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

        81.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use culture of Gnaphalium affine, a traditional rice cake plant resour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survey on 259 women aged 60 or over living 18 city and county in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ll respondents in the survey did not know the standard name of Gnaphalium affine. 178 repondents (68.7%) knew the plant name called in the local area. The frequency was higher in the order of Jebissuk (37.5%) > Gaessuk (21.2%) > Seorissuk (19.7%) > Gyessuk (4.3%) > Goissuk (1.9%), including duplicate responses. Of the 178 respon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could distinguish it, 82.6% knew only one species, and 17.4% knew two in Gnaphalium affine. 62.3% of respondents said they ate dishes made from Gnaphalium affine, and 62.3% had experience cooking Gnaphalium affine. 61.8% of respondents said they ate rice cake made from Gnaphalium affine, and 40.2% had experience making rice cake with Gnaphalium affine. Edible taste of Gnaphalium affine was evaluated as ‘delicious and sticy taste (4.75)’and ‘above sticky (4.89)’according to criterion level 5.0. The final eating period was followed from 1951-1970 (33.1%) > 1971-1990 (29.4%) > 1991-2010 (17.5%) > after 2011 (13.8%) > before 1950 (10.0%),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very necessary that the standard name of Gnaphalium affine is spread widely and the use culture is succeeded and active.
        8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숙취해소음료 시장이 음주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각 기업들은 저마다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력으로 숙취해소음료를 개발하고 새로운 브랜드를 부여하고 패키지디자인을 통해서 이를 소비자에게 알리고 선택받기를 원하고 있다. 브랜드와 더불어 브랜드 이미지를 시각화하고 의미를 부여한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의 제품선택에 큰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네임의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의 브랜드네임을 브랜드표현 유형을 기준으로 분류해보고, 브랜드표현 유형별로 브랜드네임의 시각이미지 구현이 패키지의 표면디자인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숙취해소음료의 브랜드네임과 패키지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8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how ‘forest name’ and ‘information on forest healing effectiveness’ influence users’ perceived restorativeness (PR). The study area was ‘Forest Healing Road’ in Mudeungsan National Park. Data were collected from 359 Gwang-ju citizens selected by convenient and snowball sampling procedures using some simulated photographs and questionnaire during May-June, 2015. The placebo treatment group generally showed more positive ratings on PR than control groups. While the groups exposed to good environmental conditions didn’t show any differences on PR between placebo and control groups, the groups exposed to medium or bad environmental conditions showed differences on PR. Placebo effects on PR wer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e.g., gender, age, education level), knowledge about healing fore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healing forest. Som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8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紫雲 李宜翰(1692~1766)의 삶과 학문경향에 대해 조명한 것이다. 18세기 밀양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의한은 평생 중앙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향촌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處士型 학자이다.그는 碧珍將軍 李忩言(858~938)으로부터 내려오는 학문과 문학, 그리고 절조와 의리를 중시하는 家學的 전통을 계승하고, 나아가 嶺南學統의 큰 주류인 葛庵-大山의 학통과 寒岡-眉叟 학통을 계승한 近畿南人의 학통을 兼攝하여 자기 나름의 학문세계를 추구하였다. 그 결과 그는 젊은 날에 관심을 가졌던 文章學에서 50세를 전후하여 爲己之學으로 학문의 방향을 선회하였다. 그런 가운데 이론 性理學에 치중하기보다 일상적인 삶속에서 자신이 배운 학문을 실천하는 삶을 영위하였다. 그러나 그의 문집에는 마음의 수양과 관련한 글이 없지 않지만, ‘當世의 文衡’으로 평가를 받았던 만큼 公的이고 실용적인 문장을 다수 창작하였다. 이는 이의한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밀양 지역의 鄕風 振作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로서의 소임과 책무가 무엇인가를 일깨워주었다.
        85.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has carried out a study on “Children head theory” and “Thatched cottage biography”, the two hanmun compositions on Kim Jin Yang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period. By studying the texts,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Jin Yang and the two authors, and the creation date,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tructures, forms, styles, and writing tactics of these two compositions, try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etween. An conclusion is drawn that the difference of these two compositions lies in their genres, one is "theory" and the other is "biography ". Kwon Geun and Lee Sung In eulogized Kim Jin Yang not only ecause of their friendship, but his frugality which is advocated by the scholars. Kwon Geun’s “Children head theory” described the liberal, high-spirited and vigorous young Kim Jin Yang by using a pleasant tone and a lively atmosphere. This composition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ncient Chinese "theory", which is much more like a “miscellany”, this is the Goryeo type of "theory". The Lee Sung In’s “Thatched cottage biography” describe the later years of Kim Jin Yang, so the atmosphere of this article is quite plodding, aiming at sketching out Kim Jin Yang’s aloofness and he can take the rough with the smooth even after his dismissal. This composition is also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ncient Chinese "biography". Both two compositions not only helped to research the Goryeo scholar Kim Jin Yang, but also has a great importance for study the hanmun "theory" and "Biograph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end of the Goryeo to the beginning of the Chosun.
        8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meaning of color-complex words in Korean. Korean colors are different from Western's colors. Because korean pure colors are calm and static. Moreover the korean language expressed as a variety of sensory and delivers various meaning. In the general living environment it is recognized as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ir decisions are based on the brain. In addition, the our cultural life is reflected on the language and Color saturation, especially in a language. By the language we feel sensitive and by looking at these colors we can analyze the color-complex words. Furthermore the color-complex words means usually 'colored' and express the meaning 'Character'. That is the nature of light which is a word that means the diverse nature of life and beauty. Well, above mentioned the color-complex words are applicable to the current color trend 'wellness', 'organic' and can be applied to eco-friendly brand that can take advantage of it. I am planning to show you how one color represents korean color-complex words.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colorful representation. As a consequence the design for contemporary brand can be applied to naming and advertising strategy.
        8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溪南 崔琡民(1837∼1905)의 삶과 학문경향에 대해 조명한 것이 다. 계남이 활동했던 19세기는 성리학적 통치이념과 가치관이 근원적으로 위협 받고 있었다. 이러한 내우외환의 시대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19세기 사상계는 영·호남 할 것 없이 ‘主理’의 학문체계를 통해 이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孔 孟程朱로 내려오는 정통 성리학을 유일한 正學으로 보고 陽明學을 비롯한 西學 등 모든 다른 사상을 이단으로 규정하여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을 지키고 외세 의 침략에 대항하고자 하였다. 계남 최숙민은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학문과 절조의 家學的 전통을 이어받아 한평생 학자적 삶을 추구하였다. 젊은 시절 형인 橘下 崔植民(1831~1891)의 보살핌에 의한 獨學, 그리고 중년에 蘆沙 奇正鎭(1798∼1879)의 학문적 기반 을 토대로 하여 만년에 華西學脈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자신의 학문세계를 열어나갔다. 그것은 다름 아닌 19세기 시대현실에서 노사의 ‘주리’의 학문종지 를 터득하여 후학들에게 열어주는 것을 자신의 일대 사업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런 가운데 계남은 아버지의 가르침에 힘입어 黨議에 사로잡힌 당시 사상계 에서 학문적 울타리를 트고, 오직 진리를 찾으려는 求道의 일념과 개방적 학문 자세를 견지하였다. 그래서 지역과 당색을 초월하여 많은 학자들과 학문적 담 론을 통해 이론성리학을 지양하고 心學을 위주로 하는 실천성리학을 추구하였 다. 이는 평소 그가 주장한 현실의 삶 속에서 人事인 下學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에 기인한 결과이다. 하학의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은 스승인 노사 기정진의 영향에 힘입는 바 이지만, 아울러 이 지역의 학풍을 주도했던 南冥 曺植(1501∼1572)이 강조했 던 학문관점이기도 하였다. 남명의 학문정신이 19세기에 되살아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천을 중시하는 下學重視의 학문경향은 바로 계남 학문경향의 주요한 관점이었다.
        88.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30-40년대 돈차는 전차, 단차, 벽돌차, 곶차, 강차, 차, 청태전 등으로 불린 가운데, ‘차’라는 이름이 대중적으로 이용되었다. 모양은 엽전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지름 2.3-10.0cm로 다양했다. 용도는 감기치료용, 배앓이 치료용, 두통치료 등에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음료수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90.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교의 원예 비전공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양과목인 생활원예 수강자를 대상으로 화훼식물에 대한 인지도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변에서 흔히 화훼식물로 이용하고 있는 초본화훼류 52가지와 관엽식물 20가지, 화목류 18가지, 야생화 10가지를 포함한 총 100가지 식물을 LCD 프로젝터로 보여주고 각 식물에 대한 일반 정보를 구두로 전달한 뒤 식물명을 응답자가 기록하였다. 조사된 초본화훼류 52종 중에서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13.2% 만을 식별하여 식물명을 기록하였다. 대부분이 도입식물인 관엽식물의 경우에는 실내 생활 속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2.8%라는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주로 자생하는 식물류인 화목류와 야생화의 경우 화목류의 인지도는 38.6%로 매우 높았으나, 야생화는 11.5%로 낮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성별에 있어서 여성 응답자의 인지도는 18.0%로 남성 응답자의 13.2%보다 높았다. 비도시지역 출신의 응답자는 도시나 대도시 출신 응답자보다 인지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응답자의 화훼식물에 대한 전체 평균 인지도는 15.5%로 매우 낮아, 교양과목으로서 생활원예는 무엇보다도 화훼식물명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91.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류환경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연계와 데이터베이스 통합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에 대한 빈번한 문제제기에 비해 합리적인 데이터베이스 통합방안에 관한 학술적 측면의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DB통합법과 관련하여 개체 및 속성 간의 유사도 측정에 기반을 둔 계량화된 충돌 식별법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DB 통합 시 빈번히 발생하는 의미적 충돌(Semantic Conflict)현상인 이른바 "Name Conflict"의 식별을 위한 하나의 해결법으로서 개체 및 속성 간 종합적인 유사도를 측정하는 계량화된 식별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간단한 예제를 통해 제안한 방안의 유효성과 식별방안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92.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식물 530종류를 과수(36종류), 채소(55종류), 초본화훼(227종류), 목본화훼(98종류), 관엽식물(114종류)로 구분한 후 이름의 유래와 음절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름의 유래를 어종에 따라 구분한 결과 채소, 초본화훼, 목본화훼는 한국이름에서 유래된 비율이 각각 51.7%, 43.4%, 60.0%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과수는 중국이름에서 유래된 비율이 46.5%로 가장 높았다. 관엽식물은 한국명의 경우 학명이나 속명에서 유래된 비율이 29.3%, 17.1%로 높았으나 일본어 이름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비율이 53.1%로 가장 높았다. 원예식물 이름의 유래를 의미에 따라 구분한 결과 유래원은 과수의 경우 원산지 (43.3%)와 언어명(29.7%)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으며, 채소는 언어명(32.7%)과 형태(16.3%)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다. 초본화훼는 형태(38.3%)와 생육특성(12.3%)에서, 목본화훼는 형태(38.3%)와 색깔(21.1%)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다. 관엽식물은 형태(46.7%)와 언어명(26.7%)에서 유래된 비율이 높았다. 원예식물 이름의 음절수는 과수와 채소는 1-2음절이 각각 71.4%, 68.9%로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초본화훼와 목본화훼는 3-4음절이 각각 57.5%, 65.7%로 높았으며, 관엽식물은 44.3%가 5음절 이상이었다. 음절수와 어종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은 음절수가 4개 이내가 90% 이상이었으나 학명에서 유래된 이름은 음절수 5개 이상인 것이 70%이상 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