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types of tea are consumed as a popular beverage worldwide particularly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neral conten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cancer activity of Yak-Sun tea that is prepared by six oriental medicinal herbs. The results of the mineral contents were as follows; Ca, Mg, and Na cont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tea, whereas Fe, P, and K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green tea. The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Yak-Sun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and black teas. The IC50 values of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of Yak-Sun tea were 0.78, 1.58, and 2.04 ㎎/㎖, respectively, whereas the radical scavenging values of α-tocopherol was 0.06, 0.05, and 0.09 ㎎/㎖, respectively. When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Yak-Sun tea, the anticancer activit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HCT116 colon cancer cell line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compared to other cancer cell lines, such as MCF-7, H460, and MKN45 cell 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Yak-Sun tea could function as a tea to enhance health conditions for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4,000원
        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풀과 허브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암,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검정한 결과, lemon balm의 leaves 추출물에서 629.48±0.90 mg GAE/g DW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고, rosemary의 whole 추출물에서 22.45±0.81 mg CE/g DW 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Rosemary(whole)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21.78±0.68 μg/ml로 대조구인 ascorbic acid(66.49±0.56 μg/ml)보다 3배 정도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age의 whole로부터 얻은 메탄올 추출물은 암세포에 세포독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는 독성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 sage의 whole (56.23±0.21 μg/ml)과 root(63.36±0.69 μg/ml)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대조구인 arbutin(69.56±0.15 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이들 식물들에 대해 추출용매 및 추출온도 등추출조건에 따른 최적 추출효율을 검토하고, in vivo 실험을 통해 생리활성 능력을 검정하는 등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by leaves extracts from Acer tegmentosum (AT-L). In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T-L revealed the high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the AT-L measure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ch is higher than ascorbic acid. The types of human cancer cells for evaluating the anticancer activity were colorectal cancer (SW480), prostate cancer (PC-3), breast cancer (MCF-7), pancreatic cancer (AsPC-1), lung cancer (A549) and liver cancer (HepG2). Human cancer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MTT assay. Treatment of the AT-L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in SW480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f the AT-L can be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 for developing the natur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drug for human cancer cells.
        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aeda japonica is a halophytic plant that lives in mudflat at intertidal zone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he seawater-living plants showed a purple color during their whole life. In contrast, freshwater-living plants displayed a green color in leaves. When seawater-living plants were transferred to potting soil, the purple color was gradually changed to green in the leaves. The extracted purple pigment compound exhibit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betacyanin that were represented by water solubility, pH- and temperature-dependent color changes, sensitivity to light, UV-Vis spectra, and gel electrophoretic migration pattern. The LC-MS analysis of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showed the presence of two major protonated molecular ions ([M+H]+) at m/z 651.1 and m/z 827.1.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igment compound was determined using stable free radical DPPH assay. It was found to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that is linear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action time for up to 30 min, and the activ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control BHA at 9.0 ㎎/㎖. The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everal tumor cell lines was also examined following the MTT assay. The significant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on two tumor cell lines, SW-156 (human kidney carcinoma) and HEC-1B (human endometrial adenocarcinoma). Probably, the pigment compound may function as an osmolyte to uphold halotolerant physiological processes in saline environment.
        8.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tent of phenolics and various anthocyanin compounds, and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pomergranates, which were produced in two different regions including Goheung, Korea and California, USA. These pomergrantes were divided into juice, pericarp, and seed parts and each part was extracted with 95% methanol. Content of total phenolics [mg chlorogenic acid equivalents/kg DW] was highest in pericarp, followed by juice and seeds from pomergrantes in both regions. The anthocyanins identified in pomegranate fruit were cyanidin-3,5-diglucoside chloride (Cy3,5G), cyanidin-3-O-glucoside chloride (Cy3G), delphini din-3,5-di-O-glucoside chloride (Dp3,5G), delphinidin-3-O-glucoside chloride (Dp3G), pelargonidin- 3,5-di-glucoside chloride (Pg3,5G), and pelargonidin-3-glucoside chloride (Pg3G). Among these, cyanidin-3, 5-diglucoside chloride (Cy3,5G) was the major anthocyanin in California pomegranate fruit juice and Goheung pomegranate fruit pericarp.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and was higher in pericarp part than juice or seed parts from pomergrantes in both regions. By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pericarp extracts from pomergrantes in both regions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activity, which was higher on Calu-6 for human pulmonary carcinoma than SNU-601 for human gastric carcinoma. Correlation between polyphenols and anticancer activity on Calu-6 was determined to be in the range of r2=0.8904 to 0.9706.
        1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피색이 다른 세 품종을 이용하여 총페놀함량, 항산화활성 및 항암활성의 변이를 조사하였다. 총페놀함량은 흑진주벼의 쌀겨와 영이 적진주벼와 일품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흑진주에서는 쌀겨가 영보다 함량이 높았으나 다른 두 품종은 영이 쌀겨보다 함량이 높았다. DPPH 자유기 소거능은 흑진주와 적진주의 활성이 일품벼 보다 높았으며, 쌀겨 추출물이 영 추출물보다 훨씬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흑진주의 쌀겨 추출물이 다른 품종의 쌀겨 추출물보다 3~16배의
        11.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
        12.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충하초 20여종의 균사와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활성 효과를 항산화와 항암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항산화 활성 실험 DPPH와 FRAP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다수의 동충하초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간에 따른 FRAP활성에서는 배양배지에서 균사체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OS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O활성 실험을 한 결과 NO활성은 추출물의 종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3.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아콩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검정콩으로 발아시킨 대두황권을 고초균과 혼합 젖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추출물에 대한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항산화능, 일산화질소(NO) 생성 및 인체암 세포주(HeLa, HepG2, HT-29, MCF-7)의 항암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은 추출물에 대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흑대두는 황색대두에 비하여 높았으며, 발효콩 대두황권보다는 비발효 시료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일산
        14.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태국산과 베트남산의 용안육 원료 및 그 발효물의 전자공여능, 일산화질소(NO) 생성효과, 인체암 세포주인 자궁경부암세포(HeLa) 및 간암세포(HepG2)의 항암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원료 용안육의 총 유기산은 태국산 용안육(473.49 mg/g)이 베트남산(148.48 mg/g) 용안육에 비하여 3.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전체 유기산의 각각 89.2%와 86.8%를 나타내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formic acid와 malic acid
        1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엉겅퀴 부위별 메탄을 추출 수율을 구한 결과 뿌리 및 잎 추출물은 10% 정도의 수율을 보였으나 줄기 추출물은 2.8%의 낮은 수율을 보였다. 항산화활성 실험 결과 부위별 ethyl acetate 분획물과 butanol분획물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뿌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RC50:11μg/ml)과 butanol 분획물(RC50:14μg/ml), 잎의 butanol 분획물(RC50:15μg/ml)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RC50:12μg/ml)이나 BHA(RC50:14μg/ml)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곰팡이에 대한 포자발아 억제시험에서는 전반적으로 물분획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Yeasts에 대한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시험은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Ames test결과 MNNG(0.4μ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0μg/plate에서 핵산 분획물이 88.18%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NQO(0.15μg/plate)에 대한 S. typhymurium TA98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0μg/plate에서는 엉겅퀴 뿌리 추출물 및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7, 75.8%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TA100 균주에서도 엉겅퀴 뿌리 추출물 및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2.5, 74.3%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Trp-P-1(0.15μg/plate)을 사용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는 시료농도 1000μg/plate에서 엉겅퀴 뿌리 추출물(1000μg/plate)에서 82.25%의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균주의 경우, 시료농도 1000μg/plate에서 부탄을 분획물에서 77.75%의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엉겅퀴 뿌리 추출물 및 용매 극성을 이용한 분획물을 대상으로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A549, Hep3B, MCF-7 세포주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인간유래의 정상 간세포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는1000μg/ml 시료 첨가 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60% 전후의 억제율을 보이는데 반해 293에 대해서는 25% 이하의 생육억제율을 보였다. 이는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