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 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피기 위해 미디어와 인적 상호작용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24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 60곳에 게재된 학술논 문 12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의 미디어와 인적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급증 하였다. 둘째, 어머니 대상 연구가 많았고, 양적 연구가 다수로 질문지법 을 활용한 상관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셋째, 독립변인으로 ‘유아 미디 어 노출’, 종속변인으로 ‘아동 미디어 중독’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 째, 미디어와 영유아 발달, 유아 미디어 중독이 연구 주제로 빈번하게 다 루어졌다. 다섯째, 연구들의 주요 결과를 보면, 영유아에게는 성인과 함 께 대화와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미디어 함께하기가 중요하였고, 성인의 미디어 중재가 요구되었으며, 부모 자신의 미디어 사용 점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 시 양육자와의 반응적인 인적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연구 방향을 제안하 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rauma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selectively represented in the Chosun Ilbo, a major conservative daily newspaper in South Korea.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analyzes 44 news texts collected from 2014 to 2024, focusing on the strategies of naming, grammatical choice, and intertextuality.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verage consistently foregrounded “Danwon High School students” as the central symbol of public grief, while ordinary passengers, divers, rescue workers, and surviving families were often marginalized or depicted only in functional roles. Such discursive practices created implicit hierarchies of suffering in which some victims’ pain was recognized and remembered, while others were backgrounded or forgotten. Moreover, the reports frequently reframed trauma through psychological or medical discourse, reducing it to treatment and recovery, and diverting attention away from questions of structural responsibility. Intertextual links with later disasters, such as the Itaewon crowd crush, further recontextualized Sewol as part of generational trauma and collective mem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uma recovery is not merely an individual or clinical matter but also shaped by how victims are socially represented and emotionally positioned within public discourse.
본 연구는 배움여가로서 미디어 활용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현대인들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된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여가의 문화적 ·교육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와 관련된 올바른 방 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미디어는 경제적·시간적·신체적 제약을 넘어 여가 참여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고령자·장애인·청소년 등 사회적 취약집단에게 포용적 여가 경험을 제공하는 매개체로 작용하였다. 둘째, 미디어 활용은 단순 한 오락이나 시간 소비를 넘어 각자력, 자활력, 치유력과 같은 배움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으로 기능하였 다. 이는 개인이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능동적 참여와 성취를 경험하며, 정서적 교류와 성찰을 통해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 이 제언한다. 첫째, 정책적 차원에서 미디어 활용을 배움여가로 인식하는 사회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육적 차원에서 미래교육 현장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fashion collections, which have emerg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ies. As new media develops with the integration of old media, fashion collections are increasingly functioning as media tools to convey identity, narrative, and artistic intent beyond aesthetic present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of collections from 2000 S/S to 2025 S/S, this study defines the term ‘new media fashion collection’ and investigates its communicative func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such collections embody the significance of the expansion of space-time, evolution of expression methods, and decentralization of experience, while diversifying meanings and modes of expression based on new media attributes such as extensibility, integrativeness, and interactivity. More specifically, their expressive characteristics can be understood through four characteristics: the direct representation through borrowing, the diversity of message expression, the immersion through unreality, and the narrative construction via editing. Collectively, these characteristics demonstrate how new media fashion collections emphasize themes by using digital technology to borrow or transform old media content. Digital technologies allow fashion collections to unfold across limitless space-time dimensions, positioning them as versatile communication media and enhancing expressive possibilities. These approaches reflect how fashion collections in the digital era integrate technological elements to enrich communication and viewer engagemen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positioning of fashion collections as a form of media and offers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ir evolving expressions. Further, it highlights the need for continu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bridging fashion, technology, and media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