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선택실험법을 통해 수집한 진술선호자료를 기반으로 세 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축산물(쇠고기, 돼지고기 제품)의 이력추적성과 원산지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쇠고기의 경우 한우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대비 이력추적성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비율이 92~97%로 매우 높았다.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한돈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대비 추적가능한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비율은 약 76~82%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소비자들이 국내산 육류 제품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어느 정도 식품 안전 속성(추적성)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축산물 이력제가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는 농약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 oxide는 대표적인 유 기주석계 살비제이다. 기존 시험법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를 사용하여 정량한계가 높고 분석 시 재현성이 떨어져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간편하며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QuEChERS법을 활용하여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 oxide의 시험법을 마련하 고자 하였다. 1% 아세트산을 함유한 아세트산에틸:아세토 니트릴(1:1) 혼합액을 이용하여 진탕 추출 후 d-SPE로 정 제하고 이를 농축 후 LC-MS/MS를 이용한 시험법을 개발 하였다. Azocyclotin, cyhexatin 및 fenbutatin oxide의 결정 계수(R2)는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으며 정 량한계는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축산물 5종(소, 돼지, 닭, 계란, 우유)에서 LOQ(0.01 mg/ kg), MRL(0.05 mg/kg), MRL 10배(0.5 mg/kg)의 농도에서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평균 회수율이 76.4-115.3% 및 84.4-110.8%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25.3% 이하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Codex 가이드라인(CAC/GL 40-1993, 2003)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 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시험법은 축산물 중 잔류할 수 있는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 oxide의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 rapid and easy analytical method for methoprene using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 simple,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ethoprene in livestock products (beef, pork, chicken, milk, eggs, and fat) was developed. Methoprene was effectively extracted with 1% acetic acid in acetonitrile and acetone (1:1), followed by the addition of anhydrous magnesium sulfate (MgSO4) and anhydrous sodium acetate. Subsequently, the lipids in the livestock sample were extracted by freezing them at -20oC. The extracts were cleaned using MgSO4, primary secondary amine (PSA), and octadecyl (C18), which were then centrifuged to separate the supernatant. Nitrogen gas was used to evaporate the supernatant, which was then dissolved in methanol. The matrix-matched calibration curves were constructed using 8 levels (1, 2.5, 5, 10, 25, 50, 100, 150 ng/mL)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above 0.9964. Average recoveries spiked at three levels (0.01, 0.1, and 0.5 mg/kg), and ranged from 79.5-105.1%,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s) smaller than 14.2%, as required by the Codex guideline (CODEX CAC/GL 40).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residue safety management in livestock products.
The aim of the present work was to develop simultaneous methods of quantification of carazolol, azaperone, and azaperol residues in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Samples were extracted from beef, pork, chicken, egg, milk and shrimp using acetonitrile (ACN); while flat fish and eel were extracted using 80% ACN. For purification, ACN saturated n-hexane was used to remove fat composition. The standard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as correlation coefficients; r 2 was > 0.99. Average recoveries expressed were within the range of 67.9-105% for samples fortified at three different levels (0.5 × MRL, 1 × MRL and 2 × MR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expressed as precision was within the range of 0.55- 7.93%.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0.0002-0.002 mg/kg.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showed high accuracy and acceptable sensitivity based on Codex guideline requirements (CAC/GL71-2009). This method can be used to analyze the residue of carazolol, azaperone, and azaperol in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본 연구는 축산식품과 식중독 세균 조합의 위험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축산식품 관련 식중독사고 보고서(2008-2012년 자료), 축산식품 전문가의 견해, 반 정량적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문헌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2년 기간 동안 국내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발생 빈도가 높았던 주요 원인균은 Salmonella, Pathogenic E. coli, C. jejuni 순으로 나타났으며 Salmonella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식중독 세균/축산식품조합에 대해 축산식품 전문가들은 가장 우선적 위해 관리가 필요한 Top 5순위 중 첫 번째로 Campylobacter/계육을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Salmonella/식용란 및 알가공품, Enterobacter sakazakii/조제분유, Pathogenic E. coli/분쇄가공육, Pathogenic E. coli/식육을 선정하였으며 Salmonella 는 식육보다는 식용란 및 알 가공품에서 우선적 위해관리가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또한 분쇄가공육, 소시지 및 햄류에 대해서는 Cl.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 aureus 의 3가지 병원성 미생물들의 위해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반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국내 식중독발생 통계자료 및 전문가 의견 설문조사 등과 비교 분석한 결과, Risk Ranger 는 식품과 미생물 조합의 위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Risk Ranger 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최종결과를 신뢰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축산식품 원재료에 대해 식중독 세균의 정량적 오염수준 및 공정에 따라 오염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Risk Ranger 결과, 위해순위가 0으로 나타난 경우를 분석해 보면 모니터링 자료가 없거나, 섭취 전의 조리를 통해 99% 가열이 가능한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관련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전문가의견, Risk Ranger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중독 세균/축산식품 조합에 대한 위해평가 및 관리 우선대상을 순위별로 그룹화하였다. 식중독 사고 발생 및 위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그룹 I 에는 Salmonella spp./식용란 및 알 가공품, Campylobacter spp./계육, Pathogenic E. coli/식육 및 분쇄가공육이 선정되었으므로 차후 이들 제품에 대한 정량적 위해평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축산식품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선 관리 대상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러시아인의 주식이자 농업의 근간은 축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낙농업은 구소련 해체 후 사유화 과정에서 턱없이 부족한 기계와 자재 등 자본재 결여로 사양길에 접어드는 듯했다.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거쳐 이제는 제법 규모화 된 농장들이 생겨나고 가공시설의 현대화로 생산량이 부쩍 늘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새로운 시장 진출에 대한 높은 무역장벽, 각주별 생산농가 지원 수준의 불균형, 새로운 기술도입 등에 대한 문제로 러시아가 해마다 정하는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하고있다. 그 의미는 아직도 러시아가 축산에 대한 높은 생산성과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러시아는 미국의 쇠고기, 돼지고기 수출에 있어서 가장 뜨거운 시장 중에 하나이다. 2011년 미국의 러시아 수출은 규모로 볼 때 71.2(백만)파운드 금액으로는 1억4천만 달러로 재작년에 비해 83% 증가 했다. 2012년에 러시아는 WTO 회원국으로서 농축산물에 대한 더 많은 교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동안 빗장을 닫아 두었던 무역장벽을 스스로 허물면서 자본재 및 금융시장의 글로벌 전략을 택함으로 농축산 분야에 위기인가 기회인가는 러시아의 자구적인 노력에 달려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This survey focused on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for buying factors of domestic live stock products after foot and mouth disease (FMD).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o reduce consumption when livestock diseases are occurred. Two methods were used for this survey. First method was to investigate internal data to understand consumption patterns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Second method included empirical analysis to understand how FMD affected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 Survey was conducted in Chuncheon city.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factors that affected the buying patterns of domestic livestock products were brand and expiration d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nsumers recognized brand livestock products were safer than general livestock products and they have more interest for food safety than quality attributes of food when buying domestic livestock products.
We compared between an automated most-probable-number technique TEMPO®TVC and traditional plating methods PetrifilmTM for estimating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various livestock products. 257 samples randomly selected in local retail stores and 87 samples inoculated with E. coli 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12868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degree of agreement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CCFRA (Campden and Chorleywood Food Research Association Group) Guideline 29 and the agreement indicates the difference of two kinds methods is lower than 1 log base 10(log10). The samples of hams, jerky products, ground meat products, milks, ice creams, infant formulas, and egg heat formed products were showed above 95% in the agreement of methods. In contrast, proportion of agreement on meat extract products, cheeses and sausages were 93.1%, 92.1%, 89.1%, respectively. One press ham and five sausages containing spice and seasoning, two pork cutlets containing spice and bread crumbs, two meat extract product and two natural cheeses and one processing cheese with a high fat content, and one ice cream containing chocolate of all samples showed the discrepancy. Our result suggest that TEMPO®TVC system is efficient to analyses total aerobic bacteria to compare manual method in time-consuming and laborious process except livestock products having limit of detection.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the Listeria monocytogenes from livestock processed products in processing plants and retail markets of Korea from 2010 to 2011. A total of 1,380 samples were collected; Meat processed products such as cooked ham and sausage, jerked meat, and meat extract products. Milk processed products such as milk, butter, cheese, and ice cream. Egg processed products such as whole egg liquid and pidan.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from samples using listeria enrichment broth, fraser broth and Oxford agar, and counted in Oxford agar. The three of L. monocytogenes strains (1.16%) were isolated from sausages, two (0.73%) from mixed pressed ham and one (0.51%) from jerked meat, respectively. The colony forming unit (CFU) of L. monocytogenes from all samples were below 10 CFU/g. The four isolates (66.6%) were 1/2b except two isolates (1/2a) in the serotyp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 route of L. monocytogenes, including a survey of food handlers, environments of retail markets, and all potential risk factors in cooked sausages, mixed pressed hams, and jerked meat proces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SPD and HPLC method about simultaneous determination for residual synthetic antimicrobials of sixteen species such as sulfonamide etc. in livestock products. Elution solvent used in HPLC was ethylacetate : acetonitrile (4 :1), and mobile phases for solvent A and B were water : methanol : acetonit rile : phosphric acid (700:250:50:0.2) and 100% acetonitrile respectively. The detector and absorbency used in HPLC was UV 266 nm. This study showed the reduction effect of 99.1% for organic solvents, 94% for experimental steps, 95% for analytical time and manpower and 98.9% for costs compared with korea food standard method. The average recovery rates for chicken, bovine, pork and milk were 67.7% 96.2 %, 67.7%-96.6%, 70.0%-96.2%, and 13.8%-97.8%.
최근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시장이 세분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수축산물도 품질, 기능, 가격 등의 차별화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식품산업의 다변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여성의 사회참여가 확대되며 생활패턴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소비 트렌드와 식생활패턴의 다변화로 축산물을 가공하여 판매하고 있는 햄, 소시지와 같은 축산가공품의 개발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국내시장의 개방화에 따른 해외농수축산물 수입으로 인해 상품의 신선도, 안전성을 고려한 포장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예견한다. 국내·외 축산가공품의 포장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구조 및 형태, 시각·정보 전달 면에서 국외사례에 비해 포장디자인의 방법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축산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내⋅외 축산가공품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소포장 · 소용량이 일반화되고 있는 식품 중 축산가공품의 신선도와 포장소재, 포장디자인의 적합성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현재 디자인과 개선된 디자인의 포장디자인 평가에 대한 진행과 보완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축산가공품 디자인의 사례를 디자인 평가 척도, 독창성, 기능성, 경제성, 심미성 등으로 분류 후 소비자에게 식품포장으로 인식하게 할 만한 차별적 요소와 방법적인 관점에서의 포장디자인을 평가하고자 한다. 축산가공품은 다른 상품과 달리 소비자가 쉽게 구매결정을 하는 저관여 제품이므로, 더욱 더 포장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신선 포장 소재 및 소비자가 원하는 포장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