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nting date of corn for silage has been delayed because of spring drought and double cropping system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corn at April and May in 2019.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plot with three replications. Planting dates (12 April and 10 May) were designated to the main plot, and corn hybrids (‘P0928’, ‘P1543’ and ‘P2088’) to the subplot. The silking days of the early planting date (12 April) was 79 days and that of the late planting date (10 May) was 66 days (p<0.0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rn hybrids. Ear height of the late planting d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arly planting (p<0.05),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t height of corn. Insect resistance at the early planting was lower than that of late planting (p<0.05), however, lodging resistanc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lanting date. The rice black streaked virus (RBSDV) infection of early planting was 3.7% and that of late planting was 0.3% (p<0.001). Dry matter (DM) contents of stover, ear and whole plant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planting date (p<0.05). And differences in ear percentages were observed among the corn hybrids (p<0.01). And ear percentages of early maturing corn (‘P0928’) was higher than for other hybrids. Ear percentage at the early planting date was higher than that at the late planting date (p<0.01). 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planting dat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rn hybrids. DM and TDN yields at the late planting (21,678 kg/ha and 14,878 kg/ha)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arly planting (13,732 kg/ha and 9,830 kg/ha). Crude protein content at the early planting d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e planting.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of the late planting was lower than that of the early planting date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difference among the corn tested. Calculated net energy for lactation (NEL) and TDN at the early plant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t the late planting (p<0.01). Results of this our study indicate that the late planting date (May) is better than early planting date (April) in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corn. Therefore, the delay of planting date by May was more suitable for use in cropping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steers to examine the effect of micronized and steam flaked corn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e in situ dry matter degradability after 48 h incubation was the highest (P<0.05) at micronized corn (2.5 mm thickness) compared with steam flaked corn treatments. The steam flacked corn (3.3 mm thickness) was degraded lower (P<0.05) than the 2.9 and 3.1 mm thickness of steam flacked corn. Effective dry matter degradability and the rate of constant were the highest (P<0.05) at micronized corn (2.5 mm thickness) compared with steam flaked corns as well. The in vitro dry matter degradability after 48 h incubation was tended to higher (P=0.088) at micronized corn (2.5 mm thickness) than steam flaked corns,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steam flaked corn treatments.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was higher at steam flaked corn (2.9 mm thickness) than micronized corn (2.5 mm thickness) and steam flaked corn (3.1 and 3.3 mm thickness). The acetate : propionate ratio was the highest (P=0.008) at steam flaked corn (2.9 mm thickness) and the lowest (P=0.008) at micronized corn (2.5 mm thickness). Total gas and methane production after 48h ruminal incubation was the highest (P=0.001) at micronized corn (2.5 mm thickness) compared with steam flaked corn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thickness of steam flaked corn as resulted corn processing is believed to do not affect methane production.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result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rn processing method and their thickness on methane production using the same thickness corns by difference process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rn (Zea mays L.) - soybean (Glycine max L.) silage prepared by intercropping method on the nutritive value of the silag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ry matter degradability, as well as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of dairy cows. In a couple of experiments intercropped corn-soybean silage (CSBS) was compared with corn silage (CS) and/or Italian ryegrass hay (IRG). Numerically, CSBS had high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and lactic acid contents compared to CS.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up to a 24-h incubation period, both CS and CSBS showed higher total gas production, ammonia N concentration, and dry matter degradability compared to IRG (p<0.05). The investigation on animals was conducted in a commercial dairy farm located in Gyeongju, South Korea, employing 42 Holstein cows that were divided into 2 group treatments: CS and CSB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ilk yield, animals fed on CSB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ilk protein (p<0.05) and milk fat content (p<0.01), compared to animals fed on C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rn-soybean silage that is cultivated, harvested, and prepared through intercropping can improve the protein content of the silage, and can also enhanc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dry matter degradability, and performance of dairy cattle.
Production method of cycloamylose (CA) has been developed using native starch as an economically more beneficial substrate than commercial amylose. However, the yield of CA products from starch is lower than that from commercial amylose.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yield of CA products using high amylose corn starch (HACS) that has the highest amylose content (approximately 70%) among native starches. The reaction conditions of isoamylase were optimized to maximize debranching yield of HACS. After debranching, CA was produced by the action of Thermusaquaticus 4-α-glucanotransferase (TAαGTase) for various reaction times. Remaining linear glucans were removed by glucoamylase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s a result, the maximum conversion yield of CA from HACS was71% that was 2.2-fold higher than that from rice starch (e.g. Ilpummi; 32%).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of CA products ranged from 7 to 41, with DP26 showing the highest yield. This DP profile was very similar as that of CA produced using commercial amylose. Also, a significant amount of larger cyclic glucans were produced from HACS, which was not the case for CA from rice starch. These results were attributed to the unique molecular structure of HACS such as high amylose content and long branch chain length. The high yield production of CA from HACS could be benefic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s.
본 연구는 옥수수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TMR 제조 시 배합시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Particle size, peNDF 및 laceration)의 변화를 조사하고,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 및 비유중기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TMR 시험사료는 동일한 원료를 이용하여 배합시간을 30분(T1구)과 50분(T2구)으로 제조하였다. Penn State Particle Size Separator (PSPS, 19 mm와 8mm 체)로 분리하여 입자크기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배합 시간이 30분(T1)에서 50분(T2)로 증가함에 따라 하층(<8mm)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1), peNDF>8.0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굵은 비율(≥1mm) 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반추위 내 in situ 건물 분해율은 모든 배양시간에서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지만 24시간 배양에서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1). 산유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지만 유지방은 T1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 결과에서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의 TMR 제조 시 배합시간을 단축 조절함으로서 산유량 및 유성분에 대한 부정적 영향 없이 조사료의 물리적 사료가치를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이온기를 운반할 수 있는 반응시약과의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이온성전분은 표면에 음이온기를 보유한 펄프의 결합력을 강하게 해주는 특성을 보유하여 제지산업에서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성전분 중에서도 가장 생산량이 많은 양이온성 옥수수 전분의 water-slurry process에 의한 반응을 최적화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환도 0.03이하의 저치환 양이온성전분과 향 후 사용량이 증가할 치환도 0.04이상의 고치환 양이온성전분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천연 옥수수전분 현탁액의 알칼리호화가 시작되는 NaOH 농도를 알칼리 첨가량의 최저 기준으로 하여 NaOH의 첨가량을 조절하고, 반응온도, Na2SO4의 농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반응효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여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양이온반응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저치환 양이온성 옥수수전분의 제조를 위하여 8%(w/w-starch, 65% active monomer)의 양이온화 시약을 첨가한 경우 반응온도 38.48oC, Na2SO4 1.89%의 농도에서 알칼리호화 예상 농도보다 6.75 meq/g-starch의 NaOH를 추가로 첨가한 경우 최적의 양이온화 반응이 진행되었으며 이때의 반응효율은 67.28%이며 최종 양이온성 전분은 0.03022의 치환도를 나타내어 동일한 양의 반응 시약으로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양이온성 옥수수전분의 치환도를 20%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반응시약 첨가량을 20%로 증가시킨 경우에는 실험구에서 설계한 4%(w/w)의 Na2SO4 첨가량 및 24시간의 반응범위 내에서 양이온화 반응의 최적점을 찾을 수 없어 water-slurry process에 의한 고치환 양이온성전분의 생산은 산업화에 문제점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설계된 실험군내에서 찾은 최적 반응 조건은 호화억제제를 1.99%(w/w) 첨가하고, 추가로 첨가하는 NaOH를 알칼리호화개시농도(AGIC)보다 5.73 meq/g-starch 만큼 높게 조절할 경우 가장 높은 반응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의 예상 반응효율은 57.37%로 치환도로 환산할 경우 0.0642의 값이다.
논에서 청보리를 수확한 후 사료용 옥수수를 뒷그루로 재배할 경우 옥수수의 파종 시기는 청보리의 수확시기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에따라 조사료 생산량이 영향을 받게 된다. 본시험은 청보리를 생육단계별로 수확한 후 뒷그루로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하는 작부체계에서조사료 생산성이 최대가 되는 청보리 수확시기와 사일리지 옥수수 파종시기를 구명코자 2009~2010년 충남농업기술원 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청보리는 출수 후 20일에 수확하는 것이 생초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건물수량과 TDN수량은 황숙기에 수확(출수 후 25일경)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는 청보리를 출수 25일에 수확한 후 파종하면 건물수량이 적기 파종에 비하여 약 16% 감소하였다. 옥수수 적기 파종에 의한 단작 재배는 청보리 출수 후 25일수확+ 옥수수 파종 작부조합에 비하여 총 생수량 31%, 총 건물수량 28%, 총 TDN 수량23% 감소되었다. 청보리+ 옥수수 작부조합에서 총 생초수량은 청보리 출수 후 15일 수확 옥수수 파종 이 가장 높았으나, 총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청보리 출수 후 25일 수확 사일리지 옥수수 파종 이 가장 높았으며,이 때 청보리 생육단계는 황숙기이었고, 수분함량이 사일리지 제조에 가장 알맞은 시기이었다. 청보리를 황숙기 이후에 수확하면 옥수수의 수량이 급격히 감소되어 조사료의 총 생초수량과 TDN 수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청보리를황숙기 이전에 수확하고 옥수수를 가급적 빨리파종할 필요가 있다.
Corn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traditional remedy, as well as a food source. We previously reported that in vitro supplementation of corn water extracts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munomodulative effect of a water extract of corn. Seven to eight weeks old mice(Balb/c) were fed an ad libitum chow diet, and were orally administrated a water extract of corn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50 and 500 ㎎/㎏ B.W). Cytokine production(IL-2, IL-10 and IFN-γ) by macrophages stimulated with LPS or not stimulated with LPS was detected by ELISA assay using the cytokine kit. In an ex vivo study, the cytokines IL-2, IL-10 and IFN-γ were detected at 500 ㎎/㎏ b.w. supplementation group with LPS stimulation in all cases. Also, the ratio of IFN-γ to IL-10 was in the range of 0~3 with mitogen stimulation, such as con A and LP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mice, corn extracts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cytokine production(IL-2, IL-10 and IFN-γ) of the activated macrophages.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청남도 천안의 농가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5 품종과 도입품종 5 품종 등 10 품종을 시험한 결과 국내 품종으로는 강다옥과 광평옥 품종이 건물수량이 각각 ha당 20,295 kg와 19,745 kg으로 수량이 많고 후기녹체성이 좋으며 내습성에 강한 특성을 보였으나 강다옥은 착수고가 공시품종 중에서 가장 높아 도
겨울철 유휴 논토양에 헤어리베치를 재배 이용하여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인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화학비료와 제초제를 절감하고, 옥수수의 무경운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 피복 이용 옥수수 무경운 직파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옥수수의 간장, 경태 및 엽색도 등은 관행재배에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착수고는 밀식할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 밖의 옥수수의 출사기는 헤어리베치를 피복한 처리구에서 관행재배구에 비하여 평균 3일 지연되었으며,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또는 시비량이 감소될수록 지연되었다. 한편 경작지에서 우점하는 잡초는 여뀌, 바랭이 및 피였으며, 헤어리베치 피복량 증가는 잡초 건물중을 감소시켰다. 바이오에탄올생산량은 헤어리베치를 피복한 처리구에서 관행과 비교하여58.9~89.8%까지 확보할 수 있었으며, 재식밀도가 낮거나 시비량이 적을수록 감소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바이오에너지 작물인 옥수수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헤어리베치를 피복하고 무경운 직파하여 시비량을 50% 감량하고, 재식밀도를 125,000 주 ha-1로 높이면 총 건물수량과 바이오에탄올량을 관행과 유사한 수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시험은 논에서 가뭄조건에 따른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남 영광과 천안의 농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5품종과 도입품종 5품종 등 10품종을 시험한 결과 강다옥 품종이 생육특성과 수량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가뭄에 대해 비교적 수량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조건 재배에서는 강다옥의 건물수량은 21.8 톤/ha이었고 가뭄조건에서 국산품종인 강다옥의 건물
본 시험은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라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논 재배하여 생육특성과 수량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남 아산과 천안 농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2품종과 도입품종 4품종 등 6품종을 시험한 결과 P32P75, DK697, 광평옥, 강다옥 등이 생육특성과 수량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배수조건에 따라 수량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는 옥수수를 재배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adaptability and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and corn + soybean intercropping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Chungnam province.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ilage corn was higher in case of corn and soybean intercropping than that of corn single planting at paddy field. The height of stem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was somewhat lower than Kwangpyongok single planting and higher at ear height and stem diameter. Fresh yield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was the highest as 45.8 tons per ha among corn monoculture, corn + soybean intercropping. The dry yield of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at paddy field was the highest as 20.5 tons per ha among corn monoculture and corn + soybean intercropp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Kwangpyongok and Sword bean intercropping' had good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ilage compared with corn monoculture, corn and common bean intercropping.
본 연구는 옥수수 재배지에서 경운방법과 가축분뇨의 시용이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천안)에서 lysimeter를 이용하여 2008년 4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분할구배치법으로 경운방법(경운과 무경운)을 주구로 하였으며, 가축분뇨의 종류(화학비료, 우분퇴비 및 돈분퇴비)를 세구로 하였다.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구는 표준시용량(N-)으로 200, 150 및
본 시험은 남부지방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조사료를 생산하는데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2품종과 도입품종 4품종 등 6품종 을 시험한 결과 광평옥 품종이 간장이 198cm 로 다른 품종들보다 크고 경직경이 굵으며 내습성 및 후기 녹체성이 좋고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은 ha당 생초 수량
우리나라에서 옥수수의 경운방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옥수수의 경운방법을 달리 하였을 때 토양특성, 잡초 및 사초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본 시험의 시험구 배치는 4개의 경운방법을 달리한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경운과 로타리를 한 처리구이며, T2는 로타리, T3는 디스크, T4는 무경운으로 하였다. 옥수수 파종전과 수확 후 토양의 특성에서는 pH 및 토양유기물은 파종전보다 수확시에 감소하였으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