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4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OTUs of 'Sandolbae' were the same species because amplified band patterns of all samples generated by each of 5 random primers were identical.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ll the "Chuiangne" trees from three different places were the same species, and also all the "Cheongshilli" trees were the same species too. No genetic variations were detected between native Korean pears grown in the habitats and in the research field. Because 212 polymorphic bands were generated by 9 primers selected through primer screening, they were possible to analyze genetic relationship among naturally growing three native Korean pears and nine cultivars of Pyrus pyrifolia and P. communis. Based on the RAPD analysis, three main groups were formed. The first group represented the Six P. pyrifoia cultivars, the second group was the three native Korean pears, and the last group was the three P. communis cultivars. Genetic distance between 'Wonwhang' and 'Chojuro' was closer than other cultivars in group 1 since dissimilarity index value between these two cultivars was 50.82. However, genetic distance between 'Niitaka' and 'Chojuro' was the most distant compared to the others in group 1. In group 2, 'Sandlobae' was genetically closer to 'Chuiangne' than 'Cheongshilli' because dissimilarity index value between 'Sandlobae' and 'Chuiangne' was smaller, 50.82, than the value between 'Sandlobae' and 'Cheongshilli', 63.636. In group 3, 'Old Home' was genetically closer to 'Bartlett' than 'Kaiser Alexander(or Bosc)'. Group 3 composed of P. communis cultivars was genetically further than other two groups, P. pyrifolia cultivars and native Korean pears.
        43.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과식물 2속 2종에 대한 30개 지역별 개체군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bp에서 2,0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총 16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156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 makers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2종의 종내 개체군 군집에 대한 UPGMA phenogram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 유집형태에 근거하여 재배지 개체군과 자연집단 개체군과의 구분이 가능하였고 또한 지역별 개체군들끼리 유집되는 결과를 보였다. 2종 모두에서 지역별 개체군중 경남의 개체군과 제주도의 개체군이 전남의 개체군에 비해 유연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RAPD 분석은 삼백초과 식물의 개체군별 유연관계를 분석하거나 재배집단과 자연집단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실험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4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among 16 genotypes of boxthorn (Lycium chinensis Mill.) using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The 18 ISSR primers out of 100 primers showed the amplification of 101 reproducible fragments. A total of 56 DNA fragments were polymorphic with an average 3.1 polymorphic bands per primer. The polymorphic primers were divided into 16 anchored primers and 2 non-anchored primers. All of the anchored primers were di-nucleotide repeat motif, and polymorphism level was higher in the primers with poly GA and CT motif than CA and GT motif primers. Based on polymorphism,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rithmetic average (UPGMA) methods. Sixteen boxthorn varieties and accessions were separated into 2 distinctive groups and genetic distance of cluster ranged from 0.82 to 0.97. Eighteen markers were able to distinguish every variety. Therefore, ISSR markers may be suitable for characterizing the large numbers of germplasms and fingerprinting of boxthorn varieties.
        46.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우의 지역별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간의 유연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그리고 경북 8개 지역에서 비교적 지역간의 이동이 적은 번식우를 대상으로 공시축을 선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microsatellite marker의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7.5개로 검출되었다. 관측된 대립유전자의 이형접합율을 보면 전북(CEB)과 전남(CEN)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기대되는 이형접합율은 전체 평균보다
        47.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1913년부터 2002년까지 육성된 콩 91개 품종에 대하여 SSR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고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rimer 20개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149개의 대립 인자가 확인되었고, 각 유전좌별로 최소 3개(Satt477)에서 최대 15개(Sat036, Sat043)의 대립인자가 확인되었으며, primer당 평균 7.5개였다. 2. 우리나라 콩 육성품종들의 유전적 다양성은 0.424~0.905 의 범위로 평균 0.711이었고, Sat043가 0.905로 가장 높았고 SOYHSP176가 0.424로 가장 낮았다. 3. 비가중 평균 결합법에 의한 군집분석에서 90개 품종(검정콩 4호 제외)이 7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I 그룹은 26품종(28.6%), IV그룹은 24품종(26.4%) 및 VI그룹은 18품종(19.8%)이 속하는 큰 그룹이었다. 4. 유전적 다양성은 육성년대별로 1970년대(0.576)에 육성된 품종이 가장 낮았고, 1990년대(0.706)에 육성된 품종들이 가장 높았고, 용도별로는 장류 및 두부용콩 품종들이 가장 높았고(0.691), 풋콩 및 올콩 품종들이 가장 낮았으며(0.514), 육성모지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유전적거리는 육성년대 별로는 1969년 이전과 1970년대에 육성된 품종 간에 가장 가까웠고, 1970년대와 1990년대 육성된 품종 간에는 가장 멀었다. 용도별로는 장류 및 두부용콩 품종과 풋콩 및 올콩 품종 간에 가장 멀었고, 밥밑콩 품종과 풋콩 및 올콩 품종 간이 가장 가까웠다. 육성모지별 간에는 수원과 익산에서 육성된 품종 간에 멀었고, 밀양과 익산에서 육성된 품종 간에는 가까웠다.
        4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약의 수요 증가와 더불어 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강활은 남장활과 북강활로 나누어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생산성이 다소 높은 북강활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품종 육성과 재배기술 체계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강활의 품종육성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RAPD를 이용하여 8계통의 지방수집종간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지방재래종 강활 8종에 대한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primer 당 평균 6.9개의 PCR밴드가 얻어졌으며 Polymorphism 비율이 평균 49.1%를 나타내어 객관적인 다형현상분석이 가능하였다. 2. 유사도 0.71를 기준으로 8개의 강활 지방수집종을 구분한 결과 3개의 group으로 분리되었는데 group I은 유사도 0.71이하에서 남강활의 영양, 정선 영월 지방수집종이 었고, group ll는 남강활 춘양 수집종이며, group Ill은 모두 북강활 수집종 으로 0.94 이상 논은 유사도를 보였는데 정선, 상운, 태백, 춘양 수집종이었다. 3. 강활의 생육특성은 남강활이 북강활에 비해 개화기가 18~26일 늦고 추대율이 높으며 엽병은 길고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52.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ere focused on the genetic relationship using RAP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eleven taxa Aster collected in Korea. Twenty random primers were selected, a total 216 DNA bands were generated and 213 bands were shown polymorphism among species. The collected eleven taxa were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0.609 similarity index. The first group was A. glehni, A. ageratoides, A. maackii and A. scaber was clustered at 0.713 of genetic distance. The second group was A. tataricus and A. koraiensis and the third group was A. spathulifolius, the forth group was A. yomena, A. hayatae and A. hispidus and the fifth was A. tripolium.
        53.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n identifying system for Iris specie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 from complete analysing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ree native Iris species and one cultivar bred from the native Iris plant. RAPD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4 Irises was possible. According to the RAPD analysi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mong 4 Irises used in this study, Iris laevigata 'Veriegata', Iris laevigata and Iris setosa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since they had many similarities even though the habitat of Iris laevigata in Korean peninsular is restricted mainly in the south and Iris setosa is naturally inhabited in the northern part of Kangwondo. The value for the dissimilarity index of Iris laevigata and Iris laevigata ‘Veriegata’ was 6.757. The value for the dissimilarity index of Iris laevigata and Iris dichotoma was 95.000, so that they were genetically the farthest among them sinc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species are separated far if the value of the dissimilarity index is close to 100.
        5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ing grain yield and quality of japonica rice continues to be a major breeding objective in Korea. In this study we evaluated genetic divergence among four japonica rice cultivars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distance and hybrid perf
        58.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LP markers were successfully employed to detect genetic relationship and genetic variation within and between Oryza species. Analysis of 59 accessions of Oryza species with six AFLP prim er combinations detected a total num ber of 715 polym orphic bands
        5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조숙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조기 출수인자에 단기 등숙성 인자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출수기, 성숙기 및 등숙기간의 유전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4개 품종(사천6호, 오월보리, 동보리1호, Reno), F1 , F2 세대의 종자를 포장에 파종, 재배하여 출수기, 성숙기 및 등숙기간을 조사하였다. 1. 출수기는 4월 3일-4월 26일, 성숙기는 5월 15일-5월 27일, 등숙기간은 31일-42일로 교배친 및 F1 조합간 차이가 현저하였다. 2. 부분 이면교잡에 의한 분산분석 결과, 출수기에 대해서 동보리1호(출수기 늦음)는 우성으로, 오월보리는(출수기 빠름) 열성으로, 출수기 유전은 유전자의 상가적 작용이 큰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3. 성숙기에 대해서 동보리 1호가 우성으로, 오월보리가 열성으로, 성숙기 유전은 유전자의 상가적 작용 큰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4. 등숙기간에 대해서 Reno(등숙기간이 짧음)가 우성으로 오월보리(등숙기간이 길음)은 열성으로 유전자의 상가적 작용이 큰 부분우성으로 나타났다. 5. 출수기, 성숙기에 대한 일반조합능력의 분산량은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고, GCA분산이 SCA분산보다 출수기는 10.1-29.5배, 성숙기는 9.9-121배 높아서 유전자의 상가적 작용이 컸으며, 사천6호와 오월보리는 출수와 성숙이 빠른 방향으로, 동보리 1호와 Reno은 늦어지는 방향으로 효과를 보였다. 6. 등숙기간에 대해선 GCA 효과는 F1 과 F2 세대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 GCA/SCA비가 크므로 유전자의 상가적 작용이 현저하였다. 7 포장 출수기, 성숙기는 결빙방지 단백질의 농도, 광합성의 광저해에 대한 내성, 포장 내동성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등숙기간은 각 형질들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was "glossy and smooth" in all cases and preference about the texture was high. The Doenjang with added P. japonica Powder had a saltier taste and the Doenjang with P. japonica Powder had the least sweet taste. In th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e Doenjang with P. japonica powder was the lowestEX>로 측정되었고, 계사내 지붕의 표면 온도는 최고 29℃ 가 측정되었다. 계사 내 표면 온도 및 닭의 표면 온도는 계사내 공기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ill in a good agreement with those predicted by Rohsenow's formula, which was based on nucleate boiling. For the condenser, the wall temperatures were practically uniform, and the measured values of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1.7 times higher than the predicted values obtained from Nusselt's film condensation theory on tilted plate. Using those two expressions, a correlation was formulated as a function of heat flux and tilt angle, to determine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a tilted thermosyphon.
        60.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과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수집한 16종의 더덕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Bioneer사로부터 구입한 random primer(10-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총 49종의 primer를 스크린 한 결과 재현성이 있으면서 polymorphism을 보이는 20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primer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된 DNA의 크기는 125 bp에서 2.0 kb 내외였으며, 총 148개의 band가 관찰되어 평균 band 수는 7.4개였다. 이들 중에서 polymorphism을 보이는 band의 수는 73개이었으며 (49.3%), polymorphism은 각 primer별로 1~9개로써 다양하였다. 16개 수집종의 유사계수 범위는 0.682에서 0.959로써 유전적 유연정도는 크지 않았다. UPGMA 분석에 의한 수집종들의 유연관계를 dendrogram으로 나타낸 바, 수집종들간의 유전적 거리는 0.133~0.400이었으며, 국내 수집종과 중국 수집종간에는 확실하게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유전적 거리는 약 0.281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다. 한편, 중국의 '통화현(通化縣)'과 '류하현(柳河縣)' 수집종이 다른 지역의 수집종보다 유전적 거리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