were 7,000-10,000. The number of octopus pots per four-ton vessel was 40,000, and the number of daily usage pots were 4,000.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wo octopus pot fishing boats (9.77-ton and 4.99-ton) in Yeosu area, the daily catch weight of 9-ton class vessel was the minimum of 66.9 kg and the maximum of 159.6 kg. The daily catch weight of the four-ton class fishing vessel was from 31.3 kg to maximum 85.6 kg. The average number of octopus pot used per day in the nine-ton class vessel was 6,821 (the minimum of 6,031 and the maximum of 7,697) and 3,181 (the minimum of 2,282 and the maximum of 3,878) in the four-ton class vessel.
한반도해송숲의 지형환경, 기상조건, 토양 이화학적 성질과 곰솔의 생육상태를 조사해, 이곳 곰솔의 수세약화 원인을 찾아내고자 했다. 곰솔의 수세가 불량하거나 고사한 지역(수세불량지)과 대조구로서 곰솔의 생육상황이 양호한 지역(수세양호지)으로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수세불량지의 입목밀도는 수세양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수관폭은 반대로 수세양호지에서 더 넓었다. 고사목 개체수와 입목밀도는 서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 입목밀도와 흉고직 경·수고·수관고(crown height)·수관폭 사이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입목밀도가 높으면 개체의 수관이 겹쳐 하부 가지가 죽어 수관고와 수관폭이 작아졌다. 이에 엽량 감소에 따른 광합성량이 줄어들어 수고와 직경의 생장량이 적어졌다고 본다. 이로 인해 수세가 약해지면서 해안사구라서 수분·양분의 부족과 강한 조풍 등의 환경압이 가중되어 해안가 근처의 곰솔이 대규모로 죽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해송숲의 고사목 발생과 수세약화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곰솔 생장에 따른 적정한 입목밀도 관리 부족이라는 내부요인을 제1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또 곰솔 생육에 불리한 토양조건과 조풍, 강풍 등의 환경압을 제2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대학캠퍼스의 구성원의 풍부한 감성․기억․체험을 통해서 습득된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의 경관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심리적 요인을 찾아내어 경관 평가를 위한 의미구조를 파악하는 것, 그리고 대학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는 데 목표가 있다.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시각과 청각의 경관 이미지에 대한 평가요인과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시각 경관의 이미지는 활력․정취, 매력성, 청결성, 현대성, 통일성, 복잡성, 개방성의 7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시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매력성> 활력․정취>청결성>현대성>통일성>개방성의 순으로 구성된다. 청각 경관의 이미지는 정감, 활기, 평온성, 변동성의 4가지 요인이 관여하고,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정감>평온성>활기>변동성의 순으로 구성된다.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각 경관의 만족도가 청각 경관의 만족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로부터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의 구성원들이 파악하는 시각과 청각의 경관 이미지의 표현이 어떤 의미나 가치를 나타내고 있는지 확인가능하며, 심리적 경관의 이미지를 어떻게 물리적 가치로 치환해 낼 수 있는 지는 추후의 과제로 남아있다. 이 연구는 이제까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해 온 대학캠퍼스의 경관의 문제를 보다 질적인 측면으로 확대하고 다가올 미래의 경관 문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시도이다. 또한 지금까지 시각에만 머물러 있거나 의존해 왔던 경관 연구를 청각이라는 소리풍경(soundscape)의 문제로 확대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관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38 residents of the Jeonnam areas in Korea were assessed for their level of exposure to VOCs. The aim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levels of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to VOC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a health effect assess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ny fatal cause from carcinogenic or non-carcinogenic elements from case and control group. Personal exposure to benzene showed a higher distribution than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ca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ll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s. With regard to benzene, in the CTE, RME, and Monte-Carlo analysis, all subjects in the case group were seen to exceed the lifetime cancer risk of 10−6 defined by the US EPA and in the RME analysis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also seen to exceed the lifetime cancer risk of 10−6 defined by the US EPA. In the case of toluene, ethylbenzene on the CTE, RME, and Monte-Carlo analysis, the non-carcinogenic standard of 1 was not exc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