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형성된 비아 캄페시나(Vía Campesina)는 근대화되고 세계화 된 식량 생산 체제(food regime)의 발전 과정에서 소외되고 배제된 토 지, 물, 종자, 산림 등과 같은 생태 환경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배제 혹은 착취되어 온 영세 농민들의 권리 회복을 주창해 온 전 세계적 농 민 조직이다. 특히 20세기 후반 이후 비아 캄페시나의 ‘농민의 삶’ 회 복 주장에 전 세계의 농민과 다양한 농민 조직들이 동참한 배경에는 식량 생산 체제의 세계화에 따라 농민의 삶이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되어 농촌과 도시의 빈민층으로 전락하거나, 곳곳에서 생태 환경이 파괴됨을 공동으로 목격하고 경험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볼리비아의 전통적 농업 지역인 알티플라노(altiplano) 지역에서 전통 적으로 자가소비를 위해 생산되어 온 생계 작물인 퀴노아(quinoa)가 상업 작물로서 전환되는 기회를 맞이하면서, ‘농민의 삶’ 회복을 시도 한 알티플라노 농민들이 처한 딜레마에 관해 분석하는 것이다. 즉, 그 동안 글로벌 식량 체제는 농민들의 삶을 유지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다뤄져 왔는데, 글로벌 식량 체제 아래서 새롭게 만들어진 기회 구조가 농민의 삶 회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과 정에서의 딜레마는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The increase i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workplace has introduced changes to traditional working environments. However, these are changes not only to employee productivity but also to how employees feel and think about their work. Based on prior research that has suggested connections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AI and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t work, the present study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perception of AI opportunity is indirectly related to job insecurity via employee hope, with tenure as a moderator. Data obtained from 290 Korean full-time employees illustrated that the perception of AI opportun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insecurity through hope acting as a mediator. In addition, this indirect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moderating role of tenure. Specifically, at lower levels of tenure, the aforementioned indirect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at higher levels of tenure, this indirect relationship was no longer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경제성장 뿐만 아니라 자기고용을 통한 실업해소, 성장 단계별 적절한 인재 채용을 통한 고용창출 등 작금에 우리가 직 면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업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전제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실질창업 활성화에서 중요한 것은 기회인식임을 제안하였고 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이 기회발견행동 및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과 기회발견행동이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실증 하였다. 또한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의 관계에서 기회발견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가정신은 창업기회인식은 물론 기회발견행동을 구성하는 4개의 하위변수에 모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기회발견행동의 하위 변수 중 관찰과 아이디어 네트워킹은 창업기회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 업가정신이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이디어 네트워킹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 육 혁신을 중심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The luxury fashion industry is facing increasing scrutiny due to its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and unsustainable production methods. However, new business models in the form of second-hand commerce and renting are emerging as attractive options for consumers, reshaping the luxury fashion landscape.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econd-hand luxury fashion and explores the business models adopted by companies in this sector.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reveals key themes pertaining to second-hand luxury, including consumer motivations and attitudes towards recycled luxury fashion, the evolving meanings and consumer identities associated with second-hand luxury, the impact on the traditional luxury fashion industry,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recycled luxury fashion, and the business models and sustainability strategies of companies operating in this sector.
본 연구는 불평등과 불공정의 심화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문제 인식과 공정과 정의에 대한 인식이 사회의 진보적 발전에 기초이자 기반으로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사회적 주장에 바탕을 두 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형평과 평등의 정의적 관점 에서 기회공정성보다는 절차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사회적규범, 제도운영, 보상에 대한 배분, 의사결정 과정, 절 차의 일관성, 편견의 부재, 정보의 정확성, 의사결정 참여자의 대표성, 의사결정의 정정 가능성 등이 지켜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적으로는 보수주의적 이념일수록 공정하게 사회가 운영되 고 있다고 판단하지만 진보주의적 이념일수록 사회적규범이나 제도운영 에 있어 기회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낮은 수준이라고 부정적으로 인 식하고 있다. 보수적 이념으로써는 개인주의적 관점이 메리토크라시적 가치와 결합·강화되어 현재 한국 사회에서의 기회공정성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진보적 이념으로써는 절차와 기회의 공정성이 약화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통령선거에서의 유튜브 캠페인을 사례로 소셜미디어 캠페인의 현황과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이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 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첫째, 이 연구는 20대 대선과 17대 대선에서의 선거동영상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수행하여 그 내용을 비교 고찰한다. 내용분석은 후보·정당 간 동영상 캠페인의 특징과 유권자 반응 및 정치적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 이 연구는 뉴미디어 캠페인 을 둘러싼 제도적 환경에 주목해서 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셋째, 이 연구는 뉴미디어 활용이 정치양극화로 이어지는 현실을 진단하 고 그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법을 모색한다.
Opportunity identification is the core issue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it is also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Although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research has achieved more results, there is still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rural tourism single industry. Based on social capital and experience learning perspectives, using data from 139 “Minsu” in China, which is now officially called homestay inn in China, we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previous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cales of embedded network and resources of social network have positively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The results also show previous industry experience and functional experience have positively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while previous working experience has no direct effect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s have a denser and larger scale of social network, they will have higher alertness for the potent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entrepreneurs have more previous industry and functional experience, they will recognize mor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PURPOSES : In this study, the social cost of on-street parking spaces was estimated by dividing it into private and external costs.
METHODS : We established a methodology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of Seoul. Private costs were estimated from the guidelines and historical data collected. The opportunity cost of the land was estimated using spatial information. External costs built a macroscopic model (using TransCAD) and estimated travel time, operation, accident, and environmental costs.
RESULTS : The social cost per space was estimated at 77 million won. Private costs were analyzed as 133.3 billion won, the opportunity cost of the land was 68,555 billion won, and external costs were 118,25 billion won in 2020.
CONCLUSIONS :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social cost of a road parking facility was established and applied to the case of Seoul.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bjective reviewing of the feasibility of policy evaluation or facility investment related to parking facilities.
지금까지 국내의 살충제 등록 및 관리는 농촌진흥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농업해충을 방제하는 목적인 농약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청에 각 농약의 이화학적 분석자료, 약효 및 약해 시험성적서, 인축독성 시험성적서, 환경생물독성 시험성적서 및 잔류성 시험성적서 등을 구비하여 신청하며, 농촌진흥청에 등록된 농약은 농업해충의 방제를 비롯하여 검역해충(농림축산검역본부 관할) 및 산림해충(산림청 관할)의 관리 및 방제에도 사용된다. 이에 반하여, 기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외품’이라는 명칭으로 등록 및 허가를 담당해오던 가정용 살충제(정식 명칭: 구제·방지·유인살충제) 및 방역용 살충제(정식 명칭: 감염병예방용 살충제)는 2019년 1월 기준으로 ‘살생물제’ 라는 명칭으로 환경부로 관리주체가 이관되게 되었으며, 향후 살생물제 물질 및 제품의 허가는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관리주체 이관 및 관련법 변경과 관련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고, 향후 더 많은 변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기존 의약외품에서는 모기, 바퀴, 진드기, 벼룩 등 질병을 매개하는 위생해충만을 방제의 대상으로 지정하였으나, 살생물제는 가옥 또는 구조물 내 서식하는 모든 곤충 및 절지동물을 방제하는 화학제품은 살생물제로 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공산품으로 판매되며 법적인 기준이 없었던 좀벌레 방제제, 쌀벌레 방제제 및 날벌레 방제제 등의 판매를 위해서는 향후 살생물제 등록을 거쳐야만 하는 것으로 규정의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들 신규 살생물제 포함군에 대한 효력시험법 개발 등이 필요한 상황이며, 관련한 제품개발 연구인력, 허가 관련 행정인력, 사육 및 평가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신규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살충제에 대한 연구 및 규정 마련을 위해 해당학회 회원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업가정신의 속성을 글로벌 차원에서 도출하고 국제화 기회를 유형화하여, 국제기업가 정신과 기회의 적합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첫째, SSCI급 경영 전문 국제학술지 일곱 종에 2000~2015 년 사이에 게재된 연구 논문을 탐색하고, 기업가의 국제경영 활동을 반영하여 국제기업가정신의 8개 속성을 도출 하였다. 둘째, 국제화 동기를 주제어로 하는 연구를 분석하여 자원을 탐색하거나 활용하는 경제 행위에 따라 4개의 국제화 기회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정의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개발하여 국제기업가 정신과 기회의 적합성을 밝히고 국제기업가정신, 국제화 기회, 그리고 국제화 성과와의 영향 관계에 대해 명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국제화 기회가 발생했을 때 이를 인지하고 분석․대응하기 위하여 어떠한 국제 기업가정신이 필요한지 적합성이 밝혀진다면 기업의 국제화 성과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서론 :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 중 장애인의 독립생활을 지원하고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데 필수적인 기회요인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 4차 산업혁명의 혁신 기술 중 재활분야와 관련된 빅데이터, 인공지능, 3D 프린팅 기술, 가상현실, 로봇공학 분야 연구를 살펴보았다. 관련 연구들을 통해 장애인에게 기회가 될 요인으로 첫째, 스마트 보조공학기기, 둘째, 스마트워크와 새로운 일자리, 셋째, 장애인식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작업치료사로서 이러한 기회요인을 기반으로 한 보조공학전문가, 직업재활전문가, 장애인식개선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결론 : 사회 여러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환경과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가고 있다. 작업치료사도 급변 하는 환경 안에서 보조공학, 직업재활, 장애인식개선 분야에서 변화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재활치료 분야의 전문인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허무효심결취소 소송에 대한 정정심판 청구 시 정정 기회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등록된 특허에 대하여 어떤 이해관계인이 등록된 특허를 무효 시키기 위해 특허심판원에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하였는데 패소하였고, 이후 청구인은 심결취소 소송을 특허법원에 제기하면서 새로운 증거를 제출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특허권자는 특허심판원에 정정심판을 청구하였고, 특허법원에서는 청구인의 새로운 증거를 인용하여 심판원으로 취소환송 하였다. 이 경우 특허심판원에서는 특허권자의 정정심판을 특허무효심판에 우선하여 심리ᆞ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정심판을 기다리지 아니하고 특허권자에게 정정의 기회도 부여하지 아니하고 특허무효심판을 진행하고 있어 현행 특허법상 특허권자가 대응할 수 있는 정정 청구의 기회는 거의 없다. 위와 같이 특허권자에 대해 이러한 정정기회 미 부여에 따른 불공정한 입장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무효 심결에 대한 취소소송이 특허법원에 계속 중인 경우, 독립하여 특허권자가 정정심판을 특허심판원에 청구한 때에는 당해 특허무효심판 건을 다시 심판원에서 재심리하게 하는 것이 상당하다고 인정 되는 경우는 해당 심결을 심판관에게 취소 환송하기 위해 결정으로 심결을 취소하여야 할 것이다. 이후 취소결정이 확정되어 특허심판원에서 다시 심리개시를 한 경우 특허권자에게 정정청구의 기회를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정정청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존의 정정심판 청구는 취하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법제도가 개선되면 특허권자나 심결취소 소송청구인에게도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특허법의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안을 제시 한다.
In recent years, China initiated Big Data strategies and put forward a series of legislative proposals with regard to the regulation and utilization of Big Data technology. However, academics have not reached consensus to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data ownership and protection approaches yet. The intrinsic contradiction lies in the difference of values between Big Data which emphasizes “open and shar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aw that protects monopoly interests. This article seeks to conceptualize Big Data in a dynamic approach with an aim to frame the dialogue for further discussion. Through analyzing whether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aws in China serve a solid base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big data technology, it proposes that, in order to address regulatory impracticality of Big Data, certain statutory amendments are necessary. However, regarding the revolutionized proposition of creating a “database right” or alleging “Big Data as an object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this research recommends a modest and restrained approach.
In 2015, the movie “Northern Limit Line” which based on the naval battle of South and North Korea occurred in 2002 was premiered (Los Angeles Times, 2016). This movi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improve the image of the R.O.K Navy. Brand Placement (BPL) was used to promote the R.O.K Navy in this movie (Karrh, 1994; Van Reijmersdal, Neijens & Smit, 2007).
The R.O.K. Navy is trying to build powerful naval forces with the slogan called “The Ocean Navy”. It is essential to acquire the elite military forces who can help the Korean Navy to accomplish its strategic goal and heighten the competitiveness. The acquired elite military force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heir own ability while they serve the R.O.K. Navy. They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to the local communities as the supporters of the R.O.K. Navy after they are discharged.
This research analyzed BPL effect in terms the recruitment of workforce.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BPL, organization image, organization reputation, employment brand equity and intention to pursue job opportunity in R.O.K Navy. In previous researches, the effect of image can be applied to corporate brands, product, individual brands, geographical areas, events and people (Balmer, 1997). The image of organization can remind people of the particular organization (Cable & Yu, 2006). The reputation is a dynamic interaction construct with the image, and defined as a subjective judgment based on the reliability and integrity about the organization in long term (Clardy, 2012). Employment brand equity is defined as outcome of applicant’s decision choices attributable to job seeker’s beliefs about the organization as employer(Han & Collins, 2002). Marketing literatures on employment brand equity can be useful in helping to understand how job seeker develops beliefs about organization as employer. Although many researches studied BPL, organization image and reputation, employment brand equity, etc., littl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integrate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in public sector such as the military forces.
Sample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people who watched the movie called “Northern Limit Line”. SPSS and AMOS package programs a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Marketing strategy for a public sector such as Korean Nav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position Korean Navy a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organization to recruit better quality human resources.
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social media and other digital tools and its massive acceptance have revolutionized marketing practices such as advertising and promotion (Hanna, Rohn and Crittenden, 2011) by changing the approach of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Henkkig-Thurau et al. 2004) and the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products, services or brands for consumers (Kozinets, 1999). On the one hand, these changes have provided consumers of the additional power to influence other buyers by sharing ideas and experiences about products, services or brands (Ioanăs & Stoica 2014). On the other hand social media websites allow business to engage and interact with users by increasing sense of intimacy with consumers and building strong relationships with potential customers (Mersey et al. 2010). Therefore, the incomparable efficiency of social media has induced industry leaders to participate in Facebook, Twitter, Instagram and others, with the aim to succeed in online environments (Kaplan and Haenlein 2010). Furthermore, brands are motivated to develop social network campaigns for gathering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useful to targeting or personalising future marketing strategies (Noort, Anthenius and Verlegh, 2014). This situation have brought many authors, especially interested in luxury industry, to investigate on social media as a new way for luxury firm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nd influence their purchases. One of the main objectives for literature was to understand if luxury products, related to prestige, uniqueness and exclusivity values, could be express using channels accessible to everyone, such as social media. Indeed, in this era of the “democratization of luxury” (Atwal and Williams 2009), luxury brands are dealing with the challenge of using mass marketing tools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the exclusivity dimension of their products (Okonkwo 2010). So as Hennigs states: “As the virtual environment is a place where images, videos and opinions circulate regardless of brand ownership, is it possible to keep a sense of exclusivity around a luxury brand?” (Hennigs, Wiedmann and Klarmann 2012 p. 30). In Italy, the digital population keep growing and the time spent in front of digital devices is increasing; people is becoming more familiar with e-commerce and as a consequence the communication of firms is more transparent (The Boston Consulting Group 2011).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impact of social media marketing on brand equity and consumer behaviour within the Italian luxury economy. Our research has tried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from two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authors have observe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some luxury firms, emphasizing the way these brands use social network to promote their products, their special events or their stories.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have studied consumers’ approaches to social networks through a survey (Chisnall 1993) delivered to a sample of Italian respondents.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show how social media have been used by five luxury brands and how they can influence luxury brand equity, by affecting Italian consumer behaviour. With this objective, the authors have analysed the composition of the sample that is active on social networks in order to gather useful demographic information about users. Moreover, this research has been important to discover the most popular platforms for Italian users and the response of some of the major international luxury brands in terms of contents shared on specific social networks. In addition, the survey has represented a great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on consumer behaviour, seeking to measure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responses (Laroche and Mourali 005).
Over the years, luxury has built-up a reputation as recession proof industry. Even though the industry growth has slowed down in the mid 2000s, luxury firms have managed to cope with economic contingencies and shortening traditional demand by widening their clientele base to prestige mass consumption ― the “masstige clientele”. Doing so, luxury firms have been pursuing a dual strategy by wooing aspirational consumers as well as their traditional elite customers, thus managing the challenge of handling both a differentiation strategy based on scarcity and uniqueness, and increased volumes of sales. This has been a trend in mature markets such as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ut was significantly fostered by expanding into emerging markets. Sector specialists thus expect China to remain a major structural growth area in the medium term, where the number of both high-end clients as well as new aspirational consumers will substantially increase and influence firms strategy.
Collective intelligence is important and necessary since it is a strong method to apply across the applicable areas in terms of educational scene of school and company, drawing up and operation of social policy as well as management aspect of company a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In this regard, Ivan Illich criticized the function of education as one of a social evaluation system that injects what society wants from people, cultivates talents which society wants, rather than allowing people to learn and growth through a social education function of society, while applying destructive standards of social evaluation and culling people to those who do not follow such routes. Ivan Illich has made diverse and actual suggestions for becoming active learners as the society opens and connects various resource for the people to select by themselves rather than making people learn with an artificial education system. This suggestion gives considerable implications to the current online community beyond exclusively an off-line oriented commun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everal limitations that educational applic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has in the swirling era of change based on such suggestions of Ivan Illich and to present alternatives for this.
본 연구에서는 해외 진출한 국내 정보통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현지파트너로부터 시장기회 파악과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직학습이론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 해외진출한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학습의도, 관계자본, 인지자본이 클수록 현지파트너로부터 시장기회파악과 활용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전지식 정도와 구조자본의 경우에는 현지파트너로부터 시장기회 파악보다는 해외진출한 국내 중소기업이 획득한 지식을 현지시장에 맞게 활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진출 중소기업의 사전지식이 현지파트너로부터 시장기회 파악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변수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자본만이 사전지식이 현지파트너로부터의 시장기회 파악 및 활용에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