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evaluation of the low-temperature performance of an asphalt mixture is crucial for mitigating transverse thermal cracking and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s. Engineers in pavement agencies must identify and verify the pavement sections that require urgent management. In early 2000, the research division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3D) pavement condition monitoring profiler vehicle (3DPM) and an advanced infographic (AIG) highway pavement management system computer program. Owing to these efforts, the management of the entire expressway network has become more precise, effective, and efficient. However, current 3DPM and AIG technologies focus only on the pavement surface and not on the entire pavement layer. Over the years, along with monitoring, further strengthening and verification of the feasibility of current 3DPM and AIG technologies by performing extensive mechanical tests and data analyses have been recommended. METHODS : First, the pavement section that required urgent care was selected using the 3DPM and AIG approaches. Second, asphalt mixture cores were acquired from the specified section, and a low-temperature fracture test, semi- circular bending (SCB) test, was performed. The mechanical parameters, energy-release rate, and fracture toughness were computed and compared. RESULTS : As expected, the asphalt mixture cores acquired from the specified pavement section ( poor condition – bad section) exhibited negative fracture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control section (good section). CONCLUSIONS : The current 3DPM and AIG approaches in KEC can successfully evaluate and analyze selected pavement conditions. However, more extensive experimental studies and mathematical analyses are required to further strengthen and upgrade current pavement analysis approaches.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ic doors have been applied in urban trains since 2007 and operated for a long time. Recently, the failure of mechanical devices in electric doors have been increasing. The door is a devic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passengers. The rivet breakage of a ball/nut assembly may occur to an accident during train operation. In this study, the operating voltage and acceleration data of the door were collected for rivet condition monitoring, and 4 features were extracted in the frequency domain using the acceleration data.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rivet condition according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data and 4 kernel functions was evaluated using SVM algorithm. When the X-axis data and Gaussian kernel function were used, the high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shown for the electric door’s rivet with 90% accuracy.
        4,000원
        3.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igh-level nuclear waste (HLW) repository is a 500-1,000 m deep underground structure to dispose high-level nuclear waste. The waste has a very long half-time and is exposed to a number of stresses, including high temperatures, high humidity, high pressure These stresses cause the structure to deteriorate and create cracks. Therefor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with monitoring sensors is required for safety. However, sensors could also fail due to the stresses, especially high temperature. Given that the sensors are installed in the bentonite buffer and the backfill tunnel, it is impossible to replace them if they fail. That’s why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sensors’ durability under the repository’s environmental conditions before installing them. Accelerated life test (ALT) can be used to assess durability or life of the sensors, and it is important to obtain the same failure mode for reliability tests including ALT. Before conducting the test, the proper stress level must be designed first to get reliable data in a short time. After that, acceleration of life reduction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emperature-life model should be determined with some statistical method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designing stress levels and predicting the life of the sensor were described.
        5.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uclear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the use of radioactive materials, the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is increasing. As the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increases, the occurrence of related safety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dioactive waste monitoring technology to prevent such accidents in advance and efficiently manage radioactive wast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various ICT technologies such as Internet of Things (IoT),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that can help with the safety management of these radioactive waste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a radioactive waste monitoring technology was developed using ICT technology, such as management of the entire cycle history of waste using Quick Response (QR) codes, and development of AR visualization technology for small packages of radioactive waste. In addition, by using IoT technology to collect desired data from sensors and store the results, after the waste drum is loaded in the waste storage, a technology was developed to track and monitor the history and movement of the waste drum from repackaging to transfer to the storage. The data required for monitoring the radioactive waste drum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the drum is open or closed,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To collect this information, a drum monitoring technology was built with a 2.4 G wireless router, an anchor constituting a virtual zone, a tag to be mounted on the drum container, and a WNT server that collects sensor data. The network tool provided by WirePas was used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 status of gateways and nodes can be monitored by interworking with the WNT server. The configured IoT sensor technology were tested in a waste storage environment. Four anchors were installed and linked to the network to match the virtual zone and the real storage zone,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movement of the tag was recorded on the network while moving the tag including the IoT sensor for analyz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contribute to the safety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and establishment of Waste Acceptance Criteria (WCP) by and managing the history and monitoring the waste in the entire cycle from repackaging to disposal.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자연재해에 의한 토목구조물의 피해 및 붕괴를 예방하기 위하여 처짐 및 균열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효과적인 구조물 관리를 위해 광학 이미지 기술이 유지관리 기술에 적용되고 있 다. 하지만 광학이미지 기술은 촬영에 따른 주변 조건의 영향이 크며, 그 때문에 촬영조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촬영조건으로 자연광, 촬영매수, 촬영거리를 따른 수직변위 추정값의 정확도에 대해 검증하였다. 실험을 통 해 확인한 결과 자연광이 수직변위를 추정하는데 자연광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촬영거리 또한 수직변위를 검토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서 외부환경에서 촬영하는데 활용하여 변위 추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조물 유지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4,000원
        7.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 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1, 0∼80%) 및 추출 시간(X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 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 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 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 μg/100 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 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 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 노이드 함량은 3,145 μg/100 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 (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 μg/100 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무구속, 무자각, 무침습적인 패치형 심장활동 모니터링 시스템(HAMS)을 개발하였다. 이 심전도 모듈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받아 실시간으로 피검자의 심장 활동 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장시간 동안 손쉽게 모니터링 측정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갖추고 있다. 가슴에 부착이 가능한 패치 타입의 소형 전극을 자체 제작하였고, 측정된 심전도 신호에 대한 신뢰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HRV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HAMS을 이용하여 동일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HRV 파라미터와 불안, 스트레스 항목에 대한 설문지 평가, 스트레스 호르몬(코티졸)양을 측정하였다. 일상 상태와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값들을 비교한 결과, 많은 파라미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피어슨 상관계수로부터 스트레스와 상관성이 높은 파라미터를 검토하였다. 이는 HAMS를 이용하여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HAMS를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심장 이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9.
        200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hat checks vehicle conditions, and transmits and displays them to a driver for safety and effective maintenance. We used a CAN controller and transceiver to establish the CAN communication that has been used commonly inside an actual vehicle for the collection of vehicle's status information. To validate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we have confirmed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ehicle information.
        4,000원
        1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ouble prevention of facilities in operation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Improving facilities productivity as pro-duct-on systemization is installed with development of facilities automatization Condition monitoring predicts machine's in-ternal c
        4,000원
        1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기에 추가적인 통신전용선로를 확보하지 않고도 자체 전력선을 이용하여 나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W 급 해상풍력발전기의 내부 전력선을 훼손하지 않고도 통신선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유도성 결합기 기반 비접촉식 무배선 통신시스템을 제안하고 성능시험 결과를 보고한다. 페라이트 복합물질을 이용하여 최대 500 A의 고 전류에도 동작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용 유도성 결합기를 개발하였으며 제주도 풍력단지에서 실증시험을 진행하였다. iperf를 이용한 통신성능시험에서 풍력발 전기 나셀부와 하단 기저부의 전력변환기간 100 m 길이의 전력선으로 최소 15 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보였 다. 이를 바탕으로 1 주일간의 연속적인 통신상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평균 20 M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확인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단한번 의 통신 불량도 발생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나셀 내부 온도 분포와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카메라에서 획득한 실시간 열화상 이미지가 오류 없이 성공적으로 전송됨을 확인하였다.
        1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rability of structures that has been built along the coastline based on the nation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became a very important standard in economic and societal aspects. The environment that the steel corrosion would most likely happen is called tidal zone. It is a well-known zone and lots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We decided to implement steel corrosion monitoring on artificial seawater to find what kind of environment accelerates the steel corrosio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periment through galvanic potential measurement and half cell potential measurement
        14.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대표적 손상형태 중 하나인 로터의 질량 불균형으로 인한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평축 3-블레이드 풍력발전기를 대상으로, 블레이드 1개의 질량을 증가시키면서 로터의 질량 불균형 조건을 구현한 후 전체 풍력발전기에 대한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질량불균형이 발생하면 부가질량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나셀의 로터 회전축에 대한 횡방향 진동이 발생하고, 부가 질량의 크기가커질수록 나셀 횡방향 진동의 진폭이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5.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도반시를 이용하여 감와인 및 증류주 개발을 위해 감과실의 알코올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코올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별한 결과 S. kluyveri DJ97이 알코올 함량 10.8%, 알코올 수율 96.3%로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을 함량은 935 ppm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와 가수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초기 , 가수 120%(v/w)군간에서 알코올함량 1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ectinase 무처리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16.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의 무증자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반응표면분석으로 알콜 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무증자 발효에 가장 적합한 효모는 S. cerevisiae GRJ이었으며, alcohol content, brix, pH 및 총산에 대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R2는 각각 0.8852, 0.9202, 0.8806 및 0.9940이였다. 최적 알콜발효 조건은 효소제 함량 0.18%, 가수량 180%(v/w)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알콜발효조
        17.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무증자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반응표면분석으로 알콜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무증자 알콜발효에 적합한 S. cerevisiae GRJ를 선발할 수 있었다. 알콜함량, brix, pH 및 총산에 대한 회귀식의 는 각각 0.8828, 0.8409, 0.9431 및 0.9280이였다. 무증자 알콜발효에서 알콜함량의 최대치는 효소제 함량 0.34%(w/w) 및 가수량 350(v/w)의 범위에서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