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 교육은 연습실에서 교육자가 특정한 자세를 시범적으로 보여 주고 피교육자는 이를 따라서 동작하는 방식으 로 진행된다. 교육자는 특정한 자세를 모사할 때 동작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해당 동작에서 표현해야 하는 감성적인 상황을 설명하여 무용수가 해당 상황을 상상하고 동작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교육은 무용 예술이 단순히 특정 자 세와 움직임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 이상으로 감성적인 움직임이 중요하기 때문에 동작에 감성이 포함될 수 있는 설명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상상력은 개인마다 다르고 특히 아동 청소년은 경험의 부족으로 이미지 심상을 떠올리는데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제한적인 상황에서 피교육자는 몸으로 표현해야 할 감성적인 상황보다는 움직임과 자세에만 집중하게 되어 다소 건조한 표현을 하게 되거나 표현해야 하는 감성과는 다른 상황을 표현하게 된다. 본 연구는 무용수가 동작 별로 느껴야 하는 감성을 공간 그래픽으로 투사하여 몰입을 도와주며 자신의 움직임 이 실시간으로 공간 그래픽에 투영되어 감성적 몸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연구이다. 연습실 공간에 가상의 콘텐츠가 프로젝션 되어 무용수는 자신이 연습실에 있는 것이 아닌 특정 동작을 위한 가상공간에 있 는 것처럼 구현된다. 또한, 설치되어있는 모션트레킹 센서(Motion Tracking Sensor)가 무용수의 신체와 움직임을 인 식하여 실시간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을 가상공간 그래픽에 파티클 이팩트(Particle Effect)를 통하여 표현해주므로 서 자신이 표현해야 하는 움직임에 동기를 유발한다. 이러한 감성 몰입을 위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연구는 무용수의 상 상으로만 의존되어왔던 감성 몰입에 도입부 역할을 하며 또 다른 감성으로의 전이가 용이하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 는 단계별로 진행하며 각각의 단계마다 교육 현장에서 시행하여 교육적 효과를 실시간으로 검증한다. 이러한 단계별 진행을 통하여 검증된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 단계의 연구자료로 활용하며 콘텐츠의 양적 확장과 이전 단계에서 발견 된 문제점을 개선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 청소년의 감성발달과 움직임을 통한 신체적 건강에 이바지하며 인터 랙티브 콘텐츠를 통한 교육 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탭 댄스(Tap dance) 교육에서 안무와 음악의 두 요소를 융합한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탭 댄스는 무용의 한 장르이기 이전에 타악기로 구분되므로 안무와 음악 교육적 측면 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탭 댄스 교육은 음악 교육적 측면이 배제된 채, 도제식(徒弟式) 방식과 영상을 활용한 안무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탭 슈즈(Tap Shoes)를 통해 타악기로서 구현해 야 하는 리듬과 연주를 위한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탭 댄스 학습자와 교수자의 체계 적·효과적 교육을 위해, 기존의‘카노테이션(Kahnotation)’을 기반으로 스텝의 명칭, 소리(Sound), 움 직임(Action), 스텝 고유의 질감(Quality) 등을 쉽게 시각화할 수 있는 탭 댄스 기보법‘지-노테이션 (Jee-notation)’을 개발하였다.‘지-노테이션’은 단일 기호 14개와 복합 기호 5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탭 댄스의 기본 스텝인 ‘타임 스텝(Time Steps)’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개발 연구로서 ‘타임 스텝’에 적용된 기호 19개를 다루었으며,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스텝들의 지속적인 기호 개발과 실험적 검증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점점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Digital archive)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것이라 사료되며, 학습자들의 이해와 기억을 돕는 실용적인 기보법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무용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3, 4, 5, 6학년 체육교과서 8 종 32권을 확보하여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학년 표현 영역은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 를 중심으로 교과서를 편성하고 있었다. 4학년은 대다수 교과서들이 공, 후프, 리본을 이용한 체조를 제시 하고 있었으며, 5학년의 경우 우리나라 민속춤과 관련하여 강강술래, 탈춤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외국 민속 무용과 관련하여 티니클링, 구스타프스콜이 제시되어 있었다. 6학년의 경우 주제표현과 관련하여 표현 요 소 탐색과 표현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창작체조를 중심으로 주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용 무용 중 라인댄스가 대다수의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었다. 표현 영역은 그 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내외적 문제들로 인해 학교 현장교사들은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표현 영 역은 인지, 심동,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에서의 표현 영역 수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기위해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과 검정교과서 16종과 보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P 모형에 기반 한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를 운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람 관점에서 창의적 심성에서는 ‘탐구심’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요소들은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활동 주체는 ‘개인’과 ‘동료(팀)’가 비 슷한 빈도를 보였다. 둘째, 창의적 과정 관점에서 활동 영역은 모두 ‘학습’으로 나타났고 활동 목적은 대부 분의 요소들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창의적 과정이 활용되는 모습이 탐색되었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관점 에서 활동 방식은 신체활동수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3개의 활동 방식이 함께 쓰이고 있었다. 창의 성 요소는 모든 요소가 골고루 나타난 가운데 민감성과 정교성이 4개로 가장 많았다. 넷째, 창의적 환경 관 점에서 활동 공간은 제약 없음이 대부분이었으며 활동 매체는 신체를 활용한 교육 내용이 많았다. 이 연구 를 통하여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심화되어야 함이 요구되었고 무용 활동 의 창의성 교육 내용이 타영역으로 확산되어야 할 필요성이 탐색되었다.
인체 ‘자연법칙훈련’은 무용수에 대한 신체 훈련 및 신체 기 술 훈련이 더 이상 유일한 교학 목적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사 람 신체의 전반적인 체험의 획득을 중시한 것이다. 이론과 실천의 일체화인 ‘현대무용 창작 실습수업’에서 무용 수의 창의력에 대한 유도는 ‘호흡, 동작과 상상’으로 일관해야 한다. 이러한 신체의 훈련과 체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서로 부 합함으로 미(美)의 예술 체험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우샤오방 (吴晓邦)의 ‘전면적 인재육성’ 무용 교수법의 핵심 관점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는 많은 무용수(교육에 종사하는 무용수)들에게 방향을 제 시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과정중심의 창의성 분석에서 벗어나 결과물 측면에서 창의성의 개념적 특성을 분 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총체적 관점에서 창의성과 무용교육 간의 미학적 관계성을 검토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창의성은 독창성과 가치성이라는 개념적 특성을 가지며, 독창성은 기존 의 규칙, 관례와의 갈등과정에서 변화 또는 초월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 가치성은 일정한 미적 가치판단기준에 의거해서 발생한다. 따라서 창의적 무용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규칙 및 관례, 즉 무용기법 및 테크닉에 대한 습득, 그리고 무용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미적 판단기준에 대한 학습이 기본적 요건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 무용활동이 수행되는 과 정에서 창의적 무용표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현주제, 표현움직임, 표현의도 및 배경, 그리고 표현장애요인에 대한 주의 깊은 집중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한편 창의적 무용교육이 수행될 경 우, 특정한 미적 기준이 학생들에게 강요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미적 기준에 대한 학습은 무용표현활동과 구분되어 실시되기 보다는 실제 무용체험을 통해 습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대학교육의 일환으로 부각되고 있는 볼룸 댄스(Ballroom Dance)와 댄스스포트(DanceSport)의 교육방법 및 교수자료 개발이라는 맥락에서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룸바의 기본 동작들을 본 연구자가 라반동작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본원 리를 토대로 개발한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ISES)과 발레 탄듀를 적용했을 때 발생되는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의 근본적 룸바 움직임이 특징적 탄듀의 미적 동작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의 안전적 적용을 통하여 증진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따라서 발레 탄듀 와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은 기본적 룸바 움직임에 유익하며, 특히 앞, 뒤, 옆, 그리고 제자리에 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체중이동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섯 명이라는 특정 참여 자들에 관한 사례연구로써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스럽게 룸바의 움직임을 촉진하고, 효과적으로 기본 동작을 수행하는데 다 음과 같은 세 가지의 핵심 요소들로 함축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요소들은‘발레의 움직임 기반과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및 룸바’,‘발레 탄듀의 특성 및 룸바’,‘미적 부문의 상 승’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발레, 무한 신체 운동 시스템, 그리고 룸바에는 각각 고유의 움직임 테크닉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유형들의 움직임 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 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각 유형의 움직임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움직임에 긍정 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아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방법과 교수자료는 교육과 학습을 위한 대학교육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의 무용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아카이브를 활용한 무용교육 사례를 살펴 보고, 교육기준에 적합한 아카이브활용 무용교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무용아카이브를 활용한 교육가능성을 탐색하고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카이브를 활용한 무용교육사례로서 오타드의‘리소스 활용 교육법(Resource-Based Teaching)’과‘비평적 감상과 창의적 표현을 통합한 춤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두 사례 모두 무용교수의 가장 중요한 접근법으로서 리소스에 바탕을 둔 교수법을 제안하고 있다. 아카이브 활용 무용교육방법은 최승희의 춤기록을 활용한 초등무용수업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주제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5학년 무용교육과정의‘민속표현’영역으로 정하였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표준에 의거해서 영역과 기대수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실 행과제, 창작과제, 감상과제, 소통과제들이 제시되었고, 각 과제별 아카이브 활용 방법들이 제시 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5학년 대상 실제 무용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들어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양교육 커리큘럼 안에 무용분야를 효과적으로 포용하고자 하는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은 교 양무용의 효과를 제시한 반면 그 교육 전략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을 토대로 변화하는 문화 속에서 무용 연구가 교양교육에 효과적으로 통 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지도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기존 교양무용에 대한 연 구들을 토대로 그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지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교양무용교육은 적절한 시설과 전공교육과는 구분되는 일반인들에게 초점 을 맞춘 교육으로 실기 수업과 이론수업을 적절히 혼용하고 각기 다른 지도법을 적용하여 학생 들로 하여금 무용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과 더불어 미래 무용공연에 관객으로서 참여할 수 있도 록 유도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현대무용을 포함한 예술 교과목들은 창의성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Ofsted(2006) 보 고서에 따르면,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학습은 추측에 머무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본 연구는 현대무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를 위한 창의적인 교수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창의적인 학습을 위한 창의적인 교수방법을 탐색함으로써 현대 무용에 내재되어있는 창의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와 함께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현대무용에서 길러지는 창의성 은 무엇인가? 둘째, 이를 위한 창의적 교수방법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창의성 학습과 창의적 인 교수방법은 어떠한 관계를 이루는가? 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결과와 논의를 통 해서 첫째, 현대무용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탐구’능력을 기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위한 교수자의 창의적인 교수방법으로는‘조화’능력이 뛰어나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창의성 학습을 위하여 창의적인 교수방법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현대무용의 내재된 창의성 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무용은 창 의성 개발을 도모 할 수 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창의적인 교수방법이 교사교 육에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무용과 무용교육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면서 미취학 아동과 초, 중, 고등교육을 통해 무용인구가 증가되고 있어 점진적으로 발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큰 관심과 달리 한국대학 무용과의 수는 2005년부터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 감소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무용과의 감소는 대학 신입생의 감소와 졸업생의 일자리 부족의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현재, 대학 무용교육의 재조사와 개정을 통한 변화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정된 한국의 다섯 개 4년제 대학과 미국의 세개 4년제 대학의 무용과 교육과정을 전공, 교육목표, 교과목, 교사자격증 등의 비교와 분석 연구를 통해서 한국대학무용교 육의 현상태와 문제점을 인식하여 무용교육의 질적 발전을 이루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실현가능한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고 그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전공목표, 교육과정의 상호연관성 필요, 둘째, 이론, 실기 교과목의 다양성, 세분 화, 연속성 필요, 셋째, 특성화된 교과목과 프로그램 필요, 넷째, 무용교사자격증 필요, 다섯째, 다양한 전문 강사 채용 필요이다. 이 다섯 가지 방안들이 실현이 된다면 실제 변화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무용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정을 주장하는 움직임들은 꾸준히 제기되었으며 아직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해야 하며 더 나아 가 사회와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무용계와 국가적 정책을 통해 명확한 방향 을 제시해야 한다. 지속적인 관심을 주어진다면 넓고 깊이 있는 질적 무용교육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 무용교육의 위치와 역할이 발전되고 향상되어 우리만의 고유한 특 성과 함께 많은 학생들의 입학을 이끌어 대학 무용교육의 밝은 미래를 향하여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무용교육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한국무용교육내용에는 ‘기능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이 있으나, 그동안 기능적 차원만이 주된 교육내용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정신적 차원은 기능적 차원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무용이 예 술의 한 장르가 되고, 한국무용교육이 예술교육의 한 분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능과 기능교육 의 차원에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에는 두 층위가 있음을 드 러내 보려고 한다. 그리하여 한국무용교육에서는 정신적 차원에 대한 새롭고 높은 관심과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무용교육내용과 관련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2절에서는 한국무용교육내용의 지배적인 차원인 기능에 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그것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3절에서는 교육내용에는 기능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이 관여 된다는 점을 살펴보고, 4절에서는 정신적 차원의 교육내용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탐색 해본다. 마지막으로 정신적 차원의 교수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요인이 바로 무용교사임을 강조하면서, 교수법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이 요청됨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endeds to handle “Understanding about Dance class in the curriculums, and its operational cases”, and to suggest “Future Dance class”. To achieve the goal, six women P.E. teachers in Seoul and KyungSangNam-D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중국 요보호아동들의 심리건강을 증진 시키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중국 허베이성 A지역의 요보호아동을 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여 초등학생 심리건강 척도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중국 요보호아동에게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 계 분석(correlations analysis), t-test 분석(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요보호아 동들의 학습 장애, 정서 장애, 성격 장애, 사회적응 장애, 성품 장애, 불량습관 장애, 특수상황 장애, 그리고 불안행동 장애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용교육이 앞으로 더 많은 요보호아동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향후 무용교과가 필수교과에 포함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