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장례의 샤머니즘적 요소와 관련하여 신학적 연구의 부 족으로 인해 성경적 관점에서 미흡한 기독교 장례 의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장례 예식에 여전히 내재 되어 있는 전 통적 장례 예식의 미신적 요소들을 제거한 올바른 예배로서의 장례 예식을 고 심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전통 장례 예식의 유래와 미신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기독교 장례예배에 여전히 내재 되어 있는 불신앙적인 요소들을 몇 가지 논하 고자한다. 또한 장례 예식 자체에 집중되어 놓치기 쉬운 기독교 장례 복지 실천 에 대하여 당위성과 대상자, 내용, 그리고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의 하고 복지 실천의 긍정적 영향과 선교적 효과들을 논하고자 한다.
        7,000원
        3.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려동물 화장 및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을 살피고, 개선방안을 제 언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수년간 반려가구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죽음을 맞는 반려동물과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하는 반려인의 수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려 인의 대다수는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장례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희망하지만, 여러 제반 사정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반려동물 장례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은 장례서비스 이용 희망 비율을 하회한다. 반려동물 장례서비스는 반려동물 사체를 무단으로 유기 혹은 매립하여 환경을 해치는 반려인 혹은 쓰레기봉투에 담아 폐기하거나 동물병원에 사체 처리를 위탁 해야 하는 현행 규정에 거부감을 가지는 반려인에게 고려할 만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을 잃은 후에 반려인에게서 빈번히 발생하는 펫로스 증후군의 위험도를 낮춘다 는 점 역시 반려동물 장례서비스의 저변이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현재 반려동물 장 례서비스의 실질 이용 비율이 낮은 수준에 머무는 이유로 꼽히는 시설 부족, 비용 부담, 낮은 이용접근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이동식 반려동물 장례서비스를 상정하여 이에 대한 잠재수요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74.7%의 응답자가 이동 식 장례서비스 이용 의향이 있다고 답하였고, 66.3%의 응답자가 이동식 장례서비스의 시 행 확대에 찬성하였다.
        4,000원
        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가정 1반려견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요즘은 반려동물과 함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많이 늘어났다. 그만큼 반려동물은 하나의 가족 구성원임이 당연시 되었고 자신의 가족의 마지막 순간까지 소중히 여기게 되었다. 이에 맞춰 동물 장묘시설의 중요성도 대두되고 있고 그 수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현재 동물 장묘시설이 입지하는 것에 지역 주민들과 많은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입지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반인 77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 으로 진행하였으며 반려인 및 비반려인의 의견을 따로 들어보았다. 설문결과 자신의 지역에 동물 장묘시설이 입지하는 것에 찬성하는 응답은 85.1%, 반대하는 응답은 14.9%로 나타났다. 또한 찬성, 반대와 상관없이 모두 동물 장묘시설 입지 시 처리시설이 완비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동물 장묘시설 입지 시 지역 주민들과 발생하는 갈등의 원인과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실제적인 협의에 대해 모색하여야 한다.
        4,2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nese funeral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method to show filial respect to parents by confucianist from ancient time and was very important in each ancient dynasty of China. Not only the funeral rite was complex and diversiform, but also a kind of strict hierarchy came into being in the developing progress of funeral. The hierarchy of funeral rite germed in far-away ancient China, was founded during Qin and Han dynasty in China, had it’s legal status during Tang and Song dynasty in China, and shrinked in Qing dynasty. In the end, the hierarchy of funeral rite was abolished politically after the foundation of new government in morden time. The hierarchy of old funeral rite showed the social status of the dead person. Historily it helped the ancient governor to stabilize hierarchical domination like other rites, systems and laws in ancient China. However, during the final stage of Qing dynasty, the ideals of freedom, democracy, and equality from Europe were introduced to Chinese. Following that, European funeral rite entered in China and affected Chinese traditional funeral dramat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European funeral rite, people in China began to give up the Chinese traditional complex hierarchical funeral rite. Even the government of the day announced and called for a new simple equal funeral in China. The new funeral was accepted by many Chinese gradually and The traditional hierarchical funeral of Chinese started to disappear. And then, after a new Chinese government, the Pople’s Republic of China was set up, a special administrative department which aimed to remove the old complex hierarchical funeral and to guide a new modern funeral was also instituted. Thus, the hierarchy of funeral died politically. Then, the funeral exists in China not as a role of helping to stabilize the hierarchical dominaion but as a role of reducing sadness of losing a family member and strengthen links of the alive family members and so on. This paper will study the development and disappearance of Chinese funeral hierarchy by observing Chinese funeral from ancient to nowdays.
        4,000원
        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인도의 시아귀회(施餓鬼會)를 수용한 중국의 수륙재(水陸齋)가 독자 적인 내용과 목적으로 변용된 양상과 함께, 그것이 고려에 전래되어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유행에 문화적 기반이 된 추이를 개괄한다. 또한 조선전기에 이 르러 전사회적으로 크게 유행하게 된 수륙재의 설행양상을 그 대상과 목적을 중심으로 살피어, 조선전기에 국가주도적으로 거행된 수륙재가 조상 등 특정 영 가의 천도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喪祭禮)로 수렴되어 간 면모를 밝힌 다. 마지막으로 무차대회(無遮大會)의 개념적 차별성을 주목하여 조선전기에 일 반적으로 인식되었던 수륙재와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것이 조선 중기 이후 ‘여 제(厲祭)’라는 유교식 국가제사로 대치되거나 민간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독자적 방향으로 변모해 간 흔적을 조망한다. 조선전기 수륙재는 특정 또는 불특정 망자에 대한 불교적 구제를 목적으로 설행되었다. 그 각각을 대표하는 것이 왕실의 조상(祖上)을 대상으로 하는 불교 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와 고려 왕씨를 위한 추천(追薦) 수륙재이다. 그 중에서 도 전자가 더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불교식 상제례의 경우 국가의 강력 한 개입 하에 칠칠재, 백일재, 소상재, 대상재, 그리고 대상 이후의 기신재가 모 두 수륙재로 합설되었으며, 이는 수륙재가 불교식 상제례의 의례적 형식을 이루 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 이든 불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천 수륙재이든, 그 모두가 국가의 강력한 주도 하에 제도화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단에 대한 국가권력의 강력한 개입은 전통시대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 불교에 강하게 보이는 특징이라는 평가가 최근 학계에서 힘을 얻는 추세이다. 조선전기 수륙재의 제도화와 정비 과정에서 보이는 국가권력의 막강한 관여 역 시 그 같은 평가에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무차대회란 수륙재의 내용을 이루는 한 축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개념적으로 무차대회와 수륙재는 분리될 필요가 있다.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특정 망자 특히 조상의 천도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변용될 때, 무주고혼을 포함하여 저승과 이 승의 모든 존재들을 평등하게 풀어먹이는 데 목적을 둔 무차대회는 그와 차별 적인 모습을 띠며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어느 순 간 주자가례(朱子家禮)와 여제(厲祭)라는 막강한 유교적 의례질서로 빠른 속도 로 대체되고 국가주도적 수륙재 설행의 전통이 단절된 이후, 무차대회는 다시 불교식 상제례의 양상과 함께 수륙재의 성격 일부로 흡수되어 민간의 불교신행 을 중심으로 하여 전사회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9,900원
        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파넬의 장례식과 기타 시들』(Parnell’s Funeral and Other Poems)은 다른 예이츠의 시집과 마찬가지로 이 시집에 수록된 시 전체의 배열과 개별 시의 의미를 함께 고려해 볼 때 그 시집이 지향하는 주제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 앞부분에 배치된 시들은 주로 그 당시 아일랜드의 정치적인 분열과 혼란을 다루고 뒤에 예이츠의 종교적인 신념을 다룬 초자연의 노래 (“Supernatural Songs”)를 배치했다. 이 연작시에는 영과 성, 남과 여, 너와 나, 나와 신, 신과 신, 어제와 내일, 밤과 낮, 순간과 영원이 하나 되고 일체되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는 그가 평생 추구해온 그의 정치적 종교적인 비전인 존재의 합일(unity of being)의 또 다른 표현이며 결국 시집 전반에 제시된 갈라진 아일랜드를 통합을 염원하는 시인의 처방전 역할을 하는 것이다.
        5,200원
        8.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attributes, deduct the ideal combination of total utility and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quality improvement of foodservice at funeral halls of medical cen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102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and 71 chief mourners or the bereav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 conjoint analysis, among foodservice employees at funeral hall, the relatively important attributes were 'taste (52.84%)', 'menu variety (24.419%)' and 'price (22.741%)'; among chief mourners or the bereaved, they were 'taste (50.004%)', 'price (31.388%)' and 'menu variety (18.008%)'. The ideal combination of total utility was different between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and chief mourners or the bereaved; it was higher among chief mourners or the bereaved (1.211) compared to funeral foodservice employees (1.169). Thus, there should an endeavor to improve the foodservice quality in funeral halls of medical centers through better taste, low price and similar menu variety.
        4,000원
        10.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ffect the manner in which mourners greet those expressing condolence to the deceased. While the funeral process was done at home in the past, nowadays, most families prefer a funeral home. Funeral homes provide all necessary services for the funeral process, including food for visitors and ritua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in the Kyonggido area. Overall food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was moderate; satisfaction with cleannes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aste, quality, freshness, and diversity. Satisfaction level of foodservice by the type of funeral homes showed home funeral was highest, followed by general funeral home, hospital funeral home. Regarding the acceptance of food items served at the funeral home, Yukgaejang was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Gaorichomuchim, Pyeonyuk, Kodarichim, and Injeolmi. There were differences in food accepta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visitors. Male prefers Samgyeopsal-suyuk to Pyeonyuk. but female prefer Pyeonyuk to Samgyeopsal-suyuk. Elder individuals preferred Kodarichim, Gaoricho-muchim. Younger individuals preferred Jeon, Ojingeodorajimuchim, and Samgyeopsal-suyuk.
        4,000원
        14.
        2024.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의 장례식 조문 답례 담화에 대한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한국은 고인과 저자의 관계 지향 적인 성격을 지닌 반면 베트남은 고인의 죽음에 대한 사실 정보 전달 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한국 담화가 조문과 부 의라는 지원 요소에 감사를 하고 있는 것과 달리 베트남 담화에서는 감사한 대상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감사를 표현하고 있었고, 양해 구하 기에 있어서도 한국은 찾아뵙지 못한 것에 대한 양해를 구한 반면, 베 트남은 혹시 모를 부주의에 대한 양해를 구하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