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anilseonman) New Dictionary is a multilingual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marked in multiple characters. It records the pronunciation and interpretation of Korean, Japanese, Northern Mandarin and Manchurian language corresponding to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few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in modern Korea, and the (Hanilseonman) New Dictionary, which records many Chinese words, is evaluated as the prototype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hinese and Korean meanings of the ‘火部’ Chinese monosyllabic cooking verbs in the (Hanilseonman) New Dictionary. We then analyze their meanings, summarize their meaning-positions and classify the semantic fields. Furthermore, the accuracy of their Chinese and Korean interpretations in the (Hanilseonman) New Dictionary is examined, and the prominent interpret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nilseonman) New Dictionary are investigated.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Modern Times food culture and language, and also points out the problems of Modern Times Chinese-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ictionary compilation. This paper discussed the applicabil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Korean dictionary definitions, examine the interpretation strategi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Korean dictionaries, summariz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Korean diction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researcher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선박의 운항이 유인(有人)으로부터 무인(無人)상태로 변화함에 관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사람의 탑승을 전제로 하여 마련되었던 전통적인 법적 패러다 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 선박의 AI 및 사이버보안과 같은 신기술이 영국 법제하에서 책임 및 해상보험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칠지에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자 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개념에 관하여 간단히 소개를 한 뒤, 영국 법과 법원이 자율주행차량 및 자율운항기체에 관해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와 자율주행차량의 보험제도 등을 다루기 위해 새 로이 입법된 영국 Automated and Electric Vehicles Act 2018을 소개한다. 영국법제하에서의 AI 책임 문제에 관하여서는 AI의 법적 지위에 기반하여, 패러다 임 시프트가 일어나는 동안의 현실과 법제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한 제안을 하 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상보험 관련법의 해석 관련, AI 및 사이버보안 등은 자율운항선박 감항성의 요인으로서 묵시적 보증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측가능하지 않은 수준의 사이버보안 문제 등도 부보가능한 위험으로 해석하여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본 논문의 목적은 신기술이 영국 법제하에서 자율운항선박 관련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를 개괄적으로 제시하 고 그에 관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정리하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Quda (渠答) is an ancient military literature word, many military books and dictionaries of past dynasties interpreted Quda (渠答) as Tiejili (铁蒺藜). Some scholars have raised objections to this, believing that Quda (渠答) and Tiejili (铁蒺藜) are not the same thing. However, the specific shape of Quda (渠答) has always been controversial. The paper argues that Qu (渠) and Da (答) are two kinds of city guard instruments, Qu (渠) is a large wooden shield, Da (答) is also written Da (荅), which is a protective curtain made with straw and bamboo. Da (答) covers the Qu (渠), so Qu (渠) and Da (答) are often associated, the words Qu (渠) and Da (答) in the literature have evolved into a polysyllabic word, which refers to the facilities of guarding the city against the enemy. Quchan (渠幨) is also written Quzhan (渠譫), Chan (幨) is a protective curtain made of cloth. Quzhan (渠幨) and Quda (渠答)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however, after generalization, the two meanings are close to each other.
“Kong shou” is one of basic Worship on bended knees in ancient China.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explanation of “Kong shou”. In the present study, many doubtful points were deeply analysed, and the data of related images were used to confirm the “kong shou” etiquette action. The analysis results have showed that all the statements are inaccurate. Based on the image data, we reinterpreted “kong show” as follows: the person kneeled his both knees and placed hands together above the front of the knees, with the hands staying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while the palms were keeping upward and the head moved towarding to the hand. The person’s head closed to his hands and kept a certain space between the head and the hands. Therefore, the name of “kong shou” originates from that someone make an action of “Kong Shou”, his head does not reach the hands and kept interspace between them.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meaning of “Yi (泗)” in the Book of Songs has been nasal fluids since Mao Heng, and has been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borrowing, phonetic and ideographic word-formation, etc. However, there are still seven questions about the exact meaning of “Si (泗)”, which arouses different doubts about it. From the perspectives of handed-down documents and unearthed documents, variant relationships, literary meanings, contexts, dialects and so on, the word “Yi (泗)” of “Ti Si Pang Tuo (涕泗滂沱)” should be “Yi (㳑)” meaning that the water is full and flowing out. Furthermore, “Yi (泗)” has heterogeneous relationships with “Yi (益)”, “Yi (㳑)”, “Yi (溢)”, “Yi (洫)” and “Yi (泆)”, and has homologous relationships with “Ti (涕)”, “Yi (洟)” and “Ti (嚏)”, and has an isomorphic relationship with “Si (泗)” of “Si Shui (泗水)”. These relationships can be used to collate unearthed and handed-down documents.
The Foreign Investment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worldwide since its adoption on March 15, 2019, and will come into force on January 1, 2020. This law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law of China in the field of foreign investment since China’s access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foreign investment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expressed the strong will of the Chinese legislature in amending and perfecting the legal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this law will positively impact the future investment environment of China. This article analyses the background and evolution of the legislation procedure, the highlights and features of the law compared with earlier related laws in the field of foreign investment of China, and the impact and insufficiency of the law, together with the issu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This paper makes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New Edition of Copying and Interpretation of Yin Ruins Characters, and finds tha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in it, such as the unreliability of the character interpretation, the lack of interpretation, the errors in sentence breaks and inaccuracy of annotation.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is of great value in the field of oracle bones, and although it has some minor flaws, it does not prevent it from becoming an authoritative work.
동북아시아에서 神山은 불로장생하는 신선이 용ㆍ봉황 등 상서로운 동물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곳, 별천지ㆍ낙원ㆍ이상향, 혼탁하고 각박한 현실을 벗어나 도달하고 싶은 곳으로 여겼다. 바다 멀리에도 신산이 있다고 여겼으며 이를 본고에서 편의상 ‘海中神山’이라고 命名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중신산은 세 개의 섬으로 구성되었다고 여긴 ‘三神山’이다. 옛 先人들은 이 해중신산ㆍ삼신산을 찾아보려 하였으며 노래나 문학 그리고 닮은 모습(造形 작업) 등으로 표현하였다.
해중신산(삼신산 포함) 圖像은 본 연구에 소개한 조선시대 후기인 18 세기에 만든 도자기의 그림에서처럼 다양하다. 그 중심은 섬(산)이고, 物象으로 동물(새ㆍ사슴ㆍ거북이ㆍ어류(물고기ㆍ게ㆍ새우 등), 식물(연꽃 ㆍ소나무ㆍ대나무ㆍ不老草), 태양(대개 산의 위쪽), 바다의 표현인 물결, 구름, 배(운송 수단), 집(누각 포함), 인물(신선) 등이 있다.
그 典型的인 모습은 부여 외리 출토 산수문전(도3)~(도5)ㆍ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금동대향로(도1)와 符節처럼 연결되는 (도12)이다. 즉 바다 물결 위에 경사가 급한 바위 절벽이 둘러있는 산과 그 산을 배경으로 동물(날짐승ㆍ길짐승)ㆍ식물(소나무ㆍ불로초 등) 등의 물상을 표현하였다.
이외에도 산을 원경으로 배치하고 그곳으로 갈 배를 부르거나 도착한 모습, 산을 근경으로 배치하고 물상을 더 자세하게 나타낸 경우, 산은 생략한 채 뭍 또는 물 속의 물상 중심으로 나타낸 경우도 있다. 물상은 여러 종류인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몇 종류로 그친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해중신산(삼신산 포함) 도상은 조선시대 도자기 이외의 역사 문화유산에도 다양하다. 이 도상의 원류는 우리나라 신석기ㆍ청동기시대로 소급된다. 그리고 삼국시대에 이르면 공주 무령왕릉 출토 은제 탁잔(도2)(도2-1)ㆍ부여 외리 출토 산수문전(도3)~(도5)ㆍ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금동대향로(도1) 등에서 보듯 매우 精緻한 단계에 있었다. 이 도도한 흐름은 (도12)에서 보듯 조선시대 후기인 19세기까지도 큰 변동 없이 전개되었다.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 가운데 해중신산 圖像이 있다는 본 연구의 결론은 우리나라 도자사ㆍ회화사 연구에서 첫 주장이다. 이 논문을 계기로 고려ㆍ조선시대 도자기의 그림을 고유의 믿음ㆍ사상ㆍ종교의 전통과 토대에서 탄생한 역사문화유산으로 바라보았으면 한다. 뚜렷한 근거도 없이 산수화(경기도 광주 司饔院 分院 일대의 漢江과 주변 풍경, 중국의 소상팔경을 그린 그림)ㆍ정물화로 보거나 또는 불교ㆍ중국 중심으로 해석하고 또는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존 학계의 잘못도 시정 되었으면 한다.
Despite numerous errors already revealed in Shuo Wen Jie Zi by Xu Shen in Eastern Han dynasty, it is still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studies. This study utilizes tools, such as mathematical functions, set and logic, to look into Shuo Wen Jie Zi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is approach, one can get a macro-scale tendency or trend. At the same time, one can pin-point numerous micro-scale errors. This study firstly defines functions that constitute the framework, and then processes the entire data set within Shuo Wen Jie Zi, addressing the topics associated with it.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청구항(Product by Process Claim)은 물건청구항의 형태를 갖추 고 있으나, 제조방법에 의하여 그 물건을 한정하 는 형식으로 기재된 청구항이다. 제조방법이 기재 된 물건발명 청구항은 특허성 판단시와 보호범위 판단시에 그 해석이 국가별로 다양하고, 한 국가 내에서도 법원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많을 정도로 논란이 되어 왔다. 하지만, 2009년 미국의 CAFC 전원합의체 판결을 시작으로, 2012년 일본 지적 재산고등재판소 판결에서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청구항의 해석을 명확히 정리하였다. 한국의 경우 2015년 1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나오면서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청구항의 특허성 판단의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2015 년 2월 처음으로 대법원 판결로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청구항의 보호범위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최근 대법원 판례는 기재요건과 관 련하여 명확설의 입장을 취하였고, 특허성과 보호 범위 판단시에 물적 동일설로 입장을 변경하였다. 다만, 보호범위 판단시에 예외적으로 제법 한정설 을 채택하여, 경우에 따라 특허성과 보호범위 해석의 일치여부에 해석이 문제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어떠한 경우에 예외가 적용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으므로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 발명 청구항의 전체적인 법적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따라서, 보호 범위 판단시에 불명확한 “예외”를 통하여 청구항 의 해석방법을 달리할 것이 아니라, 불합리한 정 도로 넓게 해석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해석방법 에 따르면) 진보성 등의 특허성에 관한 무효사유 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오히려 무효주장으로 별개로 다투도록 하여 해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로버트 스타인이 신학자들의 난제라고 말한 마가복음 4장 11-12절을 새롭게 해석하려고 한다. 마가복음 4장 11-12절에서의 예수의 언급은 분명히 반어법적인 진술인데, 국내외의 신학자들은 한결같이 이 진술을 문자적 의미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래서 이 진술이 그들에게 난제로 남게 된다. 예수가 마가복음 4장 12절에서 이사야서 6장 10절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사야 6장 10절의 문맥을 살펴서 문맥과 반대로 표현된 이 구절이 반어법적 진술임을 밝힌다. 그 다음에는 마가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언급도 문맥과 반대로 진술된 것임을 밝힌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이사야서의 반어법적인 진술을 인용한 마가복음의 진술이 반어법적 표현인 것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그 결과 반어법적 진술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인 신학자들에게 오류가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간단히 말해서, 신학자들이 마가복음 4장 11-12절을 해석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들이 이 성경구절이 반어법적 진술인 점을 모르기 때문이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율리시즈의 귀향》은 《포페아의 대관식》의 그늘에 가려져 왔 다. 상대적으로 의문의 여지가 없는 작품으로 인식되었던 《율리시즈의 귀향》의 주제는 두 주인공 율리시즈와 페넬로페의 사랑의 승리로 여겨졌다. 그러나 당시 전 유럽에서 유행했고 《율리시즈의 귀향》의 대본가 바도아로가 속해 있던 익명학회도 애용했던 무의 관념에 의 거하여 이 오페라를 해석하면 전혀 다른 일면을 보게 된다. 《율리시즈의 귀향》에서 언급하 는 사랑은 두 주인공의 그것이 아니며 반대 축 인물들의 입을 통해 나오는 무로서의 사랑이 다. 또한 대본과 총보의 차이라는 결과를 만들어 낸 대본가와 작곡가의 의견 차이의 원인 역 시 무의 관념을 통해 밝혀낼 수 있다. 《율리시즈의 귀향》에 대한 이러한 시각의 해석은 그 동안 《포페아의 대관식》에 비해 《율리시즈의 귀향》을 파악하기 쉬운 작품으로 받아들였 던 기존의 해석을 뒤집고 더 나아가 《포페아의 대관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단서 또한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