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portance of urban green space creation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most realistic and efficient approach for fine dust mitigation in urban area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ities, the application of buffer green spaces along roads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fine dust reduction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green space cre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fine dust mitigation effects based on the types of plantings in the central dividers and roadside trees in Jeonju City, Jeollabuk-do. To do this, we controlled various external variables of urban space and considered the planting arrangement types in the central dividers, carrying out the analysis using a CFD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central dividers with plantings demonstrated more effective ultrafine dust reduction than those without. Moreover, the arrangement of roadside trees showed a greater ultrafine dust reduction effect when adopting a multilayered structure compared to a single layer.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installing both trees and shrubs simultaneously in the central dividers and along roads was effective for ultrafine dust mitigation. On this basis, we quantified the dust reduction effects of plants in urban street environments and proposed planting guidelines for roadside green spaces to improve air quality.
        4,000원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정원의 식물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자 전국 36개 정원을 대상으로 정원식물을 조사하였다. 정원은 6가지 유형 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36개소 정원에는 정원식물 712종 류가 식재되고 있었다. 교목, 관목, 초본의 비중은 평균 1:2:7 이었다. 개별 정원(10×10㎡)에서 교목은 평균 2.5종으로 12.6%, 관목은 4.1종 20.7%, 초본은 13.2종 66.7%를 차지했다. 식재 빈도 상위 5%에 40여 종이 포함되었으며, 맥문동, 일본조팝나 무, 수국, 회양목, 단풍나무, 옥잠화, 에키네시아, 산철쭉이 대 표적이었다. 양지형 정원에는 관목이 상대적으로 적고 초본이 많았으며 다른 유형보다 20~40% 이상 다양했다. 그늘형은 초 본보다 교목이 많았으며, 건조형 및 습지형과 마찬가지로 식 재 다양성이 20% 감소했다. 옥상정원의 도시형 정원은 초본 이 전체의 80~90%를 차지하고, 해안형 정원에는 목본과 초본 이 1:1로 목본 중심의 식재 특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정원 유형에 따라 식재 다양성과 구성 비율이 명확한 차이를 나타 냈다.
        4,000원
        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공장에 재배 가능한 작물은 매우 다양할 것으로 본다. 식물공장에서 재식밀도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재배에 적합한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형태는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태로, 박막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재배하였다. 재식밀도는 22plants/m2(15×30cm), 27 plants/m2(15×25cm), 그리고 33 plants/m2(15×20cm)로 처리 하였다. 식물체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식물체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와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위면적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단위면적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가 높은 처리구(33plants/m2)에서 높게 나타났다. 재식밀도와 초장, 엽면적, 광합성, 경도 및 엽록 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식밀도와 벌브 높이와 지름 및 당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재식밀도가 낮은 22plants/m2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벌브 높이와 지름을 보였으며, 당도 또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경제성을 고려한 생육적인 측면에서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재식밀도 33plants/m2 (15×20cm)가 적정하였으나, 당도와 같은 품질적인 측면에서는 재식밀도 22plants/m2 (15×30cm)가 적정하였다.
        4,0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wth and development of succulents were studied in response to two leaf cutting types, the tip and base, using four Echeveria species (E. ‘A Grimm One’, E. ‘Momorato’, E. pulvinata ‘Frosty’, and E. pulidonis) and the planting position, either upright and faced-downward, using Graptoveria optalina. The shoot diameter (mm), height (mm), and number of leav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af cutting type. Results revealed that the shoot diameter of buds from base leaves were significantly larger by 4 - 9 times than those of buds from tip leaves. Shoot height of buds from tip leaves either not developed or reached a maximum of 2.29 mm while buds from base leaves had an average height of 11.61 mm from E. ‘Mamorato’. Using base leaves allowed to obtain roots and leaves for all selected succulent species after 60 days from planting. Regarding planting position, upright planted and downward-facing pl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ds from upright planting showed taller shoots, greater number of leaves which in turn gave higher visual quality rating and superior color reading using Hunter’s Cielab compared with buds in downward-facing planting position. Planting succulents in an upright position led to well-formed shoots and roots which had a high-quality rating and color evaluation compared with faced-downward planting producing etiolated and abnormal grown shoo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use of base leaf cuttings and an upright planting position provides a rapid vegetative propagation method for selected succulent varieties.
        4,000원
        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지상부 생체 중과 건물중, 수확시기, 상품률과 상품수량과 같은 생육과 수확 요인들을 쉽게 읽을 수 있는 재식밀도-생육-수확 (PGH) 도표를 만들기 위함이다. 광도 140μmol·m-2·s-1과 일 장 12시간 주기로, 3파장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박막수경 재배하였다. 4가지 재식밀도 (15×10cm, 15×15cm, 15×20cm와 15×25cm) 하에서 생육과 수량을 분석하였다.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어느 한계까지는 식물체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단위면적당 생체중인 수량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 생장률, 상대생장률과 lost time은 2차 등식 형태를 보였으며,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등식을 이용하여 재식밀도-생육-수확(PGH) 도표를 만들었다. 예를 들면, 15×20cm 재식밀도와 식물체당 생체 중 100g에서 수확할 경우, 재식주수,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 식물체당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은 각각 33plants/m2, 20g·m-2·d-1, 0.27g·g-1·d-1, 22days, 2.5g/plant, 정 식 후 26일과 3.2kg·m-2이었다. 이 도표를 가지고 적어도 2 가지 요인 예를 들면, 재식밀도와 수확요인 중 하나만 알면, 작물생장률, 상대생장률, lost time과 같은 생육 요인과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수확시기와 수량과 같은 수확 요인들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도표는 다양한 작물의 생육과 수량 요인을 예측할 수 있어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 설계를 위해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4,000원
        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μmol·m-2·s-1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 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L-1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μmol·m-2·s-1에서 높았다. 재식 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 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 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μmol·m-2·s-1와 재식밀도 15×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심의 열환경 개선 및 건물에너지저감 효과가 입증된 벽면녹화 중 기존 건물에 적용 가능한 패널형 벽면녹화 식재기반 유형에 따른 건물에너지 저감 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재기반 유형은 총 4가지 유형으로 하였으며, Case A는 벽면녹화가 미적용된 유형으로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다. Case B는 식재층 + 무기다공성블 록 +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으며, Case C는 식재층 + 코코피트블록 +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다. Case D는 식재층 + 마사토블록 + 콘크리트 + 단열재로 구성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열전도율, 열관류율, 건물에너지시 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식재기반 유형별 열전도율은 Case C(0.053W/mK) > Case B(0.1W/mK) > Case D(0.17W/mK)의 순이었다. 에너지시뮬레이션 결과 중 단위면적당 냉방피크부하저감은 미적용인 Case A 대비 Case C(1.19%) > Case B(1.14%) > Case D(1.01%)이며, 난방피크부하저감은 Case A 대비 Case C(2.38%) > Case B(1.82%) > case D(1.50%)로 산정되었다. 연간 냉·난방부하저감은 미적용 Case A대비 벽면녹화 유형에서 0.92~1.28% 저감률을 나타내었다. 연간 냉난방에너지사용량은 3.04~3.22%의 저감률을 보였으며, 1차에너지사용량은 Case A대비 나머지 유형에서 평균 5,844 kWh/yr의 저감량을 보였다. 연간 이산화탄소발생량은 벽면녹화 미적용 Case A대비 평균 996㎏ 저감량을 보였다. 식재위치별 에너지성능평가 결과 동향 > 서향 > 남향 > 북향 순이었다. 벽면녹화비율에 따른 에너지성능평가 결과 녹화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20~80%의 비율보 다 100% 녹화시 약 2배의 저감률을 보였다.
        4,200원
        8.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간 내도복성 ‘소담찰’ 수수의 논 재배 시 안정적인 수량확보를 위해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특성과 종실생산성에 대한 시험을 2014년 경기도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시험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6월 10일 파종에서 62일로 가장 빨랐으며, 비닐피복재배에서 파종기가 늦을수록 출수기가 빨라지는 경향이뚜렷하였다. 2. 파종기에 따라서는 6월 20일 파종에서 생육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간경, 분지수, 천립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피복유무에 따른 간장, 간경, 분지수에서도 유의성을 보였다. 3. 주당종실중과 종실수량은 파종기별 비닐피복재배에서는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무피복재배에서는 6월 20일 파종에서 주당종실중이 17.7g, 종실수량이 212 kg/10a으로가장 적었으며, 파종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소담찰 수수는 간장이 평균 90 cm로 매우 작아 논 재배에서 문제가 되는 도복에 강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삭길이는소식재배에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간장, 간경, 분지수, 이삭길이, 천립중은 재식밀도 간에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5. 주당종실중과 종실수량은 재식밀도 간에 유의한 영향을주지 않았으나 주당종실중은 60×25cm (6,600본/10a)의 소식재배에서 48.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10a당 종실수량은 60 × 15 cm(1본)과 60 × 30 cm(2본)의 밀식재배에서 각각 427 kg, 415 kg으로 가장 증수되어 소담찰은 밀식적응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6. 따라서 소담찰 수수는 기계수확 등 생력기술을 적용하여논 대면적 재배를 위해 파종기는 6월 10일, 재식밀도는11,000주/10 a [60 × 15 cm(1본), 60 × 30 cm (2본)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부산광역시는 지형적 특성과 교통흐름을 고려하며 1969 년 자성고가도로의 건설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4개의 고가 도로를 건설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고가도로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의 시각적 혐오, 소음의 발생, 하부공간의 부정 적 상황 등의 문제를 야기해 왔다. 이에 부산광역시에서는 고가도로 하부의 유휴지 공간을 이용하여 쾌적한 도심녹지 확충(그린인프라기능) 및 가로환경(다양한 경관 창출) 조성 계획을 시행하여, 2004년 동서고가도로 하부를 시작으로 최근 부암고가도로 하부까지 고가도로 하부 식재를 진행하 고 있다. 하지만 고가도로 하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환경과 같은 조건으로 식재하고 있어 수목 고사율이 증대되 고 있으며, 관리가 소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는 고가도로 하부 녹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 으로 부산광역시 고가도로 하부 식재 현황을 조사하여 식재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고가도로 총 24개소(총 연장 28. 4km) 중 고가도로 하부 식재가 이루어진 동서고가도로, 가 야고가도로, 충장고가도로, 부암고가도로 하부 총 4개소(총 연장 7.2km)에 대하여 식재현황을 조사 하였다. 또한 년도 별 조성특징을 파악하고자 준공도면을 기초로 식재조성시 기를 파악한 후, 년도별 조성특징을 파악하였다. 고가도로 하부 식재는 2004년 동서고가도로 0.6km조성 을 시작으로, 2009년에는 동서고가도로 0.4km, 충장고가도 로 0.4km, 2010년에는 동서고가도로 2.5km, 충장고가도로 0.5km, 2011년에는 동서고가도로 1.1km, 가야고가도로 0.4 km, 2012년에는 동서고가도로 0.8km, 2013년도에는 부암 고가도로 0.5km를 조성하였다. 동서고가도로는 부산광역시의 고가도로 중 가장 길며 하 부 유휴지 공간이 많아 매년 빠지지 않고 식재 조성이 이루 어지고 있어 가장 넓은 면적에 걸쳐 조성 되어져 있다. 조성 년도별 특징을 살펴보면 2004년에는 남천, 식나무, 송악류 등 관목과 지피식물 위주로 식재가 이루어 졌지만, 2009년부터는 먼나무, 산딸나무 등의 교목이 함께 식재 되 어졌다. 2010년에는 수목 외에도 경관석 놓기로 시설물까 지 확대되었으며, 2011년에는 경관석 놓기 외에 전통담장, 조형물, 수경시설 등으로 시설이 확대되어 설치되었다. 200 4년 초창기 때에는 내음성에 강하고, 특별한 관리가 필요없 으며, 번식력이 강한 관목과 지피식물로만 조성을 하여 경 관 보다는 기능적인 측면(자동차 불빛 차단 등)을 강조하였 지만 점차 조성시기가 지남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과 수목 등을 통해 경관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조성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식재 조성특징에 따라 부산광역시 고가도 로 하부 조성 식재 유형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유 형은 교목관목지피형으로 교목, 관목 그리고 지피로 조성된 형태이며, 2유형은 교목지피형으로 교목과 지피로 조성된 형태이다. 3유형은 관목지피형으로 관목과 지피로만 조성 되어 있으며, 4유형은 지피형으로 지피로만 조성된 형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식재 유형을 조성년도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2004 년에는 3유형(관목지피형)만이 나타났으며, 2009년에는 2 유형(교목지피형)이 나타났다. 2010년부터는 모든 유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준공도면에서는 초창기부터 조성했던 3유형(관목지피 형)이 6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1유형(교목관 목지피형)이 약 15%로 많았다. 하지만 현장 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3유형(관목지피형)은 준공도면과 같이 가장 많 이 나타났지만, 1유형(교목관목지피형)의 경우 조성당시에 는 15%였지만 현재는 10%, 2유형(교목지피형)의 경우 조 성당시에는 7%였지만 현재는 3%로 낮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1유형(교목관목지피형)과 2유형(교목지피형)에 식 재되는 교목의 영향으로 보여지는데, 고가도로 교량의 낮은 높이와 교목이 자라기에 부족한 토심때문에 많은 교목성수목이 관목으로 교체된 것이 이유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고가도로 하부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고가도로 하부 식재 현황을 조사하여 식재유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식재유형만으로는 고가도로 하부의 특성을 모두 파악할 수 없으므로, 추후 식물생육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생육현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0.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proper sowing time and planting density of cowpeas for labor-saving cultiv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 N, Longitude 126° 54' E) during 2012 and 2013. The intermediate-erect type strains used in this study were Jeonnam1 and Jeonnam2. Sowing was performed five times between June 25 and August 5 at approximately 10-day intervals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sowing time, and sowed at 5,000, 10,000, 15,000, and 20,000 plants per 10a to establish proper planting density. The days from sowing to first flowering was shortest (32 days) in plants sowed on July 25 and became longer for plants sowed on or around July 25. The days from sowing to first flowering was longest (41 days) in plants sowed on June 25. The days from first flowering to first maturing was shortest (8 days) in plants sowed on June 25 and, became considerably longer at later sowing dates. The days from first maturing to first harvesting ranged from 8 to 10 days, with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owing periods. Plants sowed on August 5 harvested at the same time, and plants sowed between June 25 and July 25 were harvested either three or two times. The yield was highest in plants sowed on July 25: 209 kg/10a was harvested for Jeonnam1 and 221 kg/10a for Jeonnam2. Furthermore, harvested at the same time enabled when the harvesting was delayed for around 15 days because the share of the seeds first harvested was highest (91%). The proper planting density was estimated to be 15,000 plants/10a, showing the highest yields of 199 kg/10a for Jeonnam1 and 224 kg/10a for Jeonnam2.
        13.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organic soil conditioner ratios on the soil moisture content and growth of Cotoneaster horizontalis, a container type for wall-planting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greenhouse at Konkuk University under non-irrigation. The experimental planting ground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organic soil conditioner ratios (A1L0, A8L1, A4L1 A2L1 and A1L1), and a drought-tolerant ornamental variety of Cotoneaster horizontalis was planted. The change in soil moisture content,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dead leaves, number of leaves, number of shoots, length of node, length of leaf, width of leaf, root-collar caliper, chlorophyll content, and survival rate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to Jun 2010. The results of soil moisture content measurements were analyzed with weight units in the container type for wall-planting during the dry summer season. The soil moistur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container type for wall-planting in increasing order as the amount of soil conditioner level was increased (A1L1> A2L1> A4L1> A8L1> A1L0).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application (amended soil with 100% + organic soil conditioner 0%), the highest plant growth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of A1L1 application (amended soil with 50% + organic soil conditioner 50%).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ganic soil conditioner ratio treatments of A1L1, A4L1, and A8L1 organic soil conditioner application were mostly not significant. The survival rat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pplication of organic soil conditioner, but in the control treatment application all the plants died.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organic soil conditioner improved the survival rate more than the growth of Cotoneaster horizontalis. Therefore, Cotoneaster horizontalis is expected to be a highly valuable shrub for green wall systems, when considered for us in integration system or for increasing soil water contents in planting grounds.
        14.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planting construction for healthy plant growth.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lanting type, planting density, withering rate, soil characteristics, and cambium electrical resistance (CER) of withered trees in an apartment complex with a high withering rate. The major plant groups examined consisted of native broad-leaved tree species (39.3%), native narrow-leaved tree species (24.2%), and native broad-leaved– exotic narrow-leaved tree species (16.4%). The planting density of the green area, where trees were planted from 0.0 to 0.3 trees per unit area, was measured as 98.4%. Withered trees were found in 19 of the 20 planted species, and the withering rate was 41.8% (610 withered/1,461 planted). Withering rates for tree species were measured as follows: Sophora japonica and Salix babylonica (100.0%), Magmolia denudata (84.3%), Lindera obtusiloba (74.7%), cornus kousa (69.3%), acer triflorum (69.2%), diospyros kaki (66.7%), Prunus yedoensis (62.8%), Acer palmatum (52.6%), Prunus armeniaca (51.1%), Chaenomeles sinensis (43.7%), Ginkgo biloba (40.9%), Zelkova serrata (31.0%), Cornus officinalis (28.6%), Taxus cuspidata (25.6%), Pinus densiflora (21.4%), Pinus parviflora (15.2%), Pinus strobus (14.6%), and Abies holophylla (10.3%). Soil chemical analyses for 18 samples revealed that as the withering rate increased, the following occurred: (a) the ratio of silt and clay in soil increased; (b) the soil pH, organic matter rate,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in samples were graded as “inadequate,” based on the plant grading evaluation; and (c) the NaCl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evaluated as “somewhat satisfactory.” The measurement of CER for withering rate shows electrical resistance for higher withering rate are higher, which could predict that a tree will not grow well.
        16.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 way to green perpendicular wall spaces as soon as possible and to get basic data for activating the perpendicular greening on high story building through the experiment of container-type planting ground in which lightened artificial soil mixed with rock wool was put. Comparative studies of the sizes of containers and soil were carried out but separate management was not performed. Four plants(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Lonicera japonica, Parthenocissus quinquefoli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which have the capability to cover and screen perpendicular spac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In result, a container must be equipped with over 15㎝ depth soil mixed with less than 30% of rock wool.
        17.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growth and yield potential of newly bred heavy panicle japonica rice with large grain (Iksan 435 and Iksan 438) or many spikelets per panicle(HR14022-21-8-4 and HR14022-21-8-6), four heavy panicle type rices and two many panicle type rices(Dongjinbyeo and Donganbyeo) as the checks were planted under standard planting density (30~times 15 cm) and dense planting density (15~times 15 cm) with two nitrogen levels of standard nitrogen level(110 kg h a-1 ) and heavy nitrogen level(165 kg h a-1 ). Effective tiller rate de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when compared to standard nitrogen and planting, while leaf area index and to dry weight in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Tiller numbers and panicle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dense planting than heavy nitrogen, whereas spikelet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heavy nitrogen than dense planting. Ripened grain ratio was slightly lower only in dense planting. 1,000 grain weight in brown 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Milled rice yield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standard planting for heavy panicle type rice, while yield for many panicle type rice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dense planting, suggesting that many panicle type rice possesses higher adapt-ability for dense planting than heavy panicle type rice. Path coefficient analysis revealed that top dry weight, spikelet number and grain weight were the greatest positive contributors to yield, whereas tiller number was negative to yield.d.
        18.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대두형 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하고 비닐멀칭을 했을 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져 다마미도리 지두를 4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파종기로 하고, 비닐로 멀칭과 무멀칭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멀칭을 할 경우 무멀칭에 비하여 촉진되어 4월 13일 파종구는 11일 축진되었다. 개화일수도 멀칭을 할 경우 평균 6일이 단축되었고, 4월 13일 파종구는 12일이 단축되었다. 2. 멀칭구는 무멀칭에 비하여 주경장이 컸으며,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l0a당 건경중도 많았다. 평균 100립중은 차가 없었다. 멀칭의 경우 늦게 파종한 구에서 주경장이 컸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건경중도 높았으며, 100립중도 무거웠다. 이러한 현상은 일찍 파종한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멀칭의 경우는 멀칭구와 같은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멀칭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율이 높으면 자반병 리병입율은 낮아졌다. 무멀칭구는 멀칭구에서와 같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4. 멀칭구에서는 무멀칭구보다 평균 20%가 증수되었고, 파종기별로 보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 미이라병에 대한 리병정도가 심하여 수량이 낮았고, 늦게 파종한 구에서 수량이 높았다.