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항염증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홍삼 추출물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 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25 μg/ml에서 71.2 %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시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홍삼추출물이 항염 효과를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4,000원
        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udarabine, a chain terminating anti-cancer drug, is a purine analogue that causes DNA strand breaks in normal cell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if A. melanocarpa and Korean red ginseng extract mixture reduce cytotoxicity of fludarabine. Treatment of HaCaT cells with 10 μM of fludarabine for 24 hours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DNA strand breaks. Treatment of A. melanocarpa and Korean red ginseng extract mixture for 24 hours increased cell viability as compared with single extract treatment. The protective effect of these extracts on cell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DNA strand breaks induced by fludarabine decreased as concentration of extract mixture increased. p-H2AX level, a marker of DNA strand breakage, de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mixture. The effect of mixed extract of A. melanocarpa and Korean red ginseng on DNA damage is due to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 melanocarpa and signal transmission through glucocorticoid receptor upon binding of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4,0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홍삼박 물추출물(RGW), 에탄올추출물(RGE), 1,3-B.G추출물(RGB)을 HPLC로 성 분 분석과 B16F10에 대한 세포생존율, 항산화능 및 주름개선 효능 평가를 실시하여 홍삼박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추출물의 HPLC 성분 분석 결과, 세 가지 추출물 모두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었으며 그 중 RGB가 가장 많은 함량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었다. B16F10의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RGW와 RGB가 유사하며, RGE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RGE>RGB>RGW 순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능 측정 결과는 RGB>RGE>RGW순으로 활성능을 보여주었다. Elastase 저해능 측정 결과에서는 RGW>RGB>RGE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 를 종합하여 볼 때 피부안전성이 우수하며 항산화 및 주름개선 화장품소재로서 RGW와 RGB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산업에서 나노기술은기능성 및 품질의 향상을 위해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 농작물에도 나노물질을 응용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황금 사과, 황금 쌀, 황금 더덕 등 고부가 가치의 농작물 이 개발되면서 이들 농작물의 관능 특성 및 저장성이 증가하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나노 콜로이드를 2년간 시비하여 재배한 인삼을 이용하여 만든 황금홍삼추출물의 개발을 위하여 원료가 되는 금나노 콜로 이드 용액과 황금홍삼추출물에 대한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in vitro와 in vivo 상에서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In vitro 상에서 LDH leakage assay, WST-1 assay, ROS assay, clonogenic assay를 통해 금나노 콜로이드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 였으며, 장관 FAE (follicle-associated epithelium) 모델을 이용하여 장내 Peyer's patch 부분의 microfold(M) cell을 통한 장내 수송을 연구하였다. 또한, In vivo 수준에서 금나노 콜로이드 단회경구투여 후의 흡수율과 금나노 콜로이드와 황 금홍삼추출물의 14일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조직분포 및 독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clonogenic assay를 통해 고농도의 금나노 콜로이드를 장시간 세포에 노출시킬 경우 세포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합적 으로 금나노 콜로이드의 세포독성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in vitro 장관 FAE 모델에서 M cell을 통해 효 율적으로 수송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vo 수준에서 금나노 콜로이드 단회경구투여 후의 흡수율 결과, 금나 노 콜로이드는 금이온에 비해 적은양이 천천히 흡수되었고, 입자형태로 거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14일 반복 투여 독성평가에서는 금나노 콜로이드와 황금홍삼추출물 모두 랫드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황금 농작물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리적 기능성을 함유하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홍삼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605.25 μ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을 첨가군의 함량은 598.51~681.65 μ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함량에 비례하였다. 대조군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6.42 mg%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5.74~7.67 mg%로 대조군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 화합물 및 ascorbic acid의 변화를 보면 저장기간 내내 대체적으로 대조군보다는 홍삼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 대조군은 O.D.값이 0.2781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O.D.값이 각각 0.3260~0.3477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어 홍삼 첨가가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내내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은 대조군은 20.54 AEAC이었으나, 홍삼추출물 첨가군은 20.63~20.86 AEAC로 홍삼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피로 회복 또는 원기 회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경천과 홍삼을 이용하여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H2O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시킨 C2C12 근육세포에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의 처리한 후, 세포의 morphology, cell viability 및 항산화 효소들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C2C12 근육세포의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Cu/Zn-SOD, Mn-SOD 및 GPx 등과 같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세포 분화의 주요 전사인자인 Myo D의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은 세포내 항산화 효소 시스템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in vivo 시스템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홍경천-홍삼 복합 발효물을 이용한 항피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maltol quality, composition ratio of fatty acids,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white ginseng extracts(four types), red ginseng extracts(five types), Black ginseng extracts(two types), and Chinese ginseng extracts(nine types). By examining patterns in these measurements, w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extracts and measured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e analysis of maltol using TLC, white ginseng extracts were not detected while red and Black ginseng extracts were detected, so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was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fa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palmitic and linoleic acids were the main fatty acids in theginseng extracts palmitic acid was high in white ginseng extracts while linoleic was low in red ginseng extracts. Regarding the ratio(Pal/Lin) of the two fatty acids,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white ginseng extracts(56.7~64.3%) and red ginseng extracts(32.0~38.5%), and these figures seemed to be characteristic factors for the analysis. For the phenolic compounds, extracts contained maltol, caffe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and cinnamic acid. White ginseng extracts contained similar percentages of phenolic compounds while red ginseng extracts had high maltol conten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ercentages of maltol and cinnamic acid, white ginseng extracts showed values below five, whereas red and Black ginseng extracts showed 53~289, which was also a characteristic fa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Consequently, we found that we can differentiate between ginseng extracts using characteristic factors that we analyzed in an experiment on white ginseng extracts from China.
        4,000원
        12.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삼의 추출물인 50% ethanol extract, crude saponin, 그리고 lipid soluble fraction이 마우스 대식세포의 oxidative burst를 유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in vitro와 in vivo에 각각의 추출물을 처치하고 hydrogen peroxide 생산을 DCFH-DA를 이용한 형광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형광분광법에 의한 hydrogen peroxide의 측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DCFH-DA의 농도는 3.2 μM이었고, oxidative burst를 유발하지 못하였지만, zymosan A로 유발한 경우에는 50%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hydrogen peroxide를 생산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lipid soluble extract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한(P<0.01) oxidative burst를 유발하였고, ginsenoside(saponin)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 50% ethanol extract와 crude saponin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P<0.05) hydrogen peroxide를 생산하였다. 이는 ginsenoside가 마우스의 nitric oxide 생산을 억제한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Oxidative burst를 유발한 lipid soluble extract에는 phenol계 화합물, polyacetylene계 화합물, 미량선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차후 연구를 통하여 과연 어느 성분이 hydrogen peroxide를 증가시키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17.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o enhance the taste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ii fructus (Gugija) extract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ugija extracts caused by adding white ginseng (WG) and red ginseng (RG) Methods and Results: Gugija extracts, including 10G10, 10GW-G8 : 2, -G6 : 4, -G4 : 6, -G2 : 8, and -G0 (mixtures made by replac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ugija with WG), as well as 10G10, 10GR-G8 : 2, -G6 : 4, -G4 : 6, -G2 : 8, and -G0 (mixture made by replac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ugija with RG) were extracted with water at 10 times the respective mixture's volum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ugija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assessing their 1,1-diphenyl-2-picr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s the amount of WG added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the Gugija extract decreased.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 of 10G10, 10GW-G6 : 4, 10GR-G6 : 4, and 10GR-G0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25.50 ± 1.04, 52.06 ± 1.46, 16.87 ± 1.24, and 9.50 ± 0.16 ㎕/㎖,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ugija extrac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increasing amounts of RG. However, AC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50.25 ± 2.58%) in the Gugija 10-fold extract without any added RG.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adding RG to Gugija extracts increase their antioxidant, FRAP,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18.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fruit of Lycii fructus (Gugija) has beeen used as a tonic medicine and a long-term healthy food without side effect in Asia.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natural healthy food, Gugija has been thought as a source of healthy foods, and then the extracts of dried Gugija have been frequently used as food ingredients. But, its extracts with Gugija alone has a slightly bad tast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ugija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adding white ginseng (WG) and red ginseng (RG) to enhance taste. Methods and Results : Gugija extract were prepared by adding 0, 20, 40, 60, 80 and 100% of ginseng (WG and RG) to the weight of Gugija,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of Gugija extracts were investigate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FRAP, activity. As the amount of WG added increased,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Gugija extract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ugija extract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RG. The SOD-like activity of Gugija extract added up to 60% of WG and to 40% of RG was continuously lowered, in the addition amount thereafter, the activity increased as the addition amount increased. In components, As the amount of WG and RG added increased, the ginsenosides content of Gugija extract increased, the content of ginsenosides was higher in extract added RG than WG, but betain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decreased.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Gugija extracts by adding RG in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SOD-like activity, and the preference degree.
        2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Food industry is trying to replace many synthetic with surfactants with natural alternatives, mainly inspired by consumer’s demand. Saponins are water-soluble small amphiphilie molecules that can be isolated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Especially,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CRGE) contains saponins (called as ginsenoside) and they have been shown medical activities to help alleviate pathological symptoms, promote health and prevent potential disease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is natural emulsifier for forming and properties of emulsions containing those. Methods and Results : CRGE was supplied D company, located in Geumsan. We examined the interfacial tension, emulsifying activity, fat globule size, dispersion stability, zeta-potential, microscopic observation. The interfacial tension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CRGE concentration. In emulsion system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fat globules sizes also becomes smaller as well as result of dispersion stability evaluated by separation analyzer (i.e., LUMiFuge) showed that it was more stable in emulsions with increasing CRGE concentration. CRGE-coated droplets were stable to droplet coalescence over a range of pH value (2 - 9), salt concentrations (0 - 500 mM NaCl). However, some flocculation was observed under highly acidic (pH 3) and high ionic strength (≧ 400 mM NaCl) conditions,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screening of electrostatic repulsion. Especially, CRGE-coated droplets had high negative charged at basic pH that decreased in magnitude with falling pH. Conclusion : Thus, CRGE have some emulsifying properties as well as medical activities. The results means that emulsions formed with CRGE may be able to replace synthetic surfactants in food industr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