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등교 거부 몽골국적 중학생의 상담 단일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4년 8 월 1일부터 준비하여 IRB 승인을 받고 한국 미래와사람 연구소에서 이루어졌으며, 상담 기 간은 2024년 9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주 1회 회기마다 45분, 12회기를 상담하였다. 연 구참여자는 S시에 거주하고 있는 몽골 국적의 여자 중학생(15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째, 참여자의 정보는 여중생으로 키와 신체가 건장한 편이며, 자해 경험과 성추행 경험이 있다. 부모의 양육 태도는 엄격하고 지시적이고 필요 없는 말이 많았다. 학교에서는 교우관 계가 힘들었으며 그 원인은 불안이었다. 둘째, 상담초기에는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려고 하였다. 셋째, 상담의 발단 단계에서는 참여자의 문제 원인 을 찾고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선정하였다. 넷째, 통합단계에서는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해 결을 하고 서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해결해 나아갔다. 다섯째, 마무리에서는 참여 자가 가지고 있던 문제가 얼마나 해결되었는지 점검하고 미해결된 부분이 무엇인지 점검하 였다. 그리고 문제 해결을 통한 행동 변화에 대하여 나누었다. 결론적으로, 등교 거부의 원 인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우관계, 학교의 사회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상담을 통해 무조건적 존중과 지 지 그리고 불안을 해소하고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고, 의사소통 방식을 훈 련하면서 해결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의의가 여기에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airline safety reporting system affects the go-around that may occur when flight crew members operate an aircraft. In addition, we sought to determine how the captain's awareness of command responsibility intervenes and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reporting and go-ar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official safety reporting subfactors, Response & Feedbac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o-around(ΔR2 = .009, p < .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safety reporting and go-ar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and responsibility(β = .595, p < .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sponse & Feedback and Command & Respon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a simple slope test, and as a resul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Command & Responsibility was low.
한국의 전근대 시기 전통 천문 지식의 면모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 으로 천문 이변 현상에 대한 인식과 해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천동상 위고(天東象緯考)』를 대상으로 우주(하늘)와 해, 그리고 달에 나타난 이상 징 후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으며 이에 대한 해석은 어떠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천동상위고에서는 천문 이변을 그 대상과 점사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라 다시 현상을 세분하여 각각의 해석을 붙였다는 점에서 천문 지식으로서 의미가 크다. 천동상위고에 나타난 우주, 해, 달과 관련된 천문 이변의 유형 표에 따르면, 천변과 일변, 월변의 유형으로 나뉘어지며 그 하위 부류는 전체 120여 종에 달한다. 또한, 천문 이변에 따른 점사는 국가 멸망이나 왕의 사망에서부터 병란이 나 역모, 각종 재난과 재해 등 다양하다. 이러한 점사는 하나의 천문 이변에 2 개 이상의 점사가 서술되기도 하고 동일한 점사가 2개 이상의 천문 이변에 적용되기도 한다. 대체로 나라의 변고나 재난을 예고하는 내용이지만 경사스 러운 일을 예고하는 내용도 있다. 천동상위고에 나타난 구체적인 천문 이변 사례에서는 이변이 한 가지만 나 타나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현상이 같이 나타나면서 점사 역시 더욱 복잡하게 제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전근대 시기에는 우주(하늘)와 해, 그리고 달을 중심으 로 일어나는 이변 현상을 세세하게 구별하였고 이에 대한 점사 역시 그 이변 현 상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부여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근대 시기 천문 현상에 대한 지식, 즉 천문 이변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일단을 볼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는 α-Al2O3 지지체 위에 진공 코팅(vacuum coating)과 딥 코팅(dip-coating) 기법을 사용하여 GO/γ -Al2O3 중간층을 형성하였고, 무전해도금 방식을 통해 Pd-Ag 수소 분리막을 제작하였다. Pd와 Ag는 각각 무전해도금을 통해 지지체 표면에 증착되었으며, 합금화를 위해 도금 과정 중 H2 분위기 하에서 500°C에서 18 h 동안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제 조된 분리막의 표면과 단면은 SEM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Pd-Ag 분리막의 두께는 1.88 μm, GO/γ-Al2O3 중간층을 가진 Pd-Ag 분리막의 두께는 1.07 μm로 측정되었다. EDS 분석을 통해 Pd-77%, Ag-23%의 조성으로 합금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 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H2 단일가스와 H2/N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H2 단일가스 투과실험에서 450°C, 4 bar 조건 하에서 Pd 분리막의 최대 H2 플럭스는 0.53 mol/m²·s로, Pd-Ag 분리막의 경우 0.76 mol/m²·s로 측정되었다. H2/N2 혼합가스 실험에서 측정된 분리막의 separation factor는 450°C, 4 bar 조건에서 Pd 분리막이 2626, Pd-Ag 분리막이 13808로 나타났다.
비록 산화 그래핀의 비표면적은 환원된 산화 그래핀에 비해 낮지만, 산화 그래핀의 이산화탄소 흡착량은 기존 그 래핀 또는 환원된 산화 그래핀에 비해 많다. Lerf-Klinowski 모델에 따르면, 산화 그래핀은 가장 자리와 면 내부에 수산화기, 에폭시드, 카보닐, 카복실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작용기가 이산화탄소 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화학 흡착을 유도한다. 본 연 구에서는 산소 플라즈마/UV 오존 및 열처리를 통해 그래핀 산화물의 산소 함량과 이산화탄소 흡착 친화도 사이의 상관관계 를 탐구하였다. 산소 함량의 변화는 XPS와 FT-IR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산화 그래핀의 이산화탄소 흡착 경향 은 전체 산소 함량과 정비례하지 않았다. 반면, XPS 분석 결과 산화 그래핀의 카보닐 작용기가 이산화탄소 흡착에 중요한 기 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화 그래핀의 특성 및 이를 활용한 탄소 포집 및 가스 저장 응용 가능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The main hydraulic pump is a device that generates the hydraulic pressure needed for the K2 tank. It is a pressure-compensated swash plate piston pump that generates the hydraulic power necessary to drive the hydraulic device. Hydraulic pump design changes were made due to frequent failures of the hydraulic pump. As a result of checking the operation records of the hydraulic pump, about 71% of the total engine operation time was in a stationary state where hydraulic pressure was not needed. This has the problem of constantly running when the engine is started, consuming unnecessary endurance time, and generating high noise. In this study, ISG(Idle Stop & Go) was applied to improve operation method. When applying ISG, the pressure can be reduced to about 85% or les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operation of the main hydraulic pump is not necessary. So, the lifespan of the main hydraulic pump increases as a result of ISG application, thereby reducing the waste of national funds due to maintenance costs. Al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combat power by reducing crew fatigue due to noise reduction.
The challenge of incorporating photothermal conversion function into chitosan (CS) hybrid fibers lies in balancing functiona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prepared a chitosan/graphene oxide/gelatin (CS/GA/GO) hybrid fiber using the wet spinning process, achie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efficient photothermal conversion capabilities. When compared with pure CS fiber with a breaking strength of 1.07 cN/dtex,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CS/ GA composite fiber increased by 46.73%, while the CS/GA/GO hybrid fiber showed an even greater increase of 85.98%.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gelatin (GA) led to secondary scattering of near-infrared light, enhancing the photothermal conversion efficiency. As a result, the CS/GA/GO hybrid fiber exhibited a faster temperature rise rate and higher maximum temperatures (94.3 °C, 103.0 °C, and 111.3 °C) as compared to the CS/GO hybrid fiber. The successful incorporation of GA not only improved the mechanical properties but also enhanced the photothermal performance of the hybrid fiber.
The discharge of industrial oily wastewater and oil spill accidents has resulted in significant environmental pollution, creating an urgent need for the treatment of oily wastewater. Nanofiber membranes, known for their high stability, flux, and efficiency, are widely employed in oil–water separation. This study systematically compared the performance of polyacrylonitrile/ graphene oxide (PAN/GO) composite nanofiber membranes prepared through immersion and electrospinning methods for oily wastewater treatment. Experimental findings demonstrated that immersion-prepared membranes achieved high flux (772.9 ± 2.9 L·m−2·h−1, n-hexane/water mixture) and efficiency (98.8%) at a GO concentration of 1.0 g/mL. On the other hand, electrospinning-prepared membranes exhibited superior flux (1500.3 ± 4.4 L·m−2·h−1, n-hexane/water mixture) and efficiency (99.6%) at a higher GO concentration (1.5 g/mL). This membrane displayed excellent stability, maintaining their exceptional performance even after ten cycles of sepa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wo methods for preparation of PAN/GO composite nanofiber membrane, offering valuable guidance for practical applications.
The flaw of low dispersibility in the metal matrix brought on by graphene's full crystal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ion beam radiation to the surface of the material. Copper atoms are uniformly dispersed on the modified graphene oxide ( GOM) surface after being irradiated to a copper ion beam, and during the sputtering modification, the valence state of copper is change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 new CuO phase on the graphene oxide (GO) surface. Therefore, after copper ion beam irradiation of graphene,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GOM and copper matrix is enhanced, and the wear resistance i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GOM content is low, it can withstand most of the load during the friction and wear test, which reduces the wear of the copper matrix and the occurrence of fatigue cracks at the inte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본 연구에서는 PVA(Poly Vinyl Alcohol)섬유와 GO(Graphene Oxide)를 혼입한 섬유보강 콘크리트(FRC)의 역학적 특성 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GO와 PVA 섬유를 동시에 혼입한 FRC 각각의 재료를 단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기대효과가 다소 미흡 하였지만, 각 재료의 하이브리드화로 인장강도가 개선되면서 PVA 섬유 혼입률 0.1∼0.3%과 GO 혼입률 0.025%에서 우수한 효 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PVA 섬유는 0.3%로 혼합하였을 때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최대의 효과를 보였지만, 적절한 GO 배 합비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FRC내 GO와 PVA 섬유의 최적배합을 구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소 관련 미래 산업의 확장으로 새로운 주소체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특정 사물에 주소를 부여하는 체계인 사물주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행 사물주소는 행정안전부가 제작 및 배포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제작 등 사물주소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사물주소는 하향식 방법으로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수요자 응답형 정보제공 대응에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향식 방법으로 운영 중인 포켓몬 고 DB와 사물주소 DB의 공간적 분포를 탐색함으로 써 사용자 참여형 주소정보 생성 및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 DB의 지점별 티센 폴리곤을 생성한 뒤 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두 DB간의 면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니 계수를 산출하여 분포 불평등성을 확인하여 DB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물주소의 확산과 알기 쉬운 대국민 주소정보체계 확립에 정책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Disinformation can distort real-world events and influence individuals’ decisions, posing a serious threat to society. However, moderating disinformation is still a major challenge for social network operators, as they are omnipresent, and social media’s ease-of-use, anonymity, and interconnectedness enables their rapid diffusion.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clear guidance on prioritizing content for censorship efforts. Until now, existing literature focuses on the virality of traditional online content, such as marketing campaigns, which are generally driven by positive emotions and arousal. Nevertheless, this type of content is vastly dissimilar from the hate-filled, misleading, and malicious content on social media platforms, rendering literature findings inapplicable when it comes to disinformation diffusion. So, what makes disinformation go viral? Using a unique dataset of ~400 million live-crawled messages on Twitter surrounding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20, our study analyzes which content and context characteristics drive the virality of disinformation. We classify ~10 million disinformation spread over ~50,000 distinct disinformation stories and (1) identify different diffusion trajectories of virality with the help of time series shape clustering. Moreover, to investigate the differing diffusion patterns, we (2) use state-of-the-ar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analyze linguistic and meta-level features. With that, this work provides ex-ante guidance to policymakers and network operators to help identify the most critical content on social media to curb the spread of threatening disinformation online. Furthermore, this study advanc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disinformation diffusion by focusing exclusively on misleading content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m. Lastly, this work can add a new perspective to existing research by extensively quantifying the effects of viral disinformation online with a large-scale social media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PEBAX 2533에 합성된 PEI-GO@ZIF-8의 함량을 달리 첨가하여 혼합막을 제조하고 N2와 CO2의 투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PEBAX/PEI-GO@ZIF-8 혼합막의 N2 투과도는 PEI-GO@ZIF-8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CO2 투과도는 PEI-GO@ZIF-8 함량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는데 순수 PEBAX 막에서 PEI-GO@ZIF-8 0.1 wt%까지 CO2 투과도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의 함량에서는 감소하였다. PEI-GO@ZIF-8 0.1 wt% 혼합막은 CO2 투과도 221.9 Barrer, CO2/N2 선택도는 60.0으로, 제조된 혼합막들 중 CO2 투과도와 CO2/N2 선택도가 향상되어 가장 높은 투과 특성을 보였고 Robeson upper-bound에 도달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충진물이 PEBAX 내에 고루 분산되면서 CO2와 친화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GO의 -COOH, -O-, -OH 작용기와 PEI에 결합된 아민기 그리고 CO2에 대해 gate-opening 현상이 일어나는 ZIF-8의 영 향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