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61.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초중등 음악교과서를 기초로 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및 과목의 감상 영역에 나타난 비평과 관련하여 내용 체계를 분석하고 과목 간 연계성을 밝혀 비평 활동의 연계성 고찰을 위한 근거와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2015 초중등 음악교과서에 구현된 국악 비평 활동에 대한 학교급 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중등 학교급 간 연계성이 두드러진 국악 감상곡은 판소리, 창작 국악곡, 대취타, 풍류, 수제천, 가야금 산조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 감상곡을 중심으로 기능에 기반한 국악 비평 활동의 연계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학교급 간 연계성이 두드러지도록 학교급별 국악 비평 활동을 제시하였다. 음악 감상 영역에서 초중등 학교급 간 국악 비평 활동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초중등 학교급 간 기능에 따른 연계성을 고려한 다양한 국악 비평 활동과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음악교과서가 개발 되는 시기에 초중등 학교급 사이의 연계성에 따라 활발한 국악 비평 활동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62.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영국의 현대 미술가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예술가로 알려진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의 작품과 그가 추구하는 브랜드화 전략에 대한 비평으로 그의 작품과 전시가 지닌 예술성과 상업성에 대해 예술과 비즈니스, 브랜딩, 소비의 상호 작용을 통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허스트는 예술가이자 사업가, 전시기획자이자 판매자, 광고인이 자 브랜드매니저와 같이 다양한 수식어를 지닌 전략적인 작가이다. 허스트는 작품 제작 초기부터 일관되게 ‘죽음의 미학’에 대한 문제를 제기해왔으며, 삶의 유한성을 성과 속의 영역에서 상징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는 참신함과 충격 사이에서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만들어내며 자신의 작품을 적극 홍보하는 한편 아름다움과 추함, 숭고와 저속함 사이에서 긴장을 놓 지 않으며 자신만의 고유한 브랜드를 구축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우선 그가 왜 주목받는 작가가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허스트의 작품과 전시를 미술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한 허스트의 예술 상품을 통해 그의 브랜드적 가치와 소비의 상호관계를 신자유 주의 사상과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허스트는 적극적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전시를 기획하고, 예술을 상품화하며 문화예술 계의 관례를 허물며 다양한 이슈를 만들어가 가고 있는 작가이다. 이러한 다양한 작업 방식은 그가 예술에 임하는 태도일 수도 있겠지만, 그만의 고유한 브랜드화 전략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미안 허스트를 통해 예술가로서의 브랜 드화 전략과 그 가치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논해보고자 한다.
        63.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엘리엇은 20세기 현대 문학 이론과 비평의 큰 분기점이 된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몰개성화 과정을 통한 유기적으로 통합된 문학적 전통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론을 바탕으로 그는 『D. H. 로렌스와 인간 존재』라는 책의 서문에서, 로렌스가 작가로서의 자질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에 대해 변덕스럽고 논리적이지 못하다고 혹평한다. 즉 로렌스는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그로 인한 “무지와 편견”으 로 인해서 작가로서의 임무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의 위험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리엇의 로렌스 비판과는 대조적으로, F. R. 리비스와 레이몬드 윌리엄스는 로렌스가 당시 학계의 주류를 이 루던 교육의 편협함에서 벗어나 오히려 탁월한 내면적 통찰력과 “우월한 지성”으로써, 당시 영국의 사회와 앞으로의 미래 그리고 그 이면의 본질을 포착하여 작품 속에 훌륭히 형상화하고 있다고 극찬한다. 본 논문은 이들의 의견에 공감하면서, 엘리엇의 「전통과 개인의 재능」의 문학적 전통과 몰개성화 이론을 바탕으로 엘리엇과 로렌스의 사상과 문학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금 더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65.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건주의의 기원으로 간주되는 요한 아른트 (1555-1621)는 독일 근대사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루터교에서의 아른트의 위치와 평가는 중세 신비주의의 문헌 그리고 영성주의와 같은 종교개혁의 외적 문헌들이 그의 작품을 통해 17세기 개신교 안으로 흘러 들어왔다는 것에 달려 있다. 아른트는 자신의 주저 “참된 기독교에 관한 4권의 책” (1605-1610)을 통해 요한 타울러, 독일 신학, 앙겔라드 폴리그노, 그리스도를 본받아, 발렌틴 바이겔 그리고 파라첼수스 등을 수용하였다. 본 논문은 아른트의 기도 서적 “천국의 작은 정원” (1612)에 대한 문헌 비평이며, 이러한 문헌 비평을 통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중세 신비주 의자 버나드의 문헌 그리고 버나드의 영성 아래서 전승된 위 버나드 문헌들을 밝혀 낸 연구이다. 또한 아른트의 기도 서적 속에서 드러난 수난 신비주의, 신랑 신부 신비주의, 사랑의 신비주의, 예수 이름 신비주의 등 다양한 일치 신비주의는 버나드 없이는 이해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66.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프란츠 리스트(1811-1886)의 “충실한 해석자”로서의 대중적 이미지를 탐구한다. 리스트 본인이 명명한 “피아노 파르티씨옹”(Partitions de piano)은 충실하고 세밀한 편곡을가리킨다. 비르투오소로 명성을 떨치던 1830-1840년대 리스트의 충실한 해석자, 편곡자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파르티씨옹의 대표작인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편곡과 베토벤 교향곡의 편곡을 둘러싼 음악비평의 사례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본고는 다음 두 가지에 특히 초점을 맞춘다. 첫째, 비평가들의 “충실한 해석자” 담론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파르티씨옹의 미학적 정당성을 공고히 했는지에 주목한다. 여기에서 1차자료인 핑크(G. W. Fink)와 아다미(Heinrich Adami)의 비평에 특별히 유의한다. 둘째, 1830 년대 리스트의 활약의 맥락에서 면밀하고 용의주도한 해석자, 편곡자, 비르투오소의 대중적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설득력 있는 전략적 수사학의 하나로 “충실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그런 뒤에 보다 포괄적인 19세기 문화적 맥락에서 충실성 담론에 대한 전망을 넓힌다. 그 담론을 반비르투오소(anti-virtuoso) 논쟁 선상에서 이해하고, 리스트의 대중적 이미지와 전반적인 리스트 비평연구의 방향을 고찰한다.
        67.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지전능한 절대적 존재에 대한 믿음은 T. S. 엘리엇의 인생을 통하 여 드러나는 것이다. 악의 존재와 인간의 근본적인 불완전함에 대하여 날카롭게 인식하고 있었던 엘리엇은 자신이 유니테리언 교리가 상징하 는, 진보의 이상에 바탕을 둔 낙관주의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낙관 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엘리엇은 종교와 문학을 통합시킬 수 있는 길을 찾으려 하였다. 문학에서 종교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그의 생각은 「종교와 문학」이라는 에세이의 서두에서 잘 드러난 다. 엘리엇은 이 에세이에서 문학 비평은 윤리적, 종교적 관점을 통해 보완되어야 하며, 윤리적인 관점과 종교적인 관점이 조화를 이룰수록 문학이 더 풍부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엘리엇은 문학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 가치를 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있 는 절대적인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종교가 문학에 대한 도덕적 또는 윤리적 판단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6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critical analysis on the 10 Years (2002-2012) of the denominational activities since the 5 Districts were merged into one national district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advanced way to promote Church of the Nazarene for effective church growth in the coming era in Korea. For this purpose it attempts to evaluate the efforts and results of the unification of the five districts into one in relation to history and church growth of the denomination. Indeed, the merging of the five districts into one was a historical event in the mist of divisions and conflicts of the churches and denominations in Korea. Also the merging event was a distinctive model for innovative cultural adap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hurch of the Nazarene. This essay discovered some positive results from the unification, that enhanced the identity of the Nazarene Church,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for ordination process, church planting, and unified relations with the international church as well as Korea Nazarene University. However, still the unified church needs an innovative dimension of leadership system for effective church growth. This essay proposes that the pyramid model of the unified church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n organic or post-hierarchical system. Already, the name of “International Headquarter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was changed to “Global Ministry Center” to abolish the existing pyramid model of leadership toward organic model, which is the fundamental Biblical model of leadership for effective church growth. This essay insists that Nazarene Church in Korea also needs to work on having a less hierarchical system of the Church for effective church growth, that is one of the main movements of postmodern evangelical churches,
        6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은 현대 대중문화의 주요 콘텐츠로 평가받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게임 텍스트와 그 문화적 함의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게임이 발전하면서 게임의 텍스트적 특징, 그 형식과 내용을 설명, 해석하려는 학술적 비평과 언론비평이 함께 성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게임비평이 게임 텍스트를 어떻게 특징화하며, 게임에 대한 이해를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게임비평은 게임을 다양한 주제의식과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으나, 특히 게임 플레이를 통해 게임 텍스트가 구조화되는 방식, 내용적 특이성 및 그것이 수반하는 사회문화적 함의가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게임비평은 게임 텍스트 자체 및 게임과 사회문화적 현상간의 관계를 맥락화함으로써 게임의 역사를 구성해내는데 기여하고 있다.
        70.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수에 참여하였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 개선과 관련된 요구를 분석하였다.개선 요구 분석 결과,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관련해서 보완되어야 할 점은 첫째, 다양한 수업 사례 제시와 둘째, 수업비평의 방법과 절차에 대한 단계적인 안내이다. 또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방식과 관련해서는 첫째, 수업비평에 대한 이론과 실제가 경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연수 참여자들 사이의 원활한 대화와 토론을 위해 유연한 자리배치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연수 관련 자료 제시 순서에 고려와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앞으로 진행될 연수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방향을 마련하였다.
        7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업비평 활동을 통한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수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비평 활동을 실시한 후 수업전문성 신장 여부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전문성을 총 4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그 하위 영역들의 수업전문성 변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수업전략 및 매체활용’,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상황 대처 및 시간관리’, ‘자신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성찰’ 영역과 그 하위 11개 영역 모두에서 수업비평 전과 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비평 활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영상 수업비평 활동을 하고 난 후에 교원양성과정에서 수업비평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영상 수업비평 방법 활용에 대해서 ‘좋은 점’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결과, ‘좋은 점’에서는 ‘수업전략 및 매체활용의 실제적 방법의 습득’, ‘실제 현장의 수업을 간접 경험’, ‘나의 수업 방법의 문제를 반성하고 개선점을 확인’ 등의 유익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2.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 S. Eliot’s doctrine of th.e objective correlatÎve in terrns of th.e European tradition of organicism. A consideration of the organic implications in Eliot's major critical concepts, s찌u따c대h. as “ whole of fee터ling’r’”’ “끼un삐nt비i“fied sensibility," and "depersonalization," reminds us that Aristotle, Longinus, and Horace also highly valued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and tbe organic unity of thought and feeling in great classical poetry. S. T. Coleridge had imported organic ideas from Gerrnan thinkers and applied tbem to bis Shakespearean criticism. Refuting the neo-classical view tbat Shakespeare failed to give an adequate verbal forrn and organized structure to his talent, Coleridge insisted that “no work of genius dares want its appropriate forrn," and eulogized Shakespeare’s organic verbal structure equal to his genius. But, contrary to Coleridge, Eliot underestimated Hamlet as an artistic failure on tbe ground that Shakespeare could n이 find the obj야tive correlative equivalent to Hamlet’s baff1ement.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in the course of denouncing Hamlet, Eliot invented his doctrine of the objective correlative, wbich is an adoption of the organic principle inherited from S. T. Coleridge and Gottfried Leibniz. In his Knowledge and Experience, Eliot noticed that, having essential organic features, Leibniz’s windowless monad was very similar to F. H. Bradley’s concepts of the finite centre and immediate experience. In these concepts of holistic and empirical idealism,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spirit and matter, self and the world, feeling and image, and forrn and content cann이 be maintained for their mutual interdependence. So, it should be said that the concept of the objective correlative was a special application of Eliot's general principle of “the unity of feeling and objectivity," for feeling and objectivilY are only discriminaled aspects of Ihe whole experience. He remarked Ihal there was Ihe mutual incJinalion of menlal feeling and verbal image 10 reacl upon one anolher so inexplicably that Ihe relalion should be said 10 be organic. Therefore, the organic features implied in his crilical concepls and, in particular, Ihe doctrine of Ihe 0비e이ive correlalive confirrns Ihal he achieved a rapprochement between modem poetics and Iradilional authority.
        7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학 교육은 학습 독자의 문학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다. 또한 문학 교육에서는 학습 독자가 주체적으로 문학 작품의 의미를 인지적, 정의적, 평가적인 면에서 구성하고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 독자의 균형 있는 문학 능력 신장과 주체적인 의미 구성을 위한 방법으로 문학 비평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문학 비평 교육의 개념을 정의하고, 학습 독자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독자의 수준에 맞는 문학 비평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학습 독자 중심 비평과 문학 작품 기반 비평이 함께 이루어진다는 관점을 전제로 문학 비평 교육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문학 비평 교육은 학습 독자가 문학 작품에 대해 주체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문학 교육 방법이다. 문학 비평 교육에서 학습 독자는 자기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인지적, 정의적으로 수용하고 평가하여 의미를 구성한다. 또한 문학 비평 교육은 학습 독자가 문학 작품의 가치를 분석하여 자신이 구성한 의미에 대한 근거를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문학 교육 방법의 한 형태이다. 특별히 초등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 비평 교육은 학습 독자의 문학 반응 발달 특성과 비평 수행 능력을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검증하여 교육 수준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근거로 한 학습 독자를 위한 문학 비평 교육은 학습 독자가 문학 작품을 읽고 주어진 관점 중 한 가지를 선택, 그 관점에 맞게 작품을 이해, 감상하고, 논리적으로 가치 평가하여 구체적인 비평 텍스트를 표현하도록 하는 활동 중심의 문학 교육을 의미한다.
        76.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riticism of T. S. Eliot shows an extraordinary lack of interest in what literary works actually say. Its attention is almost extremely confined to qualities of language, styles of feeling, the relations of image and experience. With Arnold, however, the emphasis is on substance rather than on form. Such emphasis led him into his attempted definition of poetry as criticism of life. In like manner, Leavis also emphasized that poetry be in serious relation to “Life,” have a firm grasp of the actual, of the object. If we may call Eliot a poet as poet, either Arnold or Leavis can be rightly labeled a poet as preacher. These two contrasting attitudes are illustrated in their criticism on such Romantic poets as Wordsworth, Shelley, and especially Keats, where the difference is most distinctly manifested. Though Eliot, in his later poems and essays, have passed on to other problems including the relation of poetry to the spiritual and social life of its time, he has never derailed himself from considering poetry primarily as poetry, not as any other.
        7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many themes and many contradictory aspects in T. S. Eliot's works, such as religious themes of Christianity, Buddhism and Hinduism, and philosophical themes of time and space, conflict and unification, and good and evil. It is natural that a researcher of T. S. Eliot has an impulse of finding out a whole and inclusive code which can cover most of the themes in his work. My argument is that we can find an effective critical Ariadne of Christian mysticism to provide a narrative thread to unite and reconcile various contradictory themes like conflict and unification. This thesis intends to reveal that T. S. Eliot’s criticism has much in a common with many kinds of mystic thoughts. Many mystic scholars define the various aspects of mysticism; immanence and transcendence, and introvertive mysticism and extrovertive mysticism. F. C. Happold, Evelyn Underhi11, and Colin Wilson are the influential mystical scholars whose concepts of unification and transcendental experience are found in their works. Among the critics who approach Eliot’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mysticism are Karl Shapiro, Robert Sencourt, Lyndall Gordon, Kristian Smidt and F. M. Ishak. Their comments provide effective supplement to the thought of medieval Christians represented by Pseudo-Dionysius and John of the Cross. The core concepts of Eliot’s criticism can be found in Eliot’s critical discourse about his predecessor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mysticism. As Eliot says, surrendering oneself to the work to be done is the best way to reaching depersonalization. We can say that the course of depersonalization is similar to the course of the union to God in that each of them has the extinction of emotions and selves. And so it will be said that the objective correlative is to the art what the union with God is to the religious self. The sexual experience of Dante is said to be not a simple experience but a mature reflection related to the attraction towards God. This shows that a common and simple everyday experience can be a divine and reverential experience in the mystical point of view. Seen from the point of view of Eliot, the terrible experience like the despair and disil1usion of Baudelaire can also be the prelude and joy of faith. Eliot said that Tennyson also had the aspect of Christian mysticism in that he was desperately anxious to hold the faith of the believer. According to Eliot's view, Tennyson’s despair and doubt can be said to be an intense experience and a penultimate stage of ‘dark night of soul'. In conclusion, various crit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s of Eliot such as impersonal theory, unified sensibility, tradition, objective correlative, and the Absolute can be unified ín the scheme of Christian mystícism. By followíng various critical essays about poets, Eliot can be said to manifest his attitude and belief towards Christian mysticism.
        7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ill explore Eliot’s later poetics through Four Quartets and his later criticism in the sense that Four Quartets reveals the social function of poetry and poets, and his remarks on other poets give us some important clues to his own later poetry. A recurring theme in Eliot’s writings on language, in particular the English language can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terms: what a poet does to the common speech, and what he does for it. Eliot addressed considerable thought to the issue of linguistic change and originality and to the poet’s particular role as both an innovator and preserver of language. The first point is that language must involve change and creativity, because of its functions as the structuring medium of our experience and as a tool which both reflects and serves our needs and interests in coping with the world. To quote “Little Gidding,” “poetry must purify the dialect of the tribe.” Next, we arrive at a final question in Eliot’s thinking about poetic language: can its “realizing” powers touch something beyond human unreality? In a way to search for the answer, the music of poetry begins to take on more and more importance, partly because Eliot feels that it can express the inexpressible. It would be an error, however, to link Four Quartets with music too hastily. Eliot brings music and meaning together, and recognizes them as a unity. He was also wary of any equation of music with mellifluousness or sonority. At any rate, I suppose, the most important of all Eliot’s ideas related to the “music of poetry” is that of the vital relation of poetry to common speech. Four Quartets is one of the most sustained meditations in our tradition on the problems of language and rhetoricity as they bear on practical and poetic expressions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ways alike. Certainly, it is a poem that discusses its own poetic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